볼거리(볼거리) - 증상, 진단, 치료. 볼거리 감염 PKP Binom이 생산하는 기타 장치

text_fields

text_fields

arrow_upward

질병 코드 - B26 (ICD 10)

동의어: 볼거리, 귀 뒤
유행성이하선염(유행성 이하선염)은 발열, 일반적인 중독, 하나 이상의 타액선 비대, 종종 다른 선기관 및 신경계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역사정보

text_fields

text_fields

arrow_upward

볼거리는 5세기 히포크라테스에 의해 묘사되었습니다. 기원전. Hamilton(1790)은 중추신경계 손상과 고환염의 증상을 이 질병의 빈번한 증상으로 확인했습니다. 19세기 말. 유행성 이하선염의 역학, 병인 및 임상상에 대한 데이터가 요약되었습니다. 국내 과학자 I.V. Troitsky, A.D. Romanov, N.F. Filatov는 이 문제 연구에 큰 공헌을 했습니다.

1934년에 이 질병의 바이러스성 원인이 입증되었습니다.

병인학

text_fields

text_fields

arrow_upward

병원체볼거리 감염은 Paramyxoviridae과, Paramyxovirus 속에 속하며 크기는 120 x 300 nm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RNA를 함유하고 있으며 혈구응집, 뉴라미니다제 및 용혈 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항원 구조바이러스는 안정적이다.

실험실 조건에서 바이러스는 7~8일된 닭 배아 및 세포 배양에서 배양됩니다. 실험실 동물은 볼거리의 원인 물질에 둔감합니다. 실험에서는 원숭이에서만 인간 유행성 이하선염과 유사한 질병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지속 가능성.바이러스는 불안정하며 가열(70°C에서 10분 동안), 자외선 조사, 포름알데히드 용액 및 저농도 라이솔에 노출되면 비활성화됩니다. 저온(-10~70°C)에서도 잘 보존됩니다.

역학

text_fields

text_fields

arrow_upward

감염원 지워지고 증상이 없는 형태의 볼거리를 포함한 아픈 사람입니다. 환자는 잠복기 마지막 날, 전구기, 질병이 최고조에 달한 첫 5일 동안 전염성이 있습니다. 회복기는 감염원이 아닙니다.

감염 메커니즘. 감염은 공기 중의 물방울에 의해 발생하며 바이러스는 타액으로 방출됩니다. 감염된 가정용품 및 장난감을 통한 감염 전파는 허용됩니다. 어떤 경우에는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에 의한 자궁 내 감염, 즉 수직 감염 경로가 설명되었습니다.

대부분 아이들이 아프다. 1~15세에는 남아가 여아보다 발병 가능성이 1.5배 더 높습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을 앓지 않은 사람은 평생 동안 감염되기 쉬우며, 이로 인해 다양한 연령층에서 질병이 발병하게 됩니다.

계절에 따른 발병률 증가가 일반적입니다. 겨울이 끝날 때 - 봄(3월 - 4월). 이 질병은 산발적인 경우와 전염병 발생 모두에서 발생합니다.

볼거리 감염은 세계 모든 국가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바이러스성 질병 중 하나입니다.

질병이 발생한 후에도 강력한 특정 면역력이 유지됩니다.

병인 및 병리학 적 그림

text_fields

text_fields

arrow_upward

입구 게이트 감염은 상부 호흡 기관의 점막과 구강의 점막에 의해 발생합니다. 바이러스는 상피 세포에 축적된 후 혈액으로 들어가고(1차 바이러스혈증) 현재와 함께 다양한 기관과 조직으로 퍼집니다. 타액선에 혈행적으로 유입된 바이러스는 이곳에서 번식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찾아 국소 염증 반응을 일으킵니다. 바이러스의 번식은 다른 기관에서도 발생하지만 그 속도는 훨씬 덜합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선 기관(고환, 췌장) 및 신경계의 손상은 질병의 첫날부터 발생하지 않으며 이는 바이러스의 느린 복제 및 이차 바이러스혈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집중적 인 번식과 염증 부위에서 혈액으로의 방출의 결과 이하선 타액선. 합병증이 발생하면 장기의 기능 상태(예: 혈액뇌관문 약화)와 면역 메커니즘(순환 면역 복합체, 자가면역 반응)이 중요합니다.

병리학적 사진 합병증이 없는 볼거리는 질병의 양성 경과로 인해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이하선의 조직은 선조 구조를 유지하지만 타액관 주변에 림프구의 부종과 침윤이 나타납니다. 주요 변화는 타액선의 관에 국한됩니다 - 상피의 약간의 부종에서부터 완전한 박리 및 세포 잔해로 인한 관의 막힘까지. 화농성 과정은 극히 드뭅니다.

유행성 이하선염 고환염의 고환 생검에서는 간질 조직의 림프구 침윤과 출혈 병소가 밝혀졌습니다. 세포 잔해, 피브린 및 백혈구에 의한 세뇨관 막힘으로 인한 선 상피 괴사의 병소가 종종 관찰됩니다. 심한 경우 염증 후 난소 위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염증성 및 퇴행성 과정이 난소에서 설명되었습니다.

췌장의 변화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내분비선과 외분비선 조직 모두에 손상을 주어 괴사성 췌장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심한 경우 후속 위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CNS 병변은 비특이적입니다.

볼거리의 임상상(증상)

text_fields

text_fields

arrow_upward

잠복기는 11~23일(보통 15~19일)이다.

전구증상 기간은 드뭅니다.

1~2일 이내에 환자는 권태감, 전반적인 약화, 약화, 오한, 두통, 근육 및 관절 통증, 식욕 부진 등을 호소합니다.

전형적인 경우에는 체온이 38~40°C로 상승하고 일반적인 중독 증상이 나타나는 급성 발병이 있습니다. 발열은 대개 발병 1~2일에 최대치에 도달하고 4~7일 동안 지속된 후 용해성 감소가 이어집니다.

이하선 침샘의 손상은 질병의 첫 번째이자 특징적인 징후입니다. . 이하선 부위에 처음에는 한쪽, 다른 쪽에는 붓기와 통증이 나타납니다. 다른 타액선(악하 및 설하)도 이 과정에 관여할 수 있습니다. 비대해진 샘 부위는 촉진시 통증이 있고 부드럽고 반죽 같은 질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통증은 특히 귓불 앞과 뒤(Filatov의 증상) 및 유양돌기 부위 등 일부 지점에서 두드러집니다.

Mursu (Murson) 증상은 진단적으로 중요합니다 - 충혈, 영향을받은 이하선의 배설관 부위 점막의 염증 반응. 편도선의 충혈과 부기가 가능합니다. 붓기가 목까지 퍼질 수 있으며, 피부가 긴장되고 윤기가 나며 충혈이 없습니다. 환자들은 씹을 때 통증을 걱정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반사성 개구증이 발생하여 말하기와 식사를 방해합니다. 침샘이 일방적으로 손상되면 환자는 종종 영향을 받은 침샘 쪽으로 머리를 기울입니다. 침샘의 비대는 빠르게 진행되어 3일 이내에 최대에 도달합니다. 부기는 2~3일 동안 지속되다가 점차적으로(7~10일에 걸쳐) 감소합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다양하고 종종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볼거리가 있는 다양한 기관의 병변을 질병의 징후 또는 합병증으로 간주하는 방법에 대한 단일 아이디어는 없습니다. 볼거리에 대해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분류는 없습니다. A.P. Kazantsev(1988)는 복잡하고 복잡하지 않은 형태의 질병을 구별할 것을 제안합니다. 코스의 심각도에 따라 경미한 (지워진 및 비정형 포함), 중간 및 심각한 형태가 있습니다. 질병의 명백하지 않은(무증상) 형태는 질병의 역학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청각 장애, 고환 위축, 불임, 당뇨병 및 중추 신경계 기능 장애와 같은 결과를 포함하는 볼거리의 잔여 현상이 있습니다.

질병의 중증도는 중독 증후군의 중증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심각한 형태의 경우 중독 및 고열 징후와 함께 환자는 췌장 손상으로 인해 메스꺼움, 구토 및 설사를 경험합니다. 간과 비장의 비대는 덜 일반적입니다. 질병이 심할수록 다양한 합병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합병증

text_fields

text_fields

arrow_upward

수막염, 수막뇌염, 고환염, 급성 췌장염, 관절염, 심근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액성 뇌수막염

장액성 뇌수막염 -유행성 이하선염의 가장 흔하고 특징적인 합병증은 타액선의 염증 후 또는 덜 자주 동시에 질병 발병 시점과 다른 시점에 관찰되지만 4-10일 후에 더 자주 관찰됩니다. 수막염은 오한이 나타나고 체온이 반복적으로 상승(최대 39°C 이상)하면서 급격하게 시작됩니다. 환자는 심한 두통, 구토로 괴로워하고 심한 수막 증후군이 발생합니다(뻣뻣한 목, 양성 Kernig 및 Brudzinski 징후). 뇌척수액은 투명하고 무색이며 압력이 증가하면 흘러나옵니다. 리오로그램은 장액성 수막염의 전형적인 징후를 나타냅니다. 림프구성 다혈구증가는 1μl당 최대 500개, 덜 빈번하게는 1000개이며, 정상 수준의 포도당과 염화물에서 단백질 함량이 약간 증가합니다. 뇌수막염 및 중독 증상이 가라앉은 후 뇌척수액의 위생 처리는 비교적 천천히(1.5~2개월 이상) 이루어집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임상 징후가 나타납니다. 수막뇌염:의식 장애, 혼수 상태, 졸음, 고르지 않은 힘줄 반사, 안면 신경 마비, 부진한 동공 반사, 피라미드 징후, 편마비 등 유행성 이하선염 병인의 수막뇌염 경과는 주로 유리합니다.

고환염 및 부고환염

고환염 및 부고환염청소년과 성인에게 가장 흔합니다. 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발전할 수 있습니다. 고환염은 일반적으로 질병 발병 후 5-8일에 관찰되며 체온의 새로운 상승, 음낭과 고환에 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때로는 하복부로 방사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오른쪽 고환의 침범은 때때로 급성 충수염을 자극합니다. 영향을 받은 고환은 상당히 커지고 촘촘해지며 그 위의 피부가 부풀어 오르고 붉게 변합니다. 고환의 확대는 5~8일 동안 지속되며, 이후 크기가 감소하고 통증이 사라집니다. 나중에(1~2개월 후) 일부 환자에서는 고환 위축 징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난소염

난소염드물게 유행성 이하선염을 복잡하게 만들고 하복부 ​​통증과 부속염의 징후를 동반합니다.

급성 췌장염

급성 췌장염발병 4~7일째에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 중위부에 국한된 복부 부위의 날카로운 통증, 종종 경련 또는 거슬리는 듯한 느낌, 발열, 메스꺼움, 반복적인 구토, 변비 또는 설사. 혈액과 소변의 아밀라아제 함량이 증가합니다.

청각 기관 손상

청각 기관 손상드물지만 청각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청신경에는 주로 일측성 손상이 있습니다. 첫 번째 징후는 이명이며, 현기증, 운동 조정 부족, 구토와 같은 미로염 증상이 나타납니다. 청력은 일반적으로 회복되지 않습니다.

드문 합병증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심근염, 관절염, 유방염, 갑상선염, 바르톨린염, 신장염 등

예측

text_fields

text_fields

arrow_upward

일반적으로 유리합니다.

타액선의 염증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곰팡이 감염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임상상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

  • 특정 볼거리 - 바이러스성(볼거리), 결핵성, 방선균성;
  • 비전염성 또는 화농성 이하선염.

급성 볼거리

급성 및 만성 볼거리도 있습니다. 급성 염증은 일차 감염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 단일 병원체에 의해 발생합니다.

바이러스 기원의 급성 볼거리는 볼거리 바이러스에 의해 가장 흔히 발생합니다. 세균성 급성 이하선염은 구강 내 타액선 관에서 세균성 미생물이 활성화되어 발생합니다.

급성 세균성 이하선염의 원인은 이하선의 타액 분비를 위반할 수 있습니다.

발생 형태에 따라 장액성 급성 이하선염, 화농성 및 괴저를 구별합니다. 장액성 볼거리가 있으면 침샘 조직이 부풀어 오르고 분비물이 배설관에 축적됩니다.

타액의 정체는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합니다. 타액이 거의 분비되지 않고 분비선 위의 피부가 변하지 않으며 환자의 상태는 대개 만족스럽습니다.

염증 과정의 다음 단계는 화농성 이하선염입니다. 이 단계에서 선 조직이 화농성으로 녹는 부위가 나타납니다.

샘 위의 피부에 염증이 생기고 붉어지며 윤기가 납니다. 환자가 입을 열 때 통증이 있으며, 촉진 시 샘이 조밀하고 극심한 통증이 있습니다.

화농성 과정이 퍼지면서 급성 중이염은 조직의 화농성 용해가 전체 샘을 덮는 괴저 형태로 변합니다. 화농성 병소가 돌파되면 누공이 형성되어 괴사 조직이 제거됩니다.

아마도 급성 중이염에 대한 정보를 찾고 계셨나요? 다음 기사 어린이의 급성 중이염: 원인, 증상, 치료에서 자세히 읽어보세요.

만성 볼거리

이는 대개 원발성 질환으로 발생하며, 급성 유행성 이하선염의 합병증인 경우는 드뭅니다. 만성 유행성 이하선염은 쇼그렌 증후군 또는 미쿨리츠 증후군의 징후입니다.

쇼그렌 증후군은 점막에 영향을 미치는 염증으로, 점액샘 분비 감소가 특징입니다. 쇼그렌증후군은 침과 눈물이 부족해 안구건조증과 구강건조증이 나타난다.

Mikulicz 증후군은 타액선의 부피 증가와 타액 분비의 증가로 나타납니다. 땀샘의 부종은 말하고 먹는 것을 방해할 정도로 커질 수 있습니다.

만성 타액선염에서는 타액선의 부종과 파열되는 통증이 관찰됩니다. 점액 덩어리와 함께 분비물이 방출되는 것과 함께 샘의 관에서도 변화가 관찰됩니다.

만성 유행성 이하선염은 결합 조직의 증식, 선 조직의 대체, 타액 분비 감소로 나타납니다. 만성 유행성 이하선염의 증상은 경미하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악화되는 동안 구강 건조, 샘 부종, 마사지 시 고름과 함께 타액 분비가 나타납니다.

만성 유행성 이하선염의 발생은 대사 장애와 관련이 있으며, 질병은주기적인 악화로 발생하며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볼거리-볼거리

이 질병은 필터링하는 파라믹소바이러스인 Mamps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감염은 주로 3세에서 16세 사이의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소년은 소녀보다 두 배 더 자주 아프게 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빈도는 훨씬 낮습니다. 남성은 여성보다 더 자주 아프며, 성인의 경우 유행성이하선염이 특히 심하고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합니다.

사람에게서만 감염될 수 있으며 동물은 바이러스의 운반자가 아닙니다. 재채기나 말을 할 때 공기 중의 물방울을 통해 감염이 발생합니다.

감기와 독감은 유행성이하선염의 전염성을 증가시키므로 이 질병은 계절에 따라 발생합니다. 볼거리의 발병은 추운 계절에 발생합니다.

ICD 10 질병 분류에 따르면 볼거리는 급성 전염성 질병으로 분류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에 걸린 사람은 감염 후 2일째, 질병 중, 그리고 회복 후 2주 동안 다른 사람에게 위험합니다.

볼거리에는 화농성 조직 염증이 없습니다. 유행성이하선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불안정하며 자외선이나 열에 노출되거나 리솔이나 포름알데히드로 처리되면 활동을 잃습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을 앓은 후에는 면역력이 발달합니다. 잠복기는 13~19일로 하루 단위로 변한다.

