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D 10에 따른 선천성 폐렴. 선천성 폐렴

임상 권장 사항 초안에 대한 집단 토론 결과를 바탕으로 러시아 신생아과 학회에서 조정하고 승인했습니다.

실무그룹

Antonov Albert Grigorievich - 의학박사, 교수, 연방정부 예산 기관 산부인과 및 주산기과를 위한 국립 의학 연구 센터의 수석 연구원. acad. 그리고. Kulakov"러시아 보건부, 연방 주립 고등 교육 기관의 신생아학과 교수 "첫 번째 모스크바 주립 의과 대학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그들을. 러시아 보건부의 Sechenov"

Baibarina Elena Nikolaevna - 의학박사, 교수, 연방정부 예산 기관 산부인과 및 주산기과를 위한 국립 의료 연구 센터의 수석 연구원. acad. 그리고. 쿨라코프(Kulakov) 러시아 보건부 모스크바

Balashova Ekaterina Nikolaevna - 의학 후보자, 연방 정부 예산 기관 산부인과 및 주산기과를 위한 국립 의료 연구 센터의 소생술 및 집중 치료 부서의 임상 업무 책임자. acad. 그리고. 쿨라코프(Kulakov) 러시아 보건부 모스크바

Degtyarev Dmitry Nikolaevich - 의학 박사, 교수, 연방 정부 예산 기관 연구 부국장 산부인과 및 주산기학을 위한 국립 의학 연구 센터. acad. 그리고. Kulakov "러시아 보건부, 연방 주립 고등 교육 기관의 신생아학과 책임자"라는 이름의 첫 번째 모스크바 주립 의과 대학. 그들을. Sechenov" 러시아 보건부, 러시아 신생아과 학회 협의회 회장

Zubkov Viktor Vasilievich - 의료 과학 박사, 연방 정부 예산 기관 국립 산부인과 및 주산기 의학 연구 센터의 신생아과 및 소아과 책임자. acad. 그리고. Kulakov "러시아 보건부, 연방 주립 고등 교육 기관의 신생아학과 교수"첫 번째 모스크바 주립 의과 대학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그들을. 모스크바 러시아 보건부 Sechenov

Ivanov Dmitry Olegovich - 의학박사, 교수, 러시아 보건부의 신생아학 수석 프리랜서 전문가. 러시아 보건부 연방정부예산고등교육기관 "상트페테르부르크 주립 소아과 의과대학" 총장,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주산기 의학 전문가 협회 회원

Ionov Oleg Vadimovich - 의학 후보자, 연방 정부 예산 기관 국립 산부인과 및 주산기학 연구 센터의 신생아과 및 소아과 소생술 및 집중 치료 부서장. acad. 그리고. Kulakov"러시아 보건부, 연방 주립 고등 교육 기관의 신생아학과 부교수 "첫 번째 모스크바 주립 의과 대학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그들을. 러시아 보건부의 Sechenov"

Anna Lvovna Karpova - 의학 후보자, 칼루가 지역 어린이를 위한 부의사 칼루가 지역 임상 병원 - 주산기 센터, 칼루가 지역의 최고 신생아 전문의, 칼루가

Kirtbaya Anna Revazievna - 의학 후보자, 연방 정부 예산 기관 소생술 및 집중 치료 부서의 임상 작업 책임자, 산부인과 및 주산기학을 위한 국립 의료 연구 센터. acad. 그리고. Kulakov"러시아 보건부, 연방 주립 고등 교육 기관의 신생아학과 부교수 "첫 번째 모스크바 주립 의과 대학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그들을. 러시아 보건부의 Sechenov"

Ksenia Nikolaevna Krokhina - 의학 후보자, 연방 정부 예산 기관 산부인과 및 주산기과를 위한 국립 의료 연구 센터의 소생 및 집중 치료 부서의 선임 연구원. acad. 그리고. 쿨라코프(Kulakov) 러시아 보건부 모스크바

Kryuchko Daria Sergeevna - 의학박사, 의료 제공 개선을 위한 업무 분석 및 조정 부서장, 연방정부예산기관 국립의료원의 산부인과, 신생아과, 마취과 소생학과 부교수 산부인과, 산부인과 및 출산 전후 연구 센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acad. 그리고. 쿨라코프(Kulakov) 러시아 보건부 모스크바

Lenyushkina Anna Alekseevna - 의학 후보자, 연방 정부 예산 기관 소생술 및 집중 치료 부서의 임상 업무 책임자, 산부인과 및 주산기과를 위한 국립 의료 연구 센터. acad. 그리고. 쿨라코프(Kulakov) 러시아 보건부 모스크바

Li Alexander Georgievich - 인공호흡기, 러시아 보건부 산하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소아과 대학 주산기 센터의 신생아 소생술 및 중환자실 책임자

Lyudmila Vyacheslavovna Malyutina - 의료 과학 후보자, 신생아 및 미숙아를 위한 소생술 및 집중 치료 부서 책임자, 모스크바 지역 주산기 센터, 발라시하

Mebelova Inessa Isaakovna - 의학 후보자, 공화당 어린이 병원 신생아 센터 책임자, Petrozavodsk 카렐리야 공화국의 수석 프리랜서 신생아 전문의

Nikitina Irina Vladimirovna - 의학 후보자, 연방 정부 예산 기관 산부인과 및 주산기과를 위한 국립 의료 연구 센터의 소생 및 집중 치료 부서의 수석 연구원. acad. 그리고. 쿨라코프" 러시아, 모스크바

Petrenko Yuri Valentinovich - 러시아 