증상

볼거리의 첫 번째 증상은 구내염, 즉 구강 점막의 염증입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전구 증상으로는 근육통, 오한, 허약감, 두통 등이 있습니다.

부상으로 인한 이하선 타액선의 염증, 타액관 막힘에는 타액 산통-샘 부위의 발작성 통증이 동반됩니다.

침샘 감염의 징후로는 씹을 때의 통증과 귓불 뒤의 통증이 있습니다.

거의 즉시 얼굴 한쪽에 붓기가 나타나고 체온이 38도 이상 올라가며 귓볼이 튀어나옵니다.

촉진 시 귀의 이주 앞부분, 귀후 부위, 아래턱 가장자리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볼거리의 특징적인 증상은 씹을 때 통증이 있고, 입이 마르는 것입니다.

위장관, 심장, 신경계 및 눈의 변화가 관찰됩니다.

표적 기관의 손상 정도에 따라 다음 사항이 기록됩니다.

  • 식욕 부진, 음식의 매운 양념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구토, 메스꺼움, 변비 또는 설사 (어린이의 경우)
  • 호흡곤란, 심계항진, 흉통;
  • 수막염, 무력증, 정신 장애;
  • 시신경 염증, 눈물샘 염증, 중이염.

진단

볼거리는 타액선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인 방사선 투과조영술을 사용하여 진단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진단에는 이하선의 초음파 검사와 타액 구성의 세포 학적 분석이 사용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을 확인하기 위해 위도부터 전문 시험관 실험실에서 테스트가 수행됩니다. in vitro라는 이름은 "살아있는 외부"를 의미합니다.

볼거리에 대한 구체적인 검사는 IgM과 IgG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IgM은 감염 후 3일 만에 검출되며 때로는 유행성 이하선염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검출됩니다.

볼거리 증상이 나타난 후 혈액에서 IgG가 발견됩니다. 평생 면역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수준의 IgG는 평생 동안 유지됩니다.

볼거리는 거짓 볼거리(Herzenberg's pseudomumps)와 구별됩니다. 이 질병은 타액선 내부의 림프절에 영향을 미칩니다. 타액선의 관과 그 조직은 염증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치료

볼거리는 집에서 치료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치료 기간 동안 격리되어야 하며, 유행성이하선염이 발견되면 아동 기관에 3주간 격리해야 합니다.

감염성 볼거리에 대해서는 소독을 실시하지 않으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는 최소 10일 동안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합니다. 가벼운 탈수 요법, 유제품 요리, 부드러운 식단이 필요합니다.

비전염성 볼거리와 유행성이하선염은 보존적 치료와 수술로 치료됩니다. 보존적 치료에는 레몬즙을 산성화한 물로 입을 자주 헹구는 것과 활성 타액 분비를 유발하는 음식이 포함된 식단이 포함됩니다.

클로르헥시딘으로 입을 헹구는 기사의 예를 사용하여 입을 헹구는 절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동시에 환자는 1% 필로카르핀 용액을 아침, 점심, 저녁 식사당 8방울씩 투여받습니다. 설폰아미드와 페니실린 항생제가 처방됩니다. 타액선의 관은 키모트립신으로 세척됩니다.

가온 압축을 선에 적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며 UHF 요법과 Sollux를 사용합니다.

인터페론은 볼거리 치료에 사용됩니다. 10일 동안 1일 1회 근육주사한다. 하루에 여러 번 인터페론으로 구강을 세척하고 일반적인 회복 요법을 시행합니다.

화농성 유행성 이하선염의 경우, 약물 치료로 긍정적인 결과가 없으면 수술을 하게 됩니다.

환자는 고름 조직을 정화하기 위해 두 번 절개합니다.

고름을 제거하면 환자의 상태가 좋아지고 염증이 멈 춥니 다. 허약한 환자의 경우, 수술 후에도 과정을 중단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염증이 목 조직까지 퍼지면 체온이 계속해서 높게 유지돼 환자는 패혈증에 걸릴 위험이 있다.

합병증

어린이의 경우 유행성 이하선염의 합병증은 소년의 고환 염증일 수 있으며 이후에 위축 및 불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아에서는 난소 염증과 유방염이 가능합니다. 임신 중 유행성 이하선염은 아이의 사망과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볼거리는 성인에게 심각하며 수막염, 당뇨병, 불임 및 청각 장애로 인해 복잡해집니다.

급성 화농성 유행성이하선염에서는 큰 혈관의 화농성 용해, 안면 신경의 염증 및 안면 근육의 부분 마비의 위험이 있습니다. 고름이 외이도에 침입하여 경정맥의 혈전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방지

볼거리 예방은 홍역, 볼거리, 풍진과 관련된 백신인 MMR을 접종하는 것입니다. 백신은 1세와 6세에 접종합니다.

계절에 따라 전염병이 발생하는 동안 약한 베이킹소다나 구연산 용액으로 입을 헹구어 침분비를 자극하는 것이 급성 유행성 이하선염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예측

장액성 급성 볼거리의 경우 예후는 양호합니다. 화농성 및 괴저성 이하선염은 타액선 기능 저하를 유발합니다. 합병증 없이 발생하는 볼거리는 예후가 좋습니다.

만성 유행성 이하선염에 대한 긍정적인 예후. 완전한 회복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위생적인 ​​구강 관리는 환자의 건강에 유익한 영향을 미칩니다.

볼거리에 관한 비디오 - 유행성 이하선염

성인의 귀 뒤에 덩어리

수유부의 콧물, 방울 및 민간 요법 치료

성인의 부비동염 징후 및 치료

콧물에 대한 저렴한 방울

집에서 성인의 후두염 치료

2세 아이의 인후통을 치료하는 방법과 방법

자가 치료를 하면 시간을 낭비하고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자료 복사는 사이트에 대한 활성 링크가 있는 경우에만 허용됩니다. 모든 내용은 원문에 있습니다.

유행성 이하선염 (Mumps)

유행성 이하선염(전염성 이하선염, 동의어 - 볼거리 감염, 이하선염, 귀 뒤, "참호" 질병, "군인" 질병).

볼거리는 급성, 전염성, 전신성 바이러스 감염으로 일반적으로 침샘, 가장 흔하게는 이하선의 비대와 압통을 유발합니다. 합병증으로는 고환염, 수막뇌염, 췌장염 등이 있습니다. 진단은 임상적이며 치료는 증상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예방접종은 매우 효과적입니다.

ICD-10 코드

역학

유행성이하선염(Mumps)은 전통적으로 소아 감염으로 분류됩니다. 동시에 영아 및 2세 미만의 볼거리는 드물게 발생합니다. 2~25세 사이에는 이 질병이 매우 흔하며, 40년 후에는 다시 드물게 발생합니다. 많은 의사들은 유행성이하선염을 학령기 및 군 복무로 인한 질병으로 간주합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의 발병률은 병력 1,000명당 49.1명이었습니다. 최근에는 어린이의 대량 예방접종으로 인해 성인의 볼거리가 더 흔해졌습니다. 백신 접종을 받은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5~7년 후에 보호 항체 농도가 크게 감소합니다. 이는 청소년과 성인의 질병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킵니다.

질병의 원인 물질의 원인은 유행성 이하선염을 앓고있는 사람으로, 첫 번째 임상 증상이 나타나기 1-2 일 전과 질병 발병 9 일 전에 바이러스를 분비하기 시작합니다. 이 경우, 질병이 발생한 후 처음 3~5일 동안 바이러스가 환경으로 가장 활발하게 방출됩니다. 바이러스는 환자의 타액과 소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혈액, 모유, 뇌척수액 및 영향을 받은 선조직 등 환자의 다른 생물학적 체액에서도 검출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공기 중의 물방울에 의해 전염됩니다. 카타르 증상이 없기 때문에 환경으로의 바이러스 방출 강도는 낮습니다.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의 확산을 가속화하는 요인 중 하나는 기침과 재채기를 통해 병원체가 환경으로 방출되는 급성 호흡기 감염이 동반된다는 것입니다. 환자의 타액에 오염된 생활용품(장난감, 수건)을 통한 감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아픈 임산부로부터 태아에게 유행성 이하선염이 전염되는 수직 경로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질병의 증상이 사라진 후에는 환자에게 전염성이 없습니다. 감염 가능성이 높습니다(최대 100%). 병원체 전파의 "부진한" 메커니즘, 장기간 잠복기, 질병의 지워진 형태를 가진 다수의 환자로 인해 식별 및 격리가 어려워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볼거리가 발생한다는 사실로 이어집니다. 오랜 기간에 걸쳐, 몇 달에 걸쳐 파도처럼. 남성은 여성보다 1.5배 더 자주 이 질병을 앓습니다.

계절성은 전형적입니다: 3~4월에 최대 발생률이 발생하고 8~9월에 최소 발생률이 발생합니다. 성인 인구 중 전염병 발생은 막사, 기숙사 등 폐쇄 및 반폐쇄 지역 사회에서 더 자주 기록됩니다. 선박 승무원. 발생률의 증가는 7~8년 간격으로 나타납니다. 유행성이하선염(Mumps)은 통제된 감염으로 분류됩니다. 예방접종 도입 이후 발병률은 크게 감소했지만, 국가 예방접종 일정에 볼거리 예방접종을 포함하는 국가는 전 세계 42%에 불과하다. v 바이러스의 지속적인 순환으로 인해 15세 이상 인구의 80~90%가 항볼거리 항체를 나타냅니다. 이는 이 감염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25%의 경우 볼거리가 부적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질병이 발생한 후 환자는 평생 안정적인 면역력을 갖게 되며 질병이 재발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볼거리의 원인

유행성 이하선염 (Mumps)의 원인은 인간과 원숭이에게 병원성 인 폐렴구균 이하선염 바이러스입니다.

파라믹소바이러스(Pammyxoviridae과, Rubulavirus 속)에 속합니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항원적으로 가깝습니다. 볼거리 바이러스 게놈은 뉴클레오캡시드로 둘러싸인 단일 가닥 나선형 RNA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뚜렷한 다형성이 특징입니다. 모양은 둥글거나 구형이거나 불규칙하며 크기는 100~600nm까지 다양합니다. 용혈성입니다. 당단백질 HN 및 F와 관련된 뉴라미니다제 및 혈구응집 활성. 이 바이러스는 닭 배아, 기니피그 신장 배양, 원숭이, 시리아 햄스터 및 인간 양막 세포에서 잘 배양되며 환경에 안정적이지 않으며 높은 수준에 노출되면 비활성화됩니다. 온도, 자외선 조사, 건조, 소독액(50% 에틸알코올, 0.1% 포름알데히드 용액 등)에서 빠르게 파괴됩니다. 저온(-20°C)에서는 최대 몇 주 동안 환경에 지속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항원 구조는 안정적입니다. V(바이러스)와 S(가용성)의 두 가지 항원을 갖는 바이러스의 혈청형은 단 하나뿐입니다. 바이러스의 최적 pH는 6.5-7.0입니다. 실험실 동물 중에서 원숭이는 볼거리 바이러스에 가장 민감합니다. 타액선에 바이러스 함유 물질을 도입하여 질병을 재현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

바이러스는 호흡기와 입으로 들어갑니다. 침샘이 부을 때까지 최대 6일 동안 침 속에 남아 있습니다. 혈액과 소변에서도 발견되며, 중추신경계가 손상되면 뇌척수액에서도 발견됩니다. 전염된 질병은 영구적인 면역력을 갖게 됩니다.

볼거리는 홍역보다 전염성이 낮습니다. 이 질병은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풍토병이 발생하며, 조직화된 집단으로 발병할 수도 있습니다. 전염병은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인구 집단에서 더 자주 발생하며, 초봄과 늦겨울에 발병률이 증가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하지만 5~10세 사이에 더 자주 발생합니다. 이는 2세 미만, 특히 1세 미만의 어린이에게는 흔하지 않습니다. %의 사례는 불분명한 형태입니다.

타액선 비대의 다른 원인:

  • 화농성 이하선염
  • HIV 볼거리
  • 기타 바이러스성 볼거리
  • 대사 장애(요독증, 당뇨병)
  • Mikulicz 증후군(결핵, 유육종증, SLE, 백혈병, 림프육종 환자에서 발생하는 만성, 일반적으로 통증이 없는 이하선염 및 원인 불명의 눈물샘 부종)
  • 타액선의 악성 및 양성 종양
  • 약물 매개 볼거리(예: 요오드화물, 페닐부타존 또는 프로필티오우라실)

병인

볼거리 바이러스는 상기도 점막과 결막을 통해 몸 안으로 들어갑니다. 바이러스를 코나 뺨의 점막에 적용하면 질병이 발생한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나타났습니다. 몸에 들어간 후 바이러스는 호흡기의 상피 세포에서 증식하고 혈류를 통해 타액선, 생식선, 췌장선 및 중추 신경계가 가장 민감한 모든 기관으로 퍼집니다. 감염의 혈행성 확산은 초기 바이러스혈증과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다양한 기관과 시스템의 손상으로 입증됩니다. 바이러스혈증 단계는 5일을 초과하지 않습니다. 중추 신경계 및 기타 선 기관의 손상은 타액선 손상 이후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전, 심지어 손상 없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후자는 매우 드물게 관찰됩니다).

영향을 받은 기관의 형태학적 변화의 성격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선세포보다는 결합 조직의 손상이 우세하다는 것이 확립되었습니다. 이 경우 선 조직 간질 공간의 부종 및 림프구 침윤이 급성기에 전형적으로 발생하지만 볼거리 바이러스 (볼거리)가 선 조직 자체를 동시에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고환염의 경우 부종 외에도 고환 실질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 인해 안드로겐 생산이 감소하고 정자 형성이 손상됩니다. 병변의 유사한 성격이 췌장 손상에 대해 설명되었으며, 이로 인해 당뇨병이 발생하면 췌도 장치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볼거리의 증상

유행성 이하선염 (Mumps)은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분류가 없습니다. 이것은 질병의 증상에 대한 전문가의 다양한 해석으로 설명됩니다. 많은 저자들은 유행성 이하선염의 증상이 타액선 손상의 결과이며 신경계 및 기타 선 기관의 손상이 질병의 비정형 과정의 합병증 또는 징후라고 믿습니다.

타액선의 병변뿐만 아니라 볼거리 바이러스로 인한 다른 국소화의 병변도 질병의 합병증이 아닌 볼거리의 증상으로 정확하게 간주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병원적으로 입증됩니다. 또한 타액선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단독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동시에, 볼거리 감염의 고립된 발현으로서 다양한 기관의 병변은 거의 관찰되지 않습니다(질병의 비정형 형태). 반면에, 소아청소년의 질병이 거의 매번 발생하는 동안 정기적인 예방접종을 시작하기 전에 그리고 정기 검진 중에 진단된 지워진 형태의 질병은 비정형적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무증상 감염은 질병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분류에는 유행성이하선염으로 인한 빈번하고 장기적인 부작용도 반영되어야 합니다. 중증도 기준은 질병의 형태에 따라 완전히 다르고 병리학적 특이성이 없기 때문에 이 표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유행성이하선염(Mumps)의 합병증은 드물고 특징적인 특징이 없으므로 분류에 고려되지 않습니다.

볼거리(볼거리)의 잠복기는 11~23일(보통 18~20일)이다. 종종 질병의 전체 그림은 전구기(prodromal period)가 선행됩니다.

일부 환자(보통 성인)에서는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기 1~2일 전에 볼거리(볼거리)의 전구증상(볼거리)이 피로, 권태감, 구인두 충혈, 근육통, 두통, 수면 장애 및 식욕. 일반적으로 급성 발병, 오한 및 최대 °C의 발열이 발생합니다. 유행성이하선염(Mumps)의 초기 증상은 귓불 뒤의 통증(필라토프 증상)입니다. 이하선의 부종은 하루가 끝날 무렵 또는 질병의 두 번째 날에 가장 자주 나타나며, 한쪽에는 먼저 나타나고 환자의 80-90%에서는 1-2일 후에 다른 쪽에도 나타납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씹거나 말하면서 악화되는 이명, 귀 부위의 통증이 나타나고 개구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하선의 확대가 명확하게 보입니다. 샘은 유양돌기와 아래턱 사이의 공간을 채웁니다. 귀밑샘이 크게 증가하면 귓바퀴가 돌출되고 귓불이 위로 올라갑니다(그래서 인기 있는 이름인 "볼거리"). 붓기는 세 방향으로 퍼집니다: 앞쪽 - 뺨, 아래쪽 및 뒤쪽 - 목 및 위쪽 - 유양돌기 부위. 특히 환자의 머리 뒤쪽을 검사할 때 부종이 두드러집니다. 영향을 받은 분비선 위의 피부는 긴장되고 정상적인 색상을 띠며, 분비선을 만져볼 때 테스트 일관성이 있고 중간 정도의 통증이 있습니다. 부종은 질병 발생 3~5일에 최대 수준에 도달한 다음 일반적으로 6~9일(성인의 경우 다음날)에 점차 감소하여 사라집니다. 이 기간 동안 타액 분비가 감소하고 구강 점막이 건조해지며 환자는 갈증을 호소합니다. Stenon의 덕트는 충혈, 부종성 고리 (Mursu의 증상) 형태로 뺨의 점막에 명확하게 보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하선뿐만 아니라 턱밑 타액선도 과정에 관여하며 이는 테스트 일관성의 약간 고통스러운 방추형 부종의 형태로 결정됩니다. 설하선이 영향을 받으면 부기가 턱에 나타납니다. 부위와 혀 아래. 턱밑샘(악하염)이나 설하선만 손상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일반적으로 고립된 볼거리가 있는 내부 장기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환자가 빈맥, 심첨부 심잡음, 둔한 심장 소리 및 저혈압을 경험합니다. 중추 신경계 손상은 두통, 불면증 및 운동 장애로 나타납니다. 발열 기간의 총 기간은 일반적으로 3~4일입니다. 심한 경우 - 최대 6~9일.

청소년과 성인의 볼거리(볼거리)의 일반적인 증상은 고환 손상(고환염)입니다. 볼거리 고환염의 빈도는 질병의 중증도에 직접적으로 좌우됩니다. 중증 및 중등도 형태에서는 약 50%의 사례에서 발생합니다. 타액선 손상 없이 고환염이 가능합니다. 고환염의 징후는 온도 감소 및 정상화를 배경으로 질병의 5-8 일째에 나타납니다. 동시에 환자의 상태는 다시 악화됩니다. 체온이 °C까지 올라가고 오한, 두통이 나타나고 메스꺼움과 구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음낭과 고환에 심한 통증이 나타나며 때로는 하복부까지 방사됩니다. 고환은 거위 알 크기만큼 2-3배 커지고, 통증이 있고 조밀해지며, 음낭 피부가 충혈됩니다. 종종 푸른 색조를 띤다. 가장 흔히 하나의 고환이 영향을 받습니다. 고환염의 심각한 임상 증상은 5~7일 동안 지속됩니다. 그런 다음 통증이 사라지고 고환의 크기가 점차 감소합니다. 앞으로는 위축의 징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거의 20%의 환자에서 고환염은 부고환염과 결합됩니다. 부고환은 직사각형의 통증성 부종으로 만져집니다. 이 상태는 정자 형성 장애를 초래합니다. 남성 불임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 지워진 형태의 고환염에 대한 데이터가 얻어졌습니다. 볼거리 고환염의 경우, 전립선 및 골반 장기 정맥의 혈전증으로 인한 폐경색이 설명되었습니다. 볼거리 고환염의 더 드문 합병증은 지속발기증입니다. 여성에게는 난소염, 바르톨린염, 유방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난소염은 사춘기 이후 여성 환자에서는 흔하지 않습니다. 생식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불임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유방염은 남성에게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유행성이하선염(Mumps)의 일반적인 증상은 급성 췌장염으로, 종종 무증상이며 혈액과 소변의 아밀라제 및 디아스타제 활성 증가에 기초하여 진단됩니다. 다양한 저자에 따르면 췌장염의 발생률은 2~50%로 다양합니다. 이는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가장 자주 발생합니다. 이러한 데이터 분산은 췌장염 진단을 위한 다양한 기준의 사용과 관련이 있습니다. 췌장염은 보통 발병 4~7일째에 발생합니다. 메스꺼움, 반복적인 구토, 설사, 복부 중앙부에 거슬리는 듯한 통증이 관찰됩니다. 심한 통증으로 인해 복부 근육의 긴장과 복막 자극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밀라제(디아스타제) 활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최대 1개월까지 지속되며 질병의 다른 증상은 5-10일 후에 사라집니다. 췌장 손상은 섬 기관의 위축 및 당뇨병 발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드문 경우, 다른 선기관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침샘과 결합됩니다. 갑상선염, 부갑상선염, 눈물샘염, 갑상선염이 기술되었습니다.

신경계 손상은 볼거리 감염의 빈번하고 중요한 증상 중 하나입니다. 장액성 수막염이 가장 자주 관찰됩니다. 수막뇌염, 뇌신경 신경염, 다발근신경염도 가능합니다. 볼거리 수막염의 증상은 다형성이므로 진단 기준은 뇌척수액의 염증 변화를 확인하는 것뿐입니다.

뇌척수액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막증 증후군과 함께 볼거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뇌척수액의 염증 변화는 수막 증상 없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막염의 빈도에 대한 데이터는 다양한 저자에 따르면 2~3%에서 30%까지 다양합니다. 한편, 수막염 및 기타 중추신경계 병변을 적시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은 질병의 장기적인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뇌수막염은 3~10세 어린이에게서 가장 흔히 관찰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발병 4~9일째에 발생합니다. 타액선이 손상되거나 질병이 가라 앉는 배경에서. 그러나 뇌수막염의 증상이 침샘 손상과 동시에 또는 더 일찍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침샘 손상 없이 수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드물게 췌장염과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뇌수막염의 발병은 체온이 38~39.5℃로 급격하게 상승하고 강렬한 확산성 두통, 메스꺼움, 잦은 구토, 피부 감각과민 등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이들은 무기력하고 무기력해집니다. 이미 질병의 첫날에 유행성 이하선염 (볼거리)의 수막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증상은 적당히 표현되며 종종 완전히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심기 증상 ( "삼각대") 만 나타납니다. 어린 아이의 경우 경련과 의식 상실이 가능하며, 나이가 많은 어린이의 경우 정신 운동 동요, 섬망 및 환각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뇌 증상은 대개 1~2일 내에 회복됩니다. 장기간 지속되면 뇌염이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두개내 고혈압은 LD 돔수 증가와 함께 수막 및 뇌 증상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요추 천자 중 뇌척수액을 정상적인 LD 수준(200mm H2O)으로 조심스럽게 적하하면 환자 상태가 현저하게 개선됩니다(구토 중단, 의식 제거, 두통 강도 감소).

볼거리 수막염의 뇌척수액은 투명하거나 유백색이며, 백혈구증가증은 1μl입니다. 단백질 함량은 0.3-0.b/l로 증가하며 때로는 1.0-1.5/l까지 증가합니다. 감소된 또는 정상적인 단백질 수준은 거의 관찰되지 않습니다. 세포증가증은 대개 림프구성(90% 이상)으로 나타나며, 발병 1~2일에는 혼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혈장 내 포도당 농도가 정상 범위 내에 있거나 증가했습니다. 뇌척수액 위생은 수막 증후군 퇴행 후 질병 3주째에 발생하지만, 특히 나이가 많은 어린이의 경우 최대 1~1.5개월까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수막뇌염의 경우 수막염 증상이 나타난 지 2-4일 후 수막 증상의 약화를 배경으로 일반 뇌 증상이 증가하고 초점 증상이 나타납니다: 팔자주름의 매끄러움, 혀의 이탈, 힘줄 반사의 부활, 반사신경 반사증 , 근육 과긴장성, 피라미드 징후, 구강 자동증 증상, 발 클로누스, 운동실조, 의도성 떨림, 안구진탕, 일과성 편마비. 어린 아이의 경우 소뇌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볼거리 수막염과 수막뇌염은 양성입니다. 일반적으로 중추 신경계 기능의 완전한 회복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때때로 두개내 고혈압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무력증, 기억력 감소, 주의력, 청력 감소.

수막염, 수막 뇌염의 배경에 대해 때로는 고립되어 뇌신경의 신경염, 가장 흔히 VIII 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현기증, 구토, 신체 자세 변화에 따른 악화, 안진이 나타납니다. 환자들은 눈을 감고 가만히 누워 있으려고 노력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전정 기관의 손상과 관련이 있지만 주로 고주파 영역에서 귀에 소음이 나타나고 청력 상실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달팽이관 신경염도 가능합니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일방적이지만 완전한 청력 회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한 유행성 이하선염의 경우 외이도 부종으로 인해 단기 청력 상실이 가능하다는 점을 명심해야합니다.

다발근신경염은 수막염 또는 수막뇌염의 배경으로 발생합니다. 항상 침샘 손상이 선행됩니다. 이 경우 신경근 통증과 주로 말단 사지의 대칭 마비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과정은 가역적이며 호흡 근육 손상이 가능합니다.

때때로, 일반적으로 질병의 첫날에, 남성의 경우 더 자주 다발성 관절염이 발생합니다. 큰 관절(어깨, 무릎)이 주로 영향을 받습니다. 볼거리(볼거리)의 증상은 대개 가역적이며 1~2주 내에 완전히 회복됩니다.

합병증(협심증, 중이염, 후두염, 신장염, 심근염)은 극히 드뭅니다. 유행성 이하선염 중 혈액 변화는 미미하며 백혈구 감소증, 상대 림프구 증가증 및 단핵구증가증이 특징입니다. ESR의 증가, 백혈구 증가증은 때때로 성인에게서 나타납니다.

양식

유행성 이하선염의 임상 분류에는 다음과 같은 임상 형태가 포함됩니다.

  • 전형적인.
    • 타액선에 고립된 손상이 있는 경우:
      • 임상적으로 표현되는:
      • 문질러 지우는.
    • 결합:
      • 타액선 및 기타 선 기관이 손상되었습니다.
      • 타액선과 신경계가 손상되었습니다.
  • 비정형(타액선 손상 없음).
    • 선 기관이 손상되었습니다.
    • 신경계가 손상되었습니다.
  • 질병의 결과.
    • 완전 회복.
    • 잔여 병리로부터의 회복:
      • 당뇨병;
      • 불모:
      • 중추신경계 손상.

볼거리 진단

유행성이하선염(Mumps)의 진단은 주로 특징적인 임상상과 역학적 병력을 토대로 이루어지며, 전형적인 경우에는 어려움을 겪지 않습니다. 진단을 확인하는 실험실 방법 중 가장 결정적인 방법은 혈액, 이하선 분비물, 소변, 뇌척수액 및 인두 면봉에서 볼거리 바이러스를 분리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유행성 이하선염 (Mumps)의 혈청 학적 진단이 더 자주 사용되며 ELISA, RSK 및 RTGA가 가장 자주 사용됩니다. 급성 감염 기간 동안 높은 역가의 IgM과 낮은 역가의 IgG는 볼거리의 징후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진단은 3~4주 후에 항체 역가를 재검사하면 확정적으로 확진할 수 있으며, IgG 역가가 4배 이상 증가하면 진단적 가치가 있습니다. RSK와 RTGA를 사용할 경우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의 교차 반응이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볼거리 바이러스의 PCR을 이용한 볼거리(볼거리) 진단법이 개발됐다. 진단을 위해 혈액과 소변의 아밀라아제와 디아스타아제의 활성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그 함량이 증가합니다. 이는 췌장염 진단뿐만 아니라 장액성 수막염의 볼거리 원인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데에도 특히 중요합니다.

무엇을 검사해야 합니까?

감별 진단

볼거리의 감별진단은 주로 세균성 볼거리, 타액성 볼거리로 이루어집니다. 타액선의 비대는 유육종증과 종양에서도 나타납니다. 볼거리 수막염은 장바이러스성 원인으로 인한 장액성 수막염, 림프구성 맥락수막염, 때로는 결핵성 수막염과 구별됩니다. 이 경우 볼거리 수막염 동안 혈액과 소변에서 췌장 효소 활성의 증가가 특히 중요합니다. 가장 큰 위험은 독성 형태의 구인두 디프테리아(때때로 전염성 단핵구증 및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서 발생하는 목의 피하 조직 부기와 림프절염의 경우입니다. 의사는 그것을 유행성 이하선염으로 착각합니다. 급성 췌장염은 복강의 급성 수술 질환(충수염, 급성 담낭염)과 구별되어야 합니다.

볼거리 고환염은 결핵성, 임질성, 외상성 및 브루셀라증 고환염과 구별됩니다.

침샘 부위에서 입을 씹거나 벌릴 때 통증이 있습니다.

하나 이상의 타액선 비대(이하선, 턱밑)

침샘과 췌장, 고환, 유선의 동시 손상, 장액성 수막염 발생

연구가 완료되었습니다. 진단: 볼거리.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신경과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하며, 췌장염이 발생한 경우(복통, 구토) 외과의와 상담하고, 고환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비뇨기과 의사와 상담한다.

로컬 변경보다 우선합니다.

로컬 변경과 동시에 또는 늦게 나타납니다.

다른 타액선의 양측 침범 가능성

일반적으로 일방적

미래의 밀도 - 변동

충혈, 화농성 분비물

백혈구감소증 림프구증가증 ESR - 변화 없음

왼쪽으로 이동하는 호중구 백혈구 증가증. ESR 증가

특성 변화 없음

글랜드 위의 피부

보통색, 긴장감

누구에게 연락해야 합니까?

볼거리 치료

폐쇄된 아동단체(고아원, 기숙학교, 군부대)의 환자들은 입원합니다. 일반적으로 유행성 이하선염 (볼거리) 치료는 집에서 이루어집니다. 심각한 질병(39.5°C 이상의 고열, 중추신경계 손상 징후, 췌장염, 고환염)에는 입원이 필요합니다. 질병의 중증도에 관계없이 합병증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 환자는 발열 기간 내내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합니다. 질병 발병 후 처음 10일 동안 침상 안정을 따르지 않은 남성의 경우 고환염이 3배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질병의 급성기(질병 발병 3~4일까지) 동안 환자는 액체 및 반액체 음식만 섭취해야 합니다. 타액분비 장애를 고려하여 구강관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회복기에는 특히 레몬즙을 사용하여 타액분비를 자극하는 것이 필요하다. 췌장염을 예방하려면 유제품-채소 식단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표 5). 충분한 수분 섭취가 권장됩니다 (과일 음료, 주스, 차, 미네랄 워터). 두통에는 메타미졸 나트륨, 아세틸 살리실산, 파라세타몰이 처방됩니다. 볼거리(볼거리)의 탈감작 치료가 권장됩니다. 질병의 국소 증상을 줄이기 위해 타액선 부위에 빛과 열 요법 (Sollux 램프)이 처방됩니다. 고환염의 경우 프레드니솔론을 하루 2~3mg/kg의 용량으로 3~4일 동안 사용한 후 매일 5mg씩 감량합니다. 고환의 위치를 ​​높이려면 서스펜서를 2~3주 동안 착용해야 합니다. 급성 췌장염의 경우 부드러운 식단이 처방됩니다 (첫날-단식 식단). 위장에 감기가 나타납니다. 통증을 줄이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하고 아프로티닌을 사용합니다. 수막염이 의심되는 경우 진단적 가치뿐만 아니라 치료적 가치도 있는 요추 천자가 필요합니다. 이 경우 진통제, 푸로세미드(라식스)를 1일 1mg/kg 투여하는 탈수요법, 아세타졸아미드 등을 처방한다. 심한 뇌 증후군의 경우 덱사메타손은 3-4일 동안 하루 0.25-0.5mg/kg으로 처방되고, 월경염의 경우 2-3주 동안 이방성 약물이 처방됩니다.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대략적인 기간

장애 기간은 유행성 이하선염의 임상 경과, 수막염 및 수막 뇌염, 췌장염의 존재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고환염 및 기타 특정 병변.

임상검사

유행성 이하선염 (Mumps)은 건강 진단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임상상과 합병증의 유무에 따라 전염병 전문가가 수행합니다. 필요한 경우 다른 전문 분야의 전문가(내분비학자, 신경과 전문의 등)가 참여합니다.

방지

유행성 이하선염 환자는 9일 동안 어린이 집단에서 격리됩니다. 접촉자(볼거리가 없고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만 10세 미만 아동)는 21일 동안 격리되며, 정확한 접촉일이 확정된 경우에는 11일부터 21일까지 격리됩니다. . 소독제를 사용하여 실내를 습식 청소하고 실내 환기를 실시합니다. 환자와 접촉한 어린이는 격리 기간 동안 의료 감독을 받습니다.

예방의 기본은 국가 예방접종 일정의 틀 내에서 예방접종을 하는 것입니다. 예방접종은 유행성 이하선염 배양 기반 생건조 백신으로 실시하며, 금기 사항은 12개월에, 재접종은 6년에 고려합니다. 백신은 견갑골 아래 또는 견갑골 외부 표면에 0.5ml의 용량으로 피하 투여됩니다. 백신 접종 후 단기 발열, 4~12일 동안 카타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매우 드물게 타액선 비대, 장액성 수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행성 이하선염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과 질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의 응급 예방을 위해 환자와 접촉한 후 72시간 이내에 백신을 접종합니다. 볼거리-홍역 배양 생건조 백신과 홍역, 볼거리, 풍진에 대한 약독화 동결건조 생백신(인도산)도 인증되었습니다.

항 이하선염 면역글로불린과 혈청 면역글로불린은 효과가 없습니다. 국소적인 전신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1회 접종만으로 볼거리 생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홍역, 볼거리, 풍진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합니다. 노출 후 예방접종은 볼거리로부터 보호되지 않습니다.

예측

합병증이 없는 유행성 이하선염의 경우 일반적으로 회복되지만 2주 후에 재발할 수도 있습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은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지만 일측성(드물게 양측성) 청력 상실이나 안면 마비와 같은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감염후 뇌염, 급성 소뇌 운동실조, 횡단척수염, 다발신경염은 드물다.

의학 전문 편집자

포트노프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

교육:키예프 국립 의과대학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A.A. Bogomolets, 전문 - "일반 의학"

소셜 네트워크에서 공유

사람과 그의 건강한 삶에 관한 포털 iLive.

주목! 자가 치료는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건강에 해를 끼치 지 않도록 자격을 갖춘 전문가와 상담하십시오!

잠복기는 며칠에서 한 달까지 다양하며, 대부분 18~20일 정도 지속됩니다.
어린이의 경우 아주 드물게 오한, 두통, 근육 및 관절 통증, 구강 건조 및 이하선 타액선 부위의 불쾌한 감각으로 나타나는 짧은 (1-3 일) 전구 증상 기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 자주, 질병은 오한과 낮은 등급에서 높은 체온으로의 증가로 급격하게 시작됩니다. 발열이 1주일 이상 지속됩니다. 그러나 정상 체온에서도 질병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열에는 두통, 전신 허약, 불쾌감, 불면증이 동반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주요 증상은 이하선의 염증이며, 턱밑 및 설하 침샘의 염증일 수도 있습니다. 이 땀샘의 투영에는 붓기가 나타나고 촉진시 통증이 있으며 (중앙에 더 많음) 반죽과 같은 일관성이 있습니다. 이하선 침샘이 뚜렷하게 확대되면 환자의 얼굴이 배 모양이 되고 영향을 받은 쪽의 귓불이 올라갑니다. 붓는 부위의 피부는 늘어지고 윤기가 나며 접히기가 어렵고 일반적으로 색이 변하지 않습니다. 더 흔히 이 과정은 1-2일 후에 반대편의 귀밑샘을 침범하는 양측성이지만, 일측성 병변도 가능합니다. 환자는 특히 밤에 이하선 부위의 긴장감과 통증으로 괴로워합니다. 종양이 유스타키오관을 압박하면 귀에 소음과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귓불 뒤를 누르면 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Filatov 증상). 이 증상은 볼거리의 가장 중요하고 초기 징후입니다. 스테논관 입구 주변의 점막은 충혈 및 부종성입니다(무르수 증상). 인두의 충혈이 종종 나타납니다. 통증으로 인해 음식을 씹을 수 없는 경우도 있고, 심한 경우 저작근의 기능적 개구증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타액 분비 감소, 구강 건조 및 청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증은 3~4일 동안 지속되며 때로는 귀나 목까지 퍼지다가 주말이 되면 점차 사라집니다. 이 무렵이나 며칠이 지나면 침샘 돌출부의 부기가 사라집니다. 볼거리의 경우 국소 림프절병증은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성인의 경우 전구증상 기간이 더 자주 관찰되며 더 뚜렷한 임상 증상이 특징입니다. 이 기간 동안 일반적인 독성 외에도 카타르 및 소화 불량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질병의 급성기는 일반적으로 더 심각합니다. 어린이보다 턱밑 및 설하 타액선의 병변 (아마도 격리 됨)이 훨씬 더 자주 관찰됩니다. 악하염의 경우 타액선은 반죽 같은 질감을 가지며 약간 통증이 있고 아래턱을 따라 길어지며 머리를 뒤로 젖히고 옆으로 기울일 때 인식됩니다. 샘 주변의 피하 조직이 부어오르는 경우가 종종 목까지 퍼집니다. 설하염은 같은 성질의 턱 부위의 부종, 혀 밑의 통증, 특히 혀가 튀어 나올 때 국소 충혈 및 점막 부종으로 나타납니다. 성인의 타액선 돌출부의 부기는 더 오래 지속됩니다(2주 이상).

RCHR(카자흐스탄 공화국 보건부 산하 공화국 보건 개발 센터)
버전: 카자흐스탄 공화국 보건부의 임상 프로토콜 - 2016

볼거리(B26)

간단한 설명


승인됨
의료품질공동위원회
카자흐스탄 공화국 보건사회개발부
2016년 8월 16일부터
프로토콜 번호 9


볼거리 감염.유행성 이하선염(유행성 이하선염)은 파라믹소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발열, 전신 중독, 하나 이상의 타액선 비대, 종종 다른 선기관 및 중추신경계 손상을 특징으로 합니다.

ICD-10과 ICD-9 코드의 상관 관계

ICD-10 ICD-9
암호 이름 암호 이름
26세에 이하선염 - -
26.0에 볼거리 고환염
26.1에 볼거리 수막염
26.2에 볼거리 뇌염
26.3에 볼거리 췌장염
26.8에 기타 합병증이 있는 볼거리
26.9에 합병증이 없는 볼거리

프로토콜 개발 날짜: 2016년

프로토콜 사용자: 응급의사, 구급대원, 일반의, 치료사, 감염내과 전문의.

증거 규모의 수준:


고품질 메타 분석, RCT의 체계적인 검토 또는 매우 낮은 확률(++)의 편향 가능성이 있는 대규모 RCT로 그 결과를 적절한 모집단에 일반화할 수 있습니다.
안에 코호트 또는 환자-대조 연구에 대한 고품질(++) 체계적 검토, 비뚤림 위험이 매우 낮은 고품질(++) 코호트 또는 환자-대조 연구, 비뚤림 위험이 낮은(+) RCT, 그 결과는 적절한 모집단에 일반화될 수 있습니다.
와 함께 비뚤림 위험이 낮은 무작위 배정이 없는 코호트, 사례 대조 연구 또는 대조 시험(+).
그 결과는 관련 모집단에 일반화될 수 있거나 비뚤림 위험이 매우 낮거나 낮은(++ 또는 +) RCT에 일반화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관련 모집단에 직접 일반화될 수 없습니다.
사례 시리즈 또는 통제되지 않은 연구 또는 전문가 의견.

분류


볼거리의 임상적 분류(Lobzin Yu.V., 2003).

유형:
A. 전형적인 형태:
· 복잡하지 않은 경우: 침샘 중 하나 이상의 손상;
· 복잡함: 타액선 및 기타 기관의 손상(수막염, 수막뇌염, 췌장염, 고환염, 유방염, 심근염, 관절염, 신장염).

심각도별:
· 쉬운;
· 평균;
· 무거운.

B. 비정형 형태:
· 지워졌습니다.
· 불분명하다.

B. 볼거리의 잔여 현상:
고환 위축;
· 불임;
· 당뇨병;
· 청각 장애;
· 중추신경계의 기능 장애.

진단(외래 진료소)


외래환자 진단

진단 기준:
불만사항:
· 체온은 최대 38.0-40.0°C입니다.
· 두통;
· 오한;
수면 및 식욕 장애;
· 약점, 불쾌감;

귀 부위의 통증;
· 마른 입.

병력:
질병의 급성 발병;

· 환자와의 접촉;

신체 검사
특징적인 증후군:
중독 증후군:
· 열이 없는 수준(경증)에서 38.0~40.0°C(중등도 및 중증)까지 체온이 상승합니다. 발열은 질병 발병 1~2일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고 4~7일 동안 지속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복잡한 과정으로 인해 중독 및 발열이 파도에 발생하며 각 파도는 다른 합병증의 출현과 관련됩니다.


볼거리(



· 붓기 부위의 피부가 늘어나 접히기가 어렵고
정상적인 색상, 지역 온도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긍정적인 Filatov 징후(이주, 유양돌기 및 턱뒤와 부위를 누를 때 부기와 통증),

· 타액 분비 감소.




· 타액 분비 감소.

하위언어:

· 타액 분비 감소;

합병증:


· 메스꺼움, 구토;

느슨한 변이나 변비.

고환염(생선 손상):
체온 상승;


· 조밀한 일관성;

· 음낭의 피부에 충혈이 있습니다.


· 이 질병의 "자율" 고환염(유일한) 증상.

전립선염(전립선 손상):

):
체온 상승;
· 약점, 불쾌감;


장액성 뇌수막염:
장액성 뇌수막염은 다른 기관 및 시스템의 손상과 결합되며 볼거리 증상이 나타난 후 3~6일 후에 시작됩니다.
· 급성 발병;

· 두통;
반복적인 구토;
· 불명증;
· 감각과민;
수명;
· 청각과민;
· 경련;
· 섬망;

드물지만 장액성 수막염의 증상이 침샘 손상보다 먼저 나타납니다.

수막뇌염유행성 이하선염의 드물고 심각한 합병증인 질병의 6~10일에 발생합니다.
· 심한 두통;
반복적인 구토;
무력증;
· 졸음;
· 무기력함;
· 의식 소실;

· 뇌신경 마비;
· 편마비;
· 소뇌 운동실조.

단일신경염(

척수염 및 뇌척수염

심각도 기준 유행성 이하선염:

가벼운 형태:
· 중독 증상이 없거나 경미합니다(체온이 열 이하 수준으로 상승, 약간의 허약, 권태감, 두통).
· 합병증이 없습니다.

보통 형태:


· 합병증의 존재.

심한 형태:

· 여러 합병증;

실험실 연구
임상 분석:

생화학적 분석:
· 생화학적 혈액 검사: 아밀라아제 활성 증가;
· 생화학적 소변 분석: 디아스타제 활성 증가.

혈청학적 혈액 검사:
· ELISA - 볼거리 바이러스에 대한 IgM 검출.

도구 연구:
· 외래환자로는 시행되지 않습니다.

진단 알고리즘

진단(병원)


입원환자 수준의 진단

병원 수준의 진단 기준
불만사항:
· 체온은 최대 38.0-40.0°C입니다.
· 두통;
· 오한;
수면 및 식욕 장애;
· 약점, 불쾌감;
입을 씹거나 벌릴 때 통증이 있습니다.
귀 부위의 통증;
· 마른 입.

병력:
질병의 급성 발병;
· 한쪽 이하선 부위에 부종이 나타나고 며칠 후 다른 쪽에도 나타납니다.
· 환자와의 접촉;
· 예방접종이 부족하고 과거 유행성 이하선염이 있었던 경우.

신체 검사
중독 증후군:
· 열이 없는 수준(경증)에서 38.0~40.0°C(심각함)로 체온이 상승합니다. 발열은 발병 1~2일째에 최고 수준에 이르고 4~7일 동안 지속되며, 체온이 용적으로 감소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복잡한 과정으로 인해 중독 및 발열이 파도에 발생하며 각 파도는 다른 합병증의 출현과 관련됩니다.

선기관증후군
볼거리(이하선 타액선의 일측 또는 양측 손상):
· 귓바퀴 앞, 아래 및 뒤 이하선 부위의 적당히 통증이 있는 부기, 반죽 같은 일관성, 중앙의 압축, 귓불이 튀어나오고, 염증이 있는 선이 목과 아래턱 사이의 구멍을 채웁니다.
· 분비선에 양측 손상이 있으면 머리가 "배 모양"이고 귀가 튀어 나옵니다.
· 샘 주변 조직의 부기, 뺨, 관자놀이 부위 및 유양돌기 부위로 퍼짐(항상 그런 것은 아님)
· 부종 위의 피부가 긴장되고 접히기 어렵고 색깔이 정상이며 국소 온도에 변화가 없습니다.
· 양성 Filatov 징후(이주, 유양 돌기 및 턱뒤와 부위를 누를 때 부종 및 통증)
양성 머슨 징후(뺨의 점막을 검사할 때 이하선의 이하선관(Stenon) 입 주변의 부기 및 충혈);
· 타액 분비 감소.

악하염(턱밑 침샘의 일측 또는 양측 손상):
· 반죽 같은 농도를 지닌 스핀들 모양의 통증성 형성이 아래턱 아래에서 만져집니다.
· 목까지 퍼지는 연조직의 부기(항상 그런 것은 아님);
· 타액 분비 감소.

하위언어:
· 턱 부위와 혀 아래의 붓기와 압통;
· 타액 분비 감소;
· 턱밑 및 설하 침샘의 현저한 증가와 함께 인두, 후두, 혀의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췌장염(췌장 손상):
체온 상승;
· 메스꺼움, 구토;
· 상복부 통증;
느슨한 변이나 변비.

고환염(생선 손상)
체온 상승;
· 서혜부 및 대퇴부 부위에 방사선 조사 시 영향 받은 고환의 통증;
· 고환이 2~3배 확대됩니다(보통 오른쪽 고환의 일방적인 손상).
· "원발성" 고환염(이하선 타액선의 비대에 앞서);
· "수반되는" 고환염(유행성 이하선염과 동시에 발생);
· "자율" 고환염(질병의 유일한 증상);
· 조밀한 일관성;
· 촉진시 통증;
· 음낭 피부의 충혈.

전립선염(전립선 손상)
· 회음부와 항문의 통증;
· 직장의 디지털 검사를 이용한 전립선 확대.

난소염(여성 생식선 손상)
체온 상승;
· 약점, 불쾌감;
· 장골 부위의 통증.

중추 및 말초 신경계 손상 증후군
장액성 뇌수막염:
장액성 수막염은 다른 기관 및 시스템의 손상과 결합되며 볼거리 증상이 나타난 후 3~6일 후에 시작됩니다.
· 급성 발병;
· 체온이 39.0-40.0°C로 급격히 증가합니다.
· 두통;
반복적인 구토;
· 불명증;
· 감각과민;
수명;
· 청각과민;
· 경련;
· 섬망;
· 의식 소실;
양성 수막 증상(뻣뻣한 목, Brudzinski 증상, Kernig 증상).
드물지만 장액성 수막염의 증상이 침샘 손상보다 먼저 나타납니다.

수막뇌염발병 6-10일째에 발생하며 드물고 심각한 유행성 이하선염의 합병증입니다.
· 심한 두통;
반복적인 구토;
무력증;
· 졸음;
· 무기력함;
· 의식 소실;
· 간대성 경련;
· 뇌신경 마비;
· 편마비;
· 소뇌 운동실조.

단일신경염(뇌신경 손상), 주로 말초 유형의 VII 쌍과 VIII 쌍의 병변 :
· 청신경 손상 - ​​현기증, 안구진탕, 이명, 청력 상실.

척수염 및 뇌척수염질병의 10-12일째에 나타나며 경직성 하반신 마비, 골반 장기 기능 장애(대변실금, 소변 실금)로 나타납니다.

볼거리의 드문 합병증:유방염, 바르톨린염, 갑상선염, 신장염, 요도염, 출혈성 방광염, 심근염, 누낭염, 호흡기 손상, 인두 부종, 후두, 혀.

심각도 기준 유행성 이하선염:
· 중독 증상의 심각도;
· 합병증의 유무.

가벼운 형태:
· 중독 증상은 없거나 경미하며(체온이 열 이하 수준으로 상승, 약간의 허약, 권태감, 두통), 합병증은 없습니다.

보통 형태:
· 발열(38.0-39.0°C), 중독 증상이 뚜렷함 - 전신 허약, 두통, 오한, 관절통, 근육통;
· 타액선의 상당한 확대;
· 합병증의 존재.

심한 형태:
· 심한 중독 증상: 체온이 40°C 이상, 심한 허약, 수면 장애, 빈맥, 혈압 저하;
· 여러 합병증;
· 중독증과 발열은 파동의 형태로 발생하며 각각의 새로운 파동은 또 다른 합병증의 출현과 연관됩니다.

실험실 연구:
· CBC: 백혈구 감소증, 림프구 증가증, ESR은 변하지 않습니다.
· OAM: 단백뇨, 원통형뇨증(심각한 질병의 경우).

뇌척수액 검사:
· 색상 - 무색;

· 압력 - 액체가 흐름으로 흘러 나오거나 자주 떨어지면 압력이 물의 300-500mm에 도달합니다. 미술.;



(표시에 따라):
척추 천자 - 뇌 증상 또는 양성 수막 증상이 나타날 때;

· 복부 기관의 초음파 - 췌장 조직의 크기와 구조의 손상 정도를 확인합니다.



진단 알고리즘:외래환자 수준을 참조하세요.

주요 진단 조치 목록:
· CBC: 백혈구감소증, 림프구증가증, ESR은 변하지 않습니다.
· OAM: 단백뇨, 원통형뇨증(중증 질환의 경우);
· 생화학적 혈액 검사: 아밀라제, 디아스타제의 활성이 증가합니다.

혈청학적 혈액 검사:
· ELISA - 볼거리 바이러스에 대한 Ig M 검출.
· RSK, RTGA - 쌍을 이루는 혈청을 연구할 때 항체 역가가 4배 이상 증가합니다(첫 번째는 질병 발병 시에, 두 번째는 2~3주 후에 채취). 단일 연구에서 진단 역가는 1:80입니다. .

분자유전학적 방법:
· PCR - 타액 및 비인두 세척액에서 바이러스 RNA를 검출합니다.

추가 진단 조치 목록:
뇌척수액 검사(표시에 따라):
· 색상 - 무색;
· 투명도 - 투명하거나 약간 유백색을 띤다.
· 압력 - 액체가 흐름으로 흘러 나오거나 자주 떨어지면 압력이 300-500mm 수주에 도달합니다.
· 다혈구증 - 300-700개 세포 내 림프구, 1μl당 최대 1000개;
· 단백질이 0.3-0.9 g/l로 증가합니다(수막뇌염이 발생하면 지표가 더 높아집니다).
· 포도당 수준은 변하지 않거나 약간 증가합니다.
· 염화물 수준은 변하지 않습니다.

도구 연구(표시에 따라):
척추 천자 - 뇌 증상을 확인할 때 뇌막 증상이 양성입니다.
· 타액선 초음파 - 손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입니다.
· 복부 기관의 초음파 검사 - 췌장의 크기와 구조에 대한 손상 정도를 확인합니다.
· 음낭 및 골반 초음파 - 생식 기관의 손상 정도를 확인합니다.
· ECG - 심혈관계 장애, 심장 손상의 조기 발견(심각한 경우);
· 흉부 엑스레이 - 폐렴을 포함하여 호흡기 하부에 염증 변화가 의심되는 경우;
· EEG - 국소 신경학적 증상, 발작, 두개내 고혈압 징후가 있는 경우.

감별 진단

진단 감별진단의 이론적 근거 설문조사 진단 제외 기준
화농성 이하선염 일반적인 증상 : 급성 발병, 심한 중독 증상, 발열, 이하선 부위의 부종. 외과의 상담 390C 이상의 발열. 타액선 부위의 부종은 급격하게 고통스럽고 밀도가 높으며 점차적으로 부드러워지고 변동됩니다. 패배는 언제나 일방적이다. 스테논관 입구에서 고름이 배출됩니다.
CBC에서 호중구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백혈구 증가증은 ESR을 증가시킵니다.
감염성 단핵구증 일반적인 증상: 급성 발병, 발열, 중독 증상, 이하선 및 턱밑 부위의 부종. 감염내과 전문의와의 상담 흉쇄유돌근을 따라 사슬 형태로 위치한 경부 림프절의 확대, 인후염, 간비종대, 발진, 황달 증후군의 존재 가능성. 지속적인 발열.
UAC에서 호중구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백혈구 증가증은 ESR을 가속화합니다.
진단은 혈액 내 비정형 단핵 세포의 검출과 외부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항체 역가의 증가(폴-부넬 반응)를 통해 확정됩니다.
림프육아종증 일반적인 증상:
이하선 및 턱밑 부위의 붓기.
감염내과 전문의, 혈액내과 전문의, 종양내과 전문의와의 상담 림프절 손상(가능한 모든 림프절 그룹) 이 경우 후자는 일반적으로 "원인 없는"쇠약, 무력증, 주기적인 체온 상승 및 발한 증가가 선행됩니다. 이 질병은 장기간 진행되는 과정이 특징입니다. CBC에서는 호중구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백혈구 증가증, 단핵구증이 뚜렷하고 ESR이 가속화됩니다.
림프육아종증의 최종 진단은 림프절 생검 결과로 확인됩니다.
타액결석질환
외과의 상담
발열이나 중독은 없습니다. 질병의 재발 과정. 붓기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며, 식사 시 "타액 산통"이 심해집니다. 다른 장기에는 손상이 없습니다.
UAC에는 변경 사항이 없습니다.
미쿨리츠 증후군
일반적인 증상 : 이하선 부위의 부기
외과의 상담 질병의 발병은 과정의 만성화와 함께 점진적입니다. 체온 상승, 중독 부족. 침샘의 비대는 양측에 덩어리지고 약간 통증이 있습니다. 기타 기관의 손상: 림프샘 비대, 간, 비장, 눈꺼풀처짐.
UAC 혈소판 감소증, 빈혈.

환자의 턱밑 및 이하선 부종이 있는 경우 감별진단 검색을 위한 알고리즘

해외에서 치료

한국, 이스라엘, 독일, 미국에서 치료받기

의료관광에 대한 조언을 받아보세요

치료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유효성분)
아목시실린
아프로티닌
아스코르브 산
아세타졸아미드
덱사메타손
포도당
디클로페낙
이부프로펜
클라불란산
로라타딘
만니톨
메글루민
염화나트륨
오메프라졸
판크레아틴
판토프라졸
파라세타몰
프레드니솔론
푸로세마이드
클로로피라민
세티리진
세파졸린
세프트리악손

치료(외래 진료소)


외래환자 치료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경증 및 중등도의 유행성 이하선염은 합병증 없이 치료됩니다.

비약물 치료 :




약물 치료
이방성 치료:수행되지 않습니다.

병원성 치료
해독 요법:
· 20~40ml/kg의 비율로 물을 충분히 마십니다.

탈감작 요법:


또는
· 세티리진 5mg, 10mg, 1정 1일 1회, 5~7일 [UD-B],
또는

비타민 요법

대증요법:
체온이 38.0°C 이상으로 상승할 때
다음 약물 중 하나:
이부프로펜 200mg, 400mg, 1정을 발열이 가라앉을 때까지 하루 3~4회 경구 투여합니다[UD - A].
또는

또는


· 아스코르브산, 50 mg, 경구 [UD - C].


이부프로펜 200 mg, 400 mg, 경구 [UD-A];
또는
디클로페낙 75 mg/2 ml, IM [UD - A];
또는
· 파라세타몰 500 mg, 경구용 [UD - A].
· 클로로피라민 25 mg, 경구 [UD - C];
또는
세티리진 5 mg, 10 mg, 경구 [UD - B];
또는
· 로라타딘 10 mg, 경구 [LE - B].

전문가와의 상담에 대한 적응증:
· 외과 의사와의 상담: 급성 복부의 임상상을 개발하고 심각한 고환염의 외과적 치료 문제를 해결할 때;



· 산부인과 전문의와의 상담: 임산부의 볼거리, 여성 생식샘에 손상이 있는 사람.

예방 조치:
발병 시점부터 9일까지 격리. 발병에 대한 최종 소독은 실시되지 않습니다. 방은 환기되고 소독제를 사용하여 습식 청소됩니다.
접촉자 중 유행성이하선염을 앓지 않았고,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10세 미만 아동은 21일 동안 격리 대상이다. 접촉 10일째부터 체계적인 의학관찰(검사, 체온 측정)을 실시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을 중심으로 전염병 징후에 따라 예방 접종 대상이 결정됩니다. 예방접종은 환자와 접촉한 적이 있는 사람(질병이 의심되는 경우), 이전에 볼거리를 앓은 적이 없는 사람, 예방접종을 받은 적이 없는 사람(또는 한 번 예방접종을 받은 사람), 감염력 및 예방접종 이력이 알려지지 않은 사람, 그리고 예방접종 대상입니다. 혈청 검사 중 보호막에 항체가 없는 사람 볼거리 바이러스 역가. 유행성 이하선염에 대한 예방접종은 유행성 이하선염의 첫 번째 환자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7일 이내에 실시됩니다.

유행성이하선염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어린이(예방접종 연령에 도달하지 않았거나 의학적 금기 사항 또는 예방접종 거부로 인해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경우) 환자와 접촉한 지 5일 이내에 정상적인 인간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합니다. 사용 지침. 수행된 예방접종 및 면역글로불린 투여에 대한 정보(날짜, 약물명, 용량, 시리즈, 관리 번호, 만료일, 제조업체)는 예방접종 조직 요구 사항에 따라 등록 양식에 입력됩니다.
특정 예방접종은 12개월에 KKP 생백신을 사용하고, 6년에 재접종을 실시합니다.

환자 상태 모니터링:
· 2일 이내에 담당 의사의 재검사를 받고, 환자의 상태가 악화된 경우 38oC 이상의 발열, 반복적인 구토, 심한 두통, 졸음, 혼수 등이 나타났습니다.
· 어떤 상황에서 의사를 다시 만나야 하는지 환자에게 알려줍니다.
· 환자에게 입원 치료 의뢰: 신경계(의식 장애, 섬망, 경련, 수막 증상), 위장관(상복부 통증, 반복적인 구토), 비뇨생식기(서혜부 통증, 비대)에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고환).

치료 효과의 지표

· 합병증이 없습니다.

치료(입원환자)

입원환자 치료

치료 전술

비약물 치료 :
· 요법: 질병의 급성기(7-10일) 동안 침대에 누워 있습니다.
· 다이어트 2번: 충분한 수분, 신 과일 주스 및 과일 음료, 레몬 주스가 포함된 물(타액선의 침 분비를 자극하기 위해)을 마십니다. 음식은 액체, 반액체, 유제품-야채이며 구운 식품, 파스타, 지방, 튀긴 음식, 양배추를 제한합니다. 현미빵, 쌀, 감자는 허용됩니다.
· 침샘 부위에 국소적으로 건열을 가합니다.
· 구강 관리, 구강 인두 헹구기(따뜻한 끓인 물, 약초탕, 2% 중탄산나트륨 용액, 방부제)를 하루 4~6회 실시합니다.
· 고환염의 경우 - 서스펜서를 착용합니다.

약물 치료
이방성 치료개발되지 않았습니다.

해독 요법:
· 합병증이 없는 중등도 질환의 경우 - 20-40 ml/kg의 비율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십시오.
· 합병증이 있는 중증 질환의 경우 - 주입 요법 - 등장액(0.9% 염화나트륨 용액, 400; 5% 포도당 용액, 400.0) 및 콜로이드 용액(메글루민 숙신산나트륨, 400.0)을 3~4:1의 비율로 투여 3-5일 동안 총 용량 1200-1500 ml.

탈감작 요법:
다음 약물 중 하나:
· 클로로피라민 25 mg, 1정을 하루 3회, 5-7일 동안 경구 투여합니다[UD - C];
또는
· 세티리진 5mg, 10mg, 1정 1일 1회, 5~7일 경구 투여[UD-B];
또는
· 로라타딘 10mg, 1정을 1일 1회, 5~7일 동안 경구 투여합니다[EL-B].

비타민 요법산화 환원 공정 조절, 항산화 목적:
· 아스코르빈산 50mg, 2정을 하루 3회, 2주 코스로 경구 투여합니다.
대증요법:
체온이 38.0°C 이상으로 올라가면:
다음 약물 중 하나:
· 이부프로펜 200mg, 400mg, 1정을 하루 3~4회 발열이 가라앉을 때까지 경구 투여합니다[UD - A].
또는
디클로페낙 75 mg/2 ml, IM [UD - A];
또는
· 파라세타몰 500mg, 1정을 최소 4시간 간격으로 경구 투여합니다[UD - A].

합병증이 있는 볼거리의 병원성 치료

장액성 뇌수막염 췌장염 고환염 세균성 합병증
GCS 요법

-프레드니솔론,
앰플 30mg/ml, 25mg/ml, 2mg/kg/일로 계산. 나는/v, 나는/m;
-덱사메타손,
앰플 4mg/ml을 0.2mg/kg/일의 비율로 투여하며, 치료 과정은 최대 3일입니다.
탈수 요법
질병 발생 4~5일 후 푸로세미드, 앰플 10mg/ml, 2.0ml(심한 경우 최대 100mg/일), 치료 기간 1~3일;
- 만니톨(10, 15 및 20%) - 400.0ml를 10-20분에 걸쳐 정맥 주사합니다. (뇌부종의 위험이 있는 경우)
-아세타졸아미드 250mg, 하루 1정
항분비요법
다음 약물 중 하나
-판토프라졸 20mg, 40mg을 1일 2회 경구 투여하고,
-오메프라졸 20mg, 40mg을 하루 2회.
프로테아제 억제제
- 아프로티닌 10,000 단위, 앰플, 정맥 점적, 코스 5-7일.
외분비 췌장 부전의 치료
-판크레아틴 10000, 25000 단위. 식사를 위해
GCS 요법

프레드니솔 5mg, 5~7일 동안 40~60mg 경구 투여한 후 일일 용량을 5mg 감량합니다.

항균 요법
다음 약물 중 하나
-아목시실린 + 클라불론산 500/125 mg, 875/125 mg, 1정 1일 2-3회, 코스 7-10일;
-병에 주입하기 위한 용액 제조용 세파졸린 분말 1g, 2g 하루 2-3회 IM, IV, 코스 7-10일;
- 주사용 용액 제조용 세프트리악손 분말 1g, 2g을 1일 2-3회 IM, IV, 코스 7-10일 병에 담습니다.

필수 의약품 목록
· 아스코르브산, 50mg, 경구용 정제[UD - C].

추가 의약품 목록
이부프로펜 200mg, 400mg, 경구용 정제[UD-A];
· 또는 디클로페낙 75mg/2ml, IM 앰플[UD - A].
· 또는 파라세타몰 500mg, 경구용 정제[UD - A].
· 클로로피라민 25 mg, 경구 정제 [UD - C];
· 또는 세티리진 5mg, 10mg, 경구용 정제[UD-B],
· 또는 로라타딘 10mg, 경구용 정제[UD-B].
프레드니솔론, 30 mg/ml, 25 mg/ml, 앰플 IM, IV;
· 덱사메타손, 4 mg/ml, 앰플 IM, IV;
푸로세미드, 10mg/2.0ml, 앰플 IM, IV;
· 만니톨 10, 15 및 20% 400.0ml 병, IV;
· 아세타졸아미드 250mg, 경구용 정제;
판토프라졸 20, 40mg 정제, 또는
· 오메프라졸 20, 40mg 정제;
· 아프로티닌 10,000 단위, 앰플, i.v.
· 판크레아틴 10000, 25000 단위, 캡슐;
아목시실린 + 클라불론산 500/125 mg, 875/125 mg, 정제 또는
· 1g, 2g IM, IV, 또는 1병의 주사용 용액 제조용 세파졸린 분말
· 병 1g에 주입하기 위한 용액 제조용 세프트리악손 분말, 근육내, 정맥내;
· 0.9% 염화나트륨 용액, 400, IV 병;
· 5% 포도당 용액, 400.0, IV 병;
· 메글루민 숙신산나트륨, 400.0, IV병.

외과적 개입:
· 심한 고환염의 경우 - 고환의 tunica albuginea를 해부합니다.

다른 유형의 치료:아니요.

전문가와의 상담에 대한 적응증
· 외과 의사와의 상담 : 복강의 급성 수술 질환에 대한 감별 진단을 위해 심각한 고환염의 수술 치료 문제를 해결합니다.
· 내분비학자와의 상담: 유행성 이하선염으로 인한 당뇨병 및 비만 발생;
· 위장병 전문의와의 상담: 췌장이 손상된 경우;
· 비뇨기과 전문의와의 상담: 생식선 및 전립선이 손상된 경우;
· 산부인과 전문의와의 상담: 임산부의 유행성이하선염의 경우, 여성 생식선이 손상된 사람의 경우;
· 임상약리학자와의 상담: 치료의 교정 및 정당화를 위해.

중환자실 및 소생실로의 이송에 대한 적응증
· 심각한 신경 장애, 응급 상황 발생(호흡기 장애, 심혈관 부전, 의식 저하 징후)이 있는 심각한 형태의 유행성 이하선염.

치료 효과의 지표:
· 질병 증상의 완화;
· 합병증 없음;
· 실험실 매개변수의 표준화 - CBC, 생화학적 혈액 검사;
· 작업 능력의 회복.

추가 관리:
· 회복기 퇴원 관리 및 진료실 관찰 확립. 유행성 이하선염을 앓은 후 환자의 퇴원은 임상 징후에 따라 질병 발병 후 9 일 이내에 합병증이 없을 때 수행됩니다. 합병증이 있는 유행성이하선염을 앓은 환자는 적절한 전문가의 조제 관찰을 받아야 하며, 조제 관찰 프로그램 및 기간을 결정하고 잔류 효과가 지속적으로 사라진 후 등록이 취소됩니다.

입원


계획된 입원에 대한 적응증:아니요.

응급 입원에 대한 적응증(감염병 병원/부서 - 상자 또는 소규모 병동):
· 합병증이 있는 중등도 및 중증 형태;
· 위험 요인(만성 질환, 면역 결핍 상태)의 존재;
· 역학적 징후 - 가족 기숙사, 공동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람, 불리한 사회적 조건.

정보

출처 및 문헌

  1. 2016년 카자흐스탄 공화국 보건부 의료 서비스 품질 공동위원회 회의록
    1. 1) 전염병: 국가 지침. /에드. N.D. Yushchuka, Yu.Ya. Vengerova. M.: GEOTAR-미디어, 2009, 441-53페이지. 2) 감염병 안내. / 에드. 통신 회원 RAMS, 교수. Yu.V. 로브진. 3판, 확장 및 개정. - 상트페테르부르크: Foliot, 2003.-936 p. 3) Amireev S.A., Bekshin Zh.M., Muminov T.A. 기타 감염병 대책 사례 및 알고리즘의 표준 정의. 실용 가이드, 2판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 알마티, 2014 - 638p. 4) Duysenova A.K., Shokalakova A.K., Sadykova A.M., Abildaeva I.Zh., Imanbaeva A.E. 이름을 딴 주립 임상 병원의 자료를 기반으로 한 성인의 볼거리 감염 과정의 특징. 이다. Zhekenova./ Journal "Medicine".-No. 12.-2014.-P.63-66. 5) 전염병의 임상 및 실험실 진단. / 에드. Yu.V. 로브진. 의사를 위한 안내입니다. - 상트페테르부르크: Foliot, 2001.-384 p. 6) 볼거리. 병원체, 임상상, 진단, 예방에 대한 현대적인 아이디어./Ed. AP Agafonova.- 노보시비르스크: JSC "의료 및 생물학 연합", 2007.-82 p. 7) 유행성 이하선염 아동에 대한 의료 제공에 대한 임상 권장 사항 / 공공 기관 "유라시아 전염병 협회", 회장 Yu.V. 로브진, 2015.

정보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약어

Ig G 면역글로불린 G
Ig M 면역글로불린 M
혈압
ELISA 효소 면역분석
IU 국제 단위
CBC 일반 혈액 검사
OAM 일반 소변검사
PCR 중합효소 연쇄반응
RNA 리보핵산
RSC 보체 고정 반응
RTHA 적혈구응집 억제 반응
CSF 뇌척수액
ESR 적혈구 침강 속도
초음파 초음파 검사
심전도 심전도
EEG 뇌파검사

프로토콜 개발자 목록:
1) Kosherova Bakhyt Nurgalievna - Karaganda State Medical University RSE 의학박사, 교수, 임상 작업 및 지속적인 전문 개발 담당 부총장, 카자흐스탄 공화국 보건부의 최고 프리랜서 전염병 전문가.
2) Kim Antonina Arkadyevna - Karaganda State Medical University의 RSE 의학 후보자, 부교수, 전염병 및 피부병학과장.
3) Nurpeisova Aiman ​​​​Zhenaevna - 코스타나이 지역 보건국의 지방 정부 기업 "폴리클리닉 1호", 간학 센터장, 최고 카테고리의 전염병 의사, 수석 프리랜스 전염병 전문가.
4) Mazhitov Talgat Mansurovich - Astana Medical University JSC 의학박사, 임상약리학과 교수, 인턴십.

이해 상충:결석한.

리뷰어 목록: Doskozhaeva Saule Temirbulatovna - JSC "카자흐스탄 평생 교육 대학"의 의학 박사, 학술 담당 부총장, 소아 감염 과정에 따른 전염병 부서 책임자.

프로토콜 검토 조건:공표 후 3년, 발효일로부터 3년이 지난 후 또는 증거 수준이 높은 새로운 방법이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합니다.

첨부 파일

주목!

  • 자가 치료를 하면 건강에 돌이킬 수 없는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 MedElement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MedElement", "Lekar Pro", "Dariger Pro", "질병: 치료사 가이드"에 게시된 정보는 의사와의 대면 상담을 대체할 수 없으며 대체해서는 안 됩니다. 우려되는 질병이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기관에 문의하십시오.
  • 약물의 선택과 복용량은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의사만이 환자의 신체 질환과 상태를 고려하여 올바른 약과 복용량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 MedElement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MedElement", "Lekar Pro", "Dariger Pro", "질병: 치료사 디렉토리"는 독점적인 정보 및 참조 리소스입니다. 본 사이트에 게시된 정보는 의사의 지시를 무단으로 변경하는 데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 MedElement의 편집자는 이 사이트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체적 부상이나 재산 피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ICD-10은 1997년 5월 27일자 러시아 보건부의 명령에 따라 1999년 러시아 연방 전역의 의료 업무에 도입되었습니다. 170호

WHO는 2017~2018년에 새로운 개정판(ICD-11)을 출시할 계획입니다.

WHO의 변경 및 추가 사항.

변경 사항 처리 및 번역 © mkb-10.com

볼거리(ICD-10 코드: B26.8)

이하선 타액선의 염증. 급성 비특이적 유행성 이하선염의 경우 질병의 원인 물질은 다양한 미생물입니다. 만성 비특이적 볼거리는 종종 급성 볼거리의 결과입니다.

레이저 치료의 주요 목적은 샘의 염증을 제거하고 신진대사와 미세순환 혈역학을 개선하며 배설 활동을 최적화하는 것입니다.

치료 계획에는 선의 투영 영역과 얼굴의 광대뼈 및 협측 영역에 위치한 수용체 영역, 손등 및 팔뚝 안쪽 표면에 대한 노출, 외부 노출 영역을 포함한 추가 노출 영역의 직접 조사가 포함됩니다. 다리와 발의 표면.

유행성 이하선염 치료를 위한 치료 요법

쌀. 82. 이하선의 돌출.

치료 기간은 최대 12회이며, 3~5주 후에 필수 반복 치료 과정이 수행됩니다.

PKP BINOM이 생산하는 기타 장치:

가격표

유용한 링크

콘택트 렌즈

실제: Kaluga, Podvoisky St., 33

우편: Kaluga, Main Post Office, PO Box 1038

B26 볼거리

볼거리 또는 유행성 이하선염은 아래턱의 한쪽 또는 양쪽에 있는 침샘의 부종으로 나타나는 가벼운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대부분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이 영향을 받습니다. 성별, 유전학, 생활 방식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볼거리 바이러스는 아픈 사람의 타액에 들어가기 때문에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를 통해 퍼질 수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외이도 아래와 앞에 위치한 귀밑샘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붓게 만듭니다. 두 샘 모두 영향을 받으면 아이는 햄스터의 특징적인 모습을 취합니다. 10대 소년과 젊은 남성(4명 중 1명)에서 바이러스는 한쪽 또는 양쪽 고환에 통증성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드물게 불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감염된 사람 중 약 절반은 증상이 없는 볼거리를 갖고 있으며, 나머지 대부분은 경미한 증상을 보입니다. 볼거리의 주요 증상은 감염 후 2~3주 후에 나타나며 다음과 같습니다.

  • 적어도 3일 동안 얼굴 한쪽 또는 양쪽, 귀 아래와 앞쪽에 통증과 부기;
  • 삼킬 때 통증.

아이에게 인후통과 발열이 나타날 수 있으며, 아래턱 아래 침샘에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볼거리에 걸린 사람은 증상이 나타나기 7일 전부터 전염성이 있으며 증상이 사라진 후에도 10일 동안 전염성이 유지됩니다.

의사는 이하선 타액선의 특징적인 부종을 통해 질병을 진단합니다.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나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시원한 물을 많이 마시고 파라세타몰과 같은 일반 진통제를 복용하십시오.

심한 고환 염증이 있는 청소년과 젊은 남성에게는 강력한 진통제가 처방되지만, 병에 걸린 대부분의 사람들은 치료 없이 회복됩니다. 합병증이 발생하면 특별한 치료가 권장됩니다.

어린 아이들은 처음에는 12~15개월에, 그 ​​다음에는 4~6세에 홍역, 볼거리, 풍진에 대한 예방접종을 즉시 접종합니다.

완전한 의학 참고서/Trans. 영어로부터 E. Makhiyanova 및 I. Dreval - M.: AST, Astrel, 2006.p.

  • 구급 상자
  • 온라인 매장
  • 회사소개
  • 콘택트 렌즈
  • 출판사 연락처:
  • 이메일:
  • 주소: 러시아, 모스크바, 성. 5대 Magistralnaya, 12번.

www.rlsnet.ru 웹사이트 페이지에 게시된 정보 자료를 인용할 때 정보 출처에 대한 링크가 필요합니다.

©. 러시아 ® RLS ® 의약품 등록

판권 소유

자료의 상업적 이용을 금지합니다

의료 전문가를 위한 정보

동의어 - 볼거리 감염, 유행성 이하선염, 볼거리, 귀 뒤, "참호" 질병, "군인" 질병.

유행성 이하선염은 타액선 및 기타 선 기관(췌장, 생식선, 일반적으로 고환 등)뿐만 아니라 중추 신경계의 주요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인체 감염성 공중 감염 질환입니다.

B26. 이하선염.

B26.0†. 볼거리 고환염.

B26.1†. 볼거리 수막염.

B26.2†. 볼거리 뇌염.

B26.3†. 볼거리 췌장염.

B26.8. 다른 합병증이 있는 볼거리.

B26.9. 볼거리는 복잡하지 않습니다.

볼거리의 원인과 병인학

볼거리의 원인 물질- 폐렴구균 이하선염 바이러스(Pneumophila parotiditis virus), 인간과 원숭이에게 병원성. 파라믹소바이러스(파라믹소바이러스과, 루불라바이러스 속)에 속하며, 항원적으로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가깝습니다. 볼거리 바이러스 게놈은 뉴클레오캡시드로 둘러싸인 단일 가닥 나선형 RNA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뚜렷한 다형성이 특징입니다. 모양은 둥글거나 구형이거나 불규칙하며 크기는 100~600nm까지 다양합니다. 이는 당단백질 HN 및 F와 관련된 용혈, 뉴라미니다제 및 혈구응집 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닭 배아, 기니피그 신장 배양, 원숭이, 시리아 햄스터 및 인간 양막 세포에서 잘 배양되며 환경에서 안정성이 낮고 비활성화됩니다. 고온에 노출 시, 자외선 조사, 건조 시 소독액(50% 에틸알코올, 0.1% 포름알데히드 용액 등)에서 빠르게 파괴됩니다. 저온(–20°C)에서는 최대 몇 주 동안 환경에 지속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항원 구조는 안정적입니다.

V(바이러스)와 S(가용성)의 두 가지 항원을 갖는 바이러스의 혈청형은 단 하나뿐입니다. 바이러스의 최적 pH는 6.5~7.0입니다. 실험실 동물 중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에 가장 민감한 동물은 원숭이인데, 바이러스 함유 물질을 타액선에 도입하면 질병을 재현할 수 있습니다.

볼거리의 역학

볼거리는 전통적으로 아동기 감염으로 분류됩니다. 그러나 영아와 2세 미만의 볼거리는 드뭅니다. 2~25세 사이에는 이 질병이 매우 흔하며, 40년 후에는 다시 드물게 발생합니다. 많은 의사들은 유행성이하선염을 학령기 및 군 복무로 인한 질병으로 간주합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의 발병률은 병력 1,000명당 49.1명이었습니다.

최근에는 어린이의 대량 예방접종으로 인해 성인의 볼거리가 더 흔해졌습니다. 백신 접종을 받은 대다수의 사람들에게서 보호 항체의 농도는 5~7년 후에 크게 감소합니다. 이는 청소년과 성인의 질병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킵니다.

병원체의 근원- 첫 번째 임상 증상이 나타나기 1~2일 전, 발병 9일 이전에 바이러스를 분비하기 시작하는 볼거리가 있는 사람. 이 경우, 질병이 발생한 후 처음 3~5일 동안 바이러스가 환경으로 가장 활발하게 방출됩니다.

바이러스는 환자의 타액과 소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혈액, 모유, 뇌척수액 및 영향을 받은 선조직 등 환자의 다른 생물학적 체액에서도 검출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공기 중의 물방울에 의해 전염됩니다. 카타르 증상이 없기 때문에 환경으로의 바이러스 방출 강도는 낮습니다.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의 확산을 가속화하는 요인 중 하나는 기침과 재채기를 통해 병원체가 환경으로 방출되는 급성 호흡기 감염이 동반된다는 것입니다. 환자의 타액에 오염된 생활용품(장난감, 수건)을 통한 감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아픈 임산부로부터 태아에게 유행성 이하선염이 전염되는 수직 경로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질병의 증상이 사라진 후에는 환자에게 전염성이 없습니다.

감염 가능성이 높습니다(최대 100%). 병원체 전파의 "부진한" 메커니즘, 장기간 잠복기, 질병의 지워진 형태를 가진 다수의 환자로 인해 식별 및 격리가 어려워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볼거리가 발생한다는 사실로 이어집니다. 오랜 기간에 걸쳐, 몇 달에 걸쳐 파도처럼. 소년과 성인 남성은 여성보다 1.5배 더 자주 이 질병을 앓습니다. 계절성은 전형적입니다: 3~4월에 최대 발생률이 발생하고 8~9월에 최소 발생률이 발생합니다. 성인 인구 중 막사, 기숙사, 선박 승무원과 같은 폐쇄 및 반 폐쇄 커뮤니티에서 전염병 발생이 더 자주 기록됩니다. 발생률의 증가는 7~8년 간격으로 나타납니다.

볼거리는 통제된 감염으로 분류됩니다. 예방접종 도입 이후 발병률은 크게 감소했지만, 국가 예방접종 일정에 볼거리 예방접종을 포함하는 국가는 전 세계 42%에 불과하다. 바이러스의 지속적인 순환으로 인해 15세 이상 인구의 80~90%가 항볼거리 항체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 감염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25%의 경우 볼거리가 부적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질병이 발생한 후 환자는 평생 안정적인 면역력을 갖게 되며 질병이 재발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병인

볼거리 바이러스는 상기도 점막과 결막을 통해 몸 안으로 들어갑니다. 바이러스를 코나 뺨의 점막에 적용하면 질병이 발생한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나타났습니다. 몸에 들어간 후 바이러스는 호흡기의 상피 세포에서 증식하고 혈류를 통해 타액선, 생식선, 췌장선 및 중추 신경계가 가장 민감한 모든 기관으로 퍼집니다. 감염의 혈행성 확산은 초기 바이러스혈증과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다양한 기관과 시스템의 손상으로 입증됩니다.

바이러스혈증 단계는 5일을 초과하지 않습니다. 중추 신경계 및 기타 선 기관의 손상은 타액선 손상 이후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전, 심지어 손상 없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후자는 매우 드물게 관찰됩니다). 영향을 받은 기관의 형태학적 변화의 성격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선세포보다는 결합 조직의 손상이 우세하다는 것이 확립되었습니다. 이 경우 선 조직의 간질 공간에 부종과 림프구 침윤이 발생하는 것이 급성기의 특징이지만 볼거리 바이러스는 동시에 선 조직 자체를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고환염의 경우 부종 외에도 고환 실질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 인해 안드로겐 생산이 감소하고 정자 형성이 손상됩니다. 병변의 유사한 성격이 췌장 손상에 대해 설명되었으며, 이로 인해 당뇨병이 발생하면 췌도 장치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증상 및 임상상

볼거리에 대해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분류는 없습니다. 이것은 질병의 증상에 대한 전문가의 다양한 해석으로 설명됩니다. 많은 저자들은 타액선의 손상만을 질병의 특징적인 징후로 간주하고 신경계 및 기타 선 기관의 손상을 질병의 비정형 경과의 합병증 또는 징후로 간주합니다.

타액선뿐만 아니라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로 인한 다른 국소화의 병변이 질병의 합병증이 아닌 증상으로 정확하게 간주되어야한다는 입장이 병리학 적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또한 타액선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단독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동시에, 볼거리 감염의 고립된 발현으로서 다양한 기관의 병변은 거의 관찰되지 않습니다(질병의 비정형 형태).

반면에, 소아청소년의 질병이 거의 매번 발생하는 동안 정기적인 예방접종을 시작하기 전에 그리고 정기 검진 중에 진단된 지워진 형태의 질병은 비정형적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무증상 감염은 질병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분류에는 유행성이하선염으로 인한 빈번하고 장기적인 부작용도 반영되어야 합니다. 중증도 기준은 질병의 형태에 따라 완전히 다르고 병리학적 특이성이 없기 때문에 이 표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합병증은 드물고 특징적인 특징이 없으므로 분류에 고려되지 않습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임상 분류에는 다음과 같은 임상 형태가 포함됩니다.

타액선에 고립된 손상이 있는 경우:

– 타액선 및 기타 선 기관이 손상되었습니다.

– 침샘과 신경계가 손상되었습니다.

비정형(타액선 손상 없음).

선 기관이 손상되었습니다.

신경계가 손상되었습니다.

잔여 병리로부터의 회복:

잠복기는 11~23일(보통 18~20일)이다. 종종 질병의 전체 그림은 전구기(prodromal period)가 선행됩니다.

일부 환자(성인의 경우 더 자주)에서는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기 1~2일 전에 약화, 불쾌감, 구인두 충혈, 근육통, 두통, 수면 장애 및 식욕의 형태로 전구 현상이 관찰됩니다.

일반적으로 급성 발병, 오한 및 최대 39~40°C의 발열.

질병의 초기 징후 중 하나는 귓불 뒤의 통증(Filatov 증상)입니다.

이하선의 부종은 질병의 하루가 끝날 무렵 또는 질병의 두 번째 날에 가장 자주 나타나며, 한쪽에는 처음으로 나타나고, 환자의 80-90%에서는 1-2일 후에 다른 쪽에서 나타납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씹거나 말하면서 악화되는 이명, 귀 부위의 통증이 나타나고 개구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하선의 확대가 명확하게 보입니다. 샘은 유양돌기와 아래턱 사이의 공간을 채웁니다. 귀밑샘이 크게 증가하면 귓바퀴가 돌출되고 귓불이 위로 올라갑니다(그래서 인기 있는 이름인 "볼거리"). 붓기는 세 방향으로 퍼집니다: 앞쪽 - 뺨, 아래쪽 및 뒤쪽 - 목 및 위쪽 - 유양돌기 부위. 특히 환자의 머리 뒤쪽을 검사할 때 부종이 두드러집니다. 영향을 받은 분비선 위의 피부는 긴장되고 정상적인 색상을 띠며, 분비선을 만져볼 때 테스트 일관성이 있고 중간 정도의 통증이 있습니다. 부종은 질병 발생 3~5일에 최대 수준에 도달한 다음 일반적으로 6~9일(성인의 경우 10~16일)에 점차 감소하여 사라집니다. 이 기간 동안 타액 분비가 감소하고 구강 점막이 건조해지며 환자는 갈증을 호소합니다. Stenon의 덕트는 충혈, 부종성 고리 (Mursu의 증상) 형태로 뺨의 점막에 명확하게 보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하선뿐만 아니라 턱밑 타액선도 과정에 관여하며 이는 테스트 일관성의 약간 고통스러운 방추형 부종의 형태로 결정됩니다. 설하선이 영향을 받으면 부기가 턱에 나타납니다. 부위와 혀 아래. 턱밑샘(악하염)이나 설하선만 손상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일반적으로 고립된 볼거리가 있는 내부 장기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환자가 빈맥, 심첨부 심잡음, 둔한 심장 소리 및 저혈압을 경험합니다.

어린이와 성인의 볼거리의 증상

중추 신경계 손상은 두통, 불면증 및 운동 장애로 나타납니다. 발열 기간의 총 기간은 대개 3~4일이며, 심한 경우에는 최대 6~9일입니다.

청소년과 성인의 볼거리의 일반적인 증상은 고환 손상(고환염)입니다. 볼거리 고환염의 빈도는 질병의 중증도에 직접적으로 좌우됩니다. 중증 및 중등도 형태에서는 약 50%의 사례에서 발생합니다. 타액선 손상 없이 고환염이 가능합니다. 고환염의 징후는 온도 감소 및 정상화를 배경으로 질병의 5-8 일째에 나타납니다.

동시에 환자의 상태는 다시 악화됩니다. 체온이 38-39 °C로 상승하고 오한, 두통이 나타나고 메스꺼움과 구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음낭과 고환에 심한 통증이 나타나며 때로는 하복부까지 방사됩니다. 고환은 거위알 크기만큼 2~3배 커지고, 통증이 있고 촘촘해지며, 음낭의 피부는 충혈되고, 종종 푸르스름한 색조를 띕니다. 가장 흔히 하나의 고환이 영향을 받습니다. 고환염의 심각한 임상 증상은 5~7일 동안 지속됩니다. 그런 다음 통증이 사라지고 고환의 크기가 점차 감소합니다. 앞으로는 위축의 징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거의 20%의 환자에서 고환염은 부고환염과 결합됩니다. 부고환은 직사각형의 통증성 부종으로 만져집니다. 이 상태는 정자 형성 장애를 초래합니다. 남성 불임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 지워진 형태의 고환염에 대한 데이터가 얻어졌습니다. 볼거리 고환염의 경우, 전립선 및 골반 장기 정맥의 혈전증으로 인한 폐경색이 설명되었습니다. 볼거리 고환염의 더 드문 합병증은 지속발기증입니다. 여성에게는 난소염, 바르톨린염, 유방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생식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불임으로 이어지지 않는 난소염은 사춘기 이후 여성 환자에게서는 흔하지 않습니다. 유방염은 남성에게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흔한 증상은 급성 췌장염으로, 종종 증상이 없으며 혈액과 소변에서 아밀라제 및 디아스타제 활성이 증가하는 경우에만 진단됩니다. 다양한 저자에 따르면 췌장염의 발생률은 2~50%로 다양합니다. 이는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가장 자주 발생합니다. 이러한 데이터 분산은 췌장염 진단을 위한 다양한 기준의 사용과 관련이 있습니다. 췌장염은 일반적으로 발병 4~7일째에 발생합니다. 메스꺼움, 반복적인 구토, 설사, 복부 중앙부에 거슬리는 듯한 통증이 관찰됩니다. 심한 통증으로 인해 복부 근육의 긴장과 복막 자극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밀라아제(디아스타제) 활성이 크게 증가하여 최대 1개월까지 지속되는 반면, 질병의 다른 증상은 5~10일 후에 사라집니다. 췌장 손상은 섬 기관의 위축 및 당뇨병 발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드문 경우, 다른 선기관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침샘과 결합됩니다. 갑상선염, 부갑상선염, 눈물샘염, 갑상선염이 기술되었습니다.

신경계 손상은 볼거리 감염의 빈번하고 중요한 증상 중 하나입니다. 장액성 수막염이 가장 자주 관찰됩니다. 수막뇌염, 뇌신경 신경염, 다발근신경염도 가능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 수막염의 임상상은 다형성이므로 진단 기준은 뇌척수액의 염증 변화를 확인하는 것뿐입니다.

뇌척수막이 온전할 때 수막증 증후군과 함께 볼거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뇌척수막 증상 없이 뇌척수액의 염증성 변화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뇌수막염의 빈도에 대한 데이터는 다양한 저자에 따르면 2~3%에서 30%까지 다양합니다. 한편, 수막염 및 기타 중추신경계 병변을 적시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은 질병의 장기적인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뇌수막염은 3~10세 어린이에게서 가장 흔히 관찰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발병 4~9일째에 발생합니다. 타액선이 손상되거나 질병이 가라 앉는 배경에서. 그러나 뇌수막염의 증상이 침샘 손상과 동시에 또는 더 일찍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드물게 타액선 손상 없이 수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췌장염과 함께 발생합니다. 뇌수막염의 발병은 체온이 38~39.5°C로 급격하게 상승하고 심한 확산성 두통, 메스꺼움, 잦은 구토, 피부 감각과민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아이들은 무기력하고 무기력해집니다. 이미 질병의 첫날에 수막 증상이 나타나며, 예를 들어 심기 증상 ( "삼각대")과 같이 적당히, 종종 완전하지는 않습니다.

어린 아이의 경우 경련과 의식 상실이 가능하며, 나이가 많은 어린이의 경우 정신 운동 동요, 섬망 및 환각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뇌 증상은 대개 1~2일 내에 회복됩니다. 장기간 지속되면 뇌염이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두개내 고혈압은 LD가 300~600 mm H2O로 증가하는 수막 및 뇌 증상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요추 천자 중 CSF를 정상적인 LD 수준(200mmH2O)으로 조심스럽게 적하하면 환자 상태가 현저하게 개선됩니다(구토 중단, 의식 제거, 두통 강도 감소).

유행성 이하선염 수막염의 CSF는 투명하거나 유백색이며, 백혈구 증가증은 1μl당 200-400입니다. 단백질 함량은 0.3~0.6/L, 때로는 1.0~1.5/L까지 증가하며, 감소되거나 정상인 단백질 수준은 거의 관찰되지 않습니다. 세포증가증은 일반적으로 림프구성(90% 이상)으로 나타나며, 발병 1~2일에는 혼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혈장 내 포도당 농도가 정상 범위 내에 있거나 증가했습니다. 뇌척수액 위생은 수막증후군 퇴행 후 질병 발생 3주차에 이루어지지만, 특히 나이가 많은 어린이의 경우 최대 1~1.5개월까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수막뇌염의 경우 수막염 증상이 나타난 지 2-4일 후 수막 증상의 약화를 배경으로 일반적인 뇌 증상이 증가하고 초점 증상이 나타납니다: 팔자 주름의 부드러움, 혀 이탈, 힘줄 반사의 부활, 반사 반사증, 근육 고혈압, 피라미드 징후, 구강 자동증의 증상, 발 클로누스, 운동실조, 의도적 떨림, 안진증, 일과성 편마비. 어린 아이의 경우 소뇌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볼거리 수막염과 수막뇌염은 양성입니다.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 기능이 완전히 회복되지만 때로는 두개내 고혈압, 무력증, 기억력 저하, 주의력 저하, 청력 저하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수막염, 수막 뇌염의 배경에 대해 때로는 고립되어 뇌신경의 신경염, 가장 흔히 VIII 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현기증, 구토, 신체 자세 변화에 따른 악화, 안진이 나타납니다.

환자들은 눈을 감고 가만히 누워 있으려고 노력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전정 기관의 손상과 관련이 있지만 주로 고주파 영역에서 귀에 소음이 나타나고 청력 상실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달팽이관 신경염도 가능합니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일방적이지만 완전한 청력 회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한 유행성 이하선염의 경우 외이도 부종으로 인해 단기 청력 상실이 가능하다는 점을 명심해야합니다.

다발근 신경염은 수막염 또는 수막 뇌염의 배경에 대해 발생하며 항상 타액선 손상이 선행됩니다. 이 경우 신경근 통증과 주로 말단 사지의 대칭 마비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과정은 가역적이며 호흡 근육 손상이 가능합니다.

때때로, 일반적으로 질병 발생 10~14일에, 남성의 경우 더 자주 다발성 관절염이 발생합니다. 큰 관절(어깨, 무릎)이 주로 영향을 받습니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되돌릴 수 있으며 1~2주 내에 완전히 회복됩니다.

합병증(협심증, 중이염, 후두염, 신장염, 심근염)은 극히 드뭅니다. 유행성 이하선염 중 혈액 변화는 미미하며 백혈구 감소증, 상대 림프구 증가증, 단핵구증가증, ESR 증가가 특징이며 백혈구 증가증은 때때로 성인에서 나타납니다.

볼거리 진단

진단은 주로 특징적인 임상 양상과 역학적 병력을 토대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인 경우에는 어려움을 겪지 않습니다. 진단을 확인하는 실험실 방법 중 가장 결정적인 방법은 혈액, 이하선 분비물, 소변, CSF 및 인두 면봉에서 볼거리 바이러스를 분리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혈청학적 진단 방법이 더 자주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ELISA, RSK 및 RTGA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급성 감염 기간 동안 높은 역가의 IgM과 낮은 역가의 IgG는 볼거리의 징후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진단은 3~4주 후에 항체 역가를 재검사하면 확정적으로 확진할 수 있으며, IgG 역가가 4배 이상 증가하면 진단적 가치가 있습니다. RSK와 RTGA를 사용할 경우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의 교차 반응이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볼거리 바이러스의 PCR을 이용한 진단 방법이 개발되었다. 진단을 위해 혈액과 소변의 아밀라아제와 디아스타아제의 활성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그 함량이 증가합니다. 이는 췌장염 진단뿐만 아니라 장액성 수막염의 볼거리 원인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데에도 특히 중요합니다.

감별 진단

볼거리의 감별진단은 우선 세균성 볼거리와 타액성 볼거리에 대한 감별진단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타액선의 비대는 유육종증과 종양에서도 나타납니다. 볼거리 수막염은 장바이러스성 원인으로 인한 장액성 수막염, 림프구성 맥락수막염, 때로는 결핵성 수막염과 구별됩니다. 이 경우 볼거리 수막염 동안 혈액과 소변에서 췌장 효소 활성의 증가가 특히 중요합니다.

가장 큰 위험은 의사가 독성 형태의 구인두 디프테리아(때때로 전염성 단핵구증 및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서 발생하는 목 피하 조직의 부기와 림프절염을 유행성 이하선염으로 착각하는 경우입니다. 급성 췌장염은 복강의 급성 수술 질환(충수염, 급성 담낭염)과 구별되어야 합니다.

볼거리 고환염은 결핵성, 임질성, 외상성 및 브루셀라증 고환염과 구별됩니다.

성인의 볼거리 감염을 진단하는 알고리즘.

중독 증상 - 예 - 침샘 부위에서 입을 씹거나 벌릴 때 통증 - 예 - 하나 이상의 타액선 비대(이하선, 턱밑) - 예 - 침샘과 췌장, 고환에 동시 손상 , 유선, 장액성 수막염 발생 - 예 - 연구가 완료되었습니다. 진단: 볼거리

표 볼거리의 감별진단

다른 전문가와의 상담에 대한 적응증

신경학적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신경과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하며, 췌장염이 발생한 경우(복통, 구토) 외과의와 상담하고, 고환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비뇨기과 의사와 상담한다.

진단 공식의 예

B26, B26.3. 유행성 이하선염, 췌장염, 질병의 중등도 과정.

볼거리 치료

폐쇄된 아동단체(고아원, 기숙학교, 군부대)의 환자들은 입원합니다. 원칙적으로 환자는 집에서 치료됩니다. 심각한 질병(39.5°C 이상의 고열, 중추신경계 손상 징후, 췌장염, 고환염)에는 입원이 필요합니다.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질병의 중증도에 관계없이 환자는 발열 기간 내내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합니다. 질병 발병 후 처음 10일 동안 침상 안정을 따르지 않은 남성의 경우 고환염이 3배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질병의 급성기(질병 발병 3~4일까지) 동안 환자는 액체 및 반액체 음식만 섭취해야 합니다. 타액분비 장애를 고려하여 구강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회복기에는 특히 레몬즙을 이용하여 타액분비를 자극하는 것이 필요하다.

췌장염을 예방하려면 유제품-채소 식단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표 5). 충분한 수분(과일 음료, 주스, 차, 생수)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두통에는 메타미졸나트륨, 아세틸살리실산, 파라세타몰이 처방됩니다. 탈감작제를 처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병의 국소 증상을 줄이기 위해 타액선 부위에 빛과 열 요법 (Sollux 램프)이 처방됩니다.

고환염의 경우 프레드니솔론을 하루 2~3mg/kg의 용량으로 3~4일 동안 사용한 후 매일 5mg씩 감량합니다. 고환의 위치를 ​​높이려면 서스펜서를 2~3주 동안 착용해야 합니다.

급성 췌장염의 경우 부드러운 식단이 처방됩니다 (첫날-단식 식단). 위장에 감기가 나타납니다. 통증을 줄이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하고 아프로티닌을 사용합니다.

수막염이 의심되는 경우 진단적 가치뿐만 아니라 치료적 가치도 있는 요추 천자가 필요합니다. 이 경우 진통제, 푸로세미드(라식스)를 1일 1mg/kg 투여하는 탈수요법, 아세타졸아미드 등을 처방한다.

중증 뇌증후군의 경우 덱사메타손을 하루 0.25~0.5mg/kg씩 3~4일 동안 처방하고, 수막뇌염의 경우 누트로픽 약물을 2~3주에 걸쳐 처방한다.

예측

바람직하며, 사망은 드뭅니다(유행성이하선염 사례 10만 건당 1건). 일부 환자에서는 간질, 청각 장애, 당뇨병, 효능 감소, 고환 위축이 발생하여 무정자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대략적인 기간

장애 기간은 유행성 이하선염의 임상 경과, 수막염 및 수막뇌염, 췌장염, 고환염 및 기타 특정 병변의 존재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임상검사

규제되지 않음. 임상상과 합병증의 유무에 따라 전염병 전문가가 수행합니다. 필요한 경우 다른 전문 분야의 전문가(내분비학자, 신경과 전문의 등)가 참여합니다.

볼거리 예방

유행성 이하선염 환자는 9일 동안 어린이 집단에서 격리됩니다. 접촉자(볼거리가 없고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만 10세 미만 아동)는 21일 동안 격리되며, 정확한 접촉일이 확정된 경우에는 11일부터 21일까지 격리됩니다. . 소독제를 사용하여 실내를 습식 청소하고 실내 환기를 실시합니다. 환자와 접촉한 어린이는 격리 기간 동안 의료 감독을 받습니다. 예방의 기본은 러시아의 국가 예방 예방 접종 일정의 틀 내에서 예방 접종입니다.

접종은 국내에서 생산된 유행성 이하선염 배양 기반 생건조백신으로 진행되며, 금기사항은 12개월, 재접종은 6년이다. 백신은 견갑골 아래 또는 견갑골 외부 표면에 0.5ml의 용량으로 피하 투여됩니다. 백신 접종 후 단기 발열, 4~12일간 카타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극히 드물게 침샘 비대, 장액수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응급 예방을 위해 볼거리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과 환자 접촉 후 72시간 이내에 아프지 않은 사람에게 백신을 접종한다. 볼거리-홍역 배양 생건조 백신(러시아에서 제조)과 홍역, 볼거리, 풍진에 대한 약독화 동결건조 생백신(인도에서 제조)도 인증되었습니다.

  • 현재 위치:
  • 감염
  • 바이러스 감염
  • 유행성 이하선염 (Mumps).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감염

© 2018 MedSecret.net의 모든 의학 비밀

유행성이하선염 감염(ICD-10 코드 - B26

볼거리 감염(볼거리, 이하선염)은 주로 타액선에 영향을 미치는 급성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다른 선상 기관(췌장, 고환, 난소, 유선 등)과 신경계(장액성 수막염, 수막뇌염, 신경염 등)는 덜 일반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1-2일에는 반대편의 샘이 관여합니다. 부기 부위의 피부는 긴장되지만 염증성 변화는 없습니다. 촉진시 침샘은 부드럽거나 반죽 같은 질감을 가지며 통증이 있습니다. N.F. 괴로운 점이 확인됩니다. Filatova: 귓불 앞, 유양 돌기 정점 부위 및 하악 노치 부위.

턱밑 타액선 손상(상악하염)은 종종 이하선 타액선 손상과 결합되며, 드물게 이 질병의 일차적이고 유일한 증상입니다. 이 경우 부종은 턱밑 부위에 반죽 같은 일관성이 둥글게 형성되는 형태로 위치합니다. 심한 형태에서는 조직의 부기가 샘 부위에 나타나 목까지 퍼질 수 있습니다.

설하 침샘(설하)에 대한 단독 손상은 극히 드뭅니다. 이 경우 혀 아래에 붓기가 나타납니다.

고환염은 일반적으로 타액선 손상이 발생한 후 1~2주 후에 나타납니다. 볼거리 감염의 주요 국소화는 고환입니다. 이 질병은 음낭과 고환의 통증으로 나타납니다. 고환은 다음과 같이 커지고 두꺼워집니다.

쌀. 2. 왼쪽 이하선의 병변

촉진은 심하게 고통 스럽습니다. 음낭의 피부는 약간 충혈되어 있습니다.

볼거리의 신경계 손상은 장액성 수막염, 수막뇌염으로 나타나며, 드물게 신경염이나 다발근신경염으로 나타납니다.

장액성 수막염은 타액선 손상 증상이 가라앉기 시작하거나 거의 완전히 사라진 후 질병 발병 7~10일에 가장 자주 나타납니다. 발열, 두통, 반복적인 구토로 급격하게 시작됩니다. 질병의 첫날부터 수막 증후군이 감지됩니다: 뻣뻣한 목, 양성 Kernig 및 Brudzinsky 증상. 임상 증상의 중증도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질병의 중증도가 결정됩니다. 최종 진단은 척추 천자 결과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볼거리 수막염의 경우 뇌척수액이 투명하고 빈번한 방울 또는 흐름으로 흘러나오며 림프구의 최대 95~98%에서 높은 림프구성 세포증가(0.5x106/l ~ 3x106/l)가 감지됩니다. 단백질 함량은 약간 증가하고(0.99에서 1.98g/l), 포도당과 염화물의 양은 정상 범위 내에 있습니다.

장액성 수막염이 뇌염(수막뇌염)과 결합되면 의식 장애, 섬망, 경련, 운동과다 및 병리학적 반사가 가능하여 질병이 나타납니다.

신경염과 다발근신경염은 드뭅니다. 이하선의 급격한 비대는 안면 신경의 압박과 마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영향을 받은 안면 신경 쪽에서 안면 근육의 기능이 중단됩니다. 이마 주름이 부드러워지고 눈썹이 다소 사춘기 상태가 되며 눈꺼풀 소켓이 닫히지 않고(구순구개열) 팔자 주름이 발생합니다. 평탄화됩니다. 통증은 안면신경의 출구점에서 나타난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회복기 동안 Guillain-Barré 유형의 다발 근염이 가능합니다. 임상 적으로 보행 장애,하지의 마비 및 마비로 나타나며 말초 증상의 모든 징후가 있습니다. 즉 반사 신경 부족, 근육 긴장도 감소, 근육 위축, 병변의 대칭입니다. 동시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뇌척수액에서는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고 림프구 세포증가가 증가합니다.

볼거리 췌장염은 일반적으로 다른 기관 및 시스템의 손상과 함께 발생하며 질병 발병 후 5~9일에 발생합니다. 드문 경우지만 이것이 질병의 유일한 증상입니다. 진단은 혈액 내 아밀라아제 수치를 증가시켜 확립됩니다.

ELISA를 사용한 실험실 확인을 위해 클래스 1§M의 특정 항체가 혈액에서 검출됩니다. 클래스 1§C의 특정 항체는 다소 나중에 나타나며 수년 동안 지속됩니다.

타액선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볼거리 감염은 화농성 이하선염, 패혈증의 볼거리, 감염성 모노뉴클레오티드와 구별됩니다.

타액선 막힘 등의 zom. 볼거리 수막염은 장 바이러스 장액 수막염, 결핵성 수막염과 구별됩니다. 볼거리 고환염은 장바이러스성 고환염, 세균성 고환염 등과 구별됩니다.

화농성 이하선염은 일반적으로 구강, 부비동염 또는 패혈증의 세균 감염 배경에서 발생합니다.

감염성 단핵구증의 경우 이하선을 포함하여 림프절이 확대됩니다. 침샘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유지됩니다.

침샘관이 막히면 그 과정은 일방적으로 진행되며 열이 없습니다. 타액선 결석은 타액조영술이나 초음파를 사용하여 발견할 수 있습니다.

장바이러스성 병인의 장액성 수막염이 이 질병의 유일한 징후인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전염병 이력 데이터와 실험실 검사 결과가 결정적으로 중요합니다.

결핵성 수막염은 질병의 점진적인 발병, 수막 증상의 느린 증가, 뇌척수액이 담긴 시험관에서 거미줄 형태의 섬유소막의 손실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 질병은 일반적으로 활동성 호흡기 결핵의 배경에 대해 발생합니다.

특별한 치료법은 없습니다.

췌장염의 임상 증상이 나타나면 환자는 침상 안정과 엄격한 식단이 필요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단백질 분해 억제제인 ​​아프로티닌(Gordox, Contrical, Trasylol)을 사용하여 수액을 정맥 내 점적 투여합니다.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경제 및 진통제가 처방됩니다: 메타미졸 나트륨(아날진), 파파베린, 드로타베린(no-shpu). 개선하기 위해

쌀. 3. 악하염

소화를 위해서는 효소 제제 (pancreatin, panzi-norm, festal)를 처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병이 심한 환자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인터페론 생성 유도제 (Viferon, Cycloferon, 어린이를위한 Anaferon 등)가 권장됩니다.

고환염 환자는 입원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병의 급성기에 침대 휴식과 정학이 처방됩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항염증제로 사용됩니다.

하루 2-3mg/kg(프레드니솔론)을 3-4일에 걸쳐 3-4회 투여한 후 총 투여 기간이 7-10일을 넘지 않도록 급속히 용량을 감량합니다.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 및 탈감작제가 처방됩니다: 클로로피라민(수프라스틴), 프로메타진(피폴펜), 히페나딘(펜카롤). 고환이 심하게 부어오른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

기관의 실질에 대한 압력을 줄이기 위해 외과 적 개입이 정당화됩니다 - tunica albuginea의 해부.

유행성이하선염 수막염이 의심되는 경우 진단 목적으로 척추 천자가 필요하며, 드물게 두개내압을 낮추기 위한 치료 방법으로 시행될 수도 있습니다. 라식스는 탈수를 목적으로 투여된다. 심한 경우에는 주입 요법(1.5% 렘베르린 용액, 20% 포도당 용액, 비타민 B)을 사용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에 걸린 환자는 임상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9일 이내) 어린이 그룹에서 격리됩니다. 접촉자 중 유행성이하선염에 감염되지 않았으며 적극적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10세 미만 아동은 21일 동안 격리 대상입니다. 정확한 접촉일이 확정된 경우 격리기간은 단축되며, 잠복기 11일부터 21일까지 아동은 격리 대상이 된다. 감염원에서는 최종 소독을 실시하지 않으나, 실내를 환기시키고 소독제를 사용하여 습식 청소를 실시해야 합니다.

유일하게 신뢰할 수 있는 예방 방법은 능동 예방접종입니다.

예방접종으로는 국내 볼거리 배양 기반 생백신과 약독화 볼거리-홍역 생백신을 사용한다. 국내 백신의 백신주는 일본 메추라기 배아의 세포 배양물에서 재배됩니다. 홍역, 풍진 및 볼거리 예방을 위한 다음의 혼합 백신도 러시아에서 승인되었습니다: Priorix(GlaxoSmithKline, 영국), MM R-11(Merck Sharp and Dome, 미국), 홍역, 볼거리, 인도에서 생산된 풍진 백신(" 혈청연구소'). 외국 백신 균주는 닭 배아에서 배양됩니다.

볼거리에 감염된 적이 없고 6세에 재접종을 받은 12개월 어린이는 예방접종 대상입니다. 백신은 0.5ml의 양을 어깨 바깥 표면에 피하 투여합니다. 예방접종과 재접종 후에는 강력한(아마도 평생) 면역력이 형성됩니다. 또한, 전염병에 대해 혈청 음성인 청소년 및 성인에 대해서는 역학적 징후에 따라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백신은 약간 반응성을 보입니다. 예방 접종에 대한 금기 사항은 면역 결핍 상태, 달걀 흰자에 대한 심각한 형태의 알레르기 반응, 아미노글리코사이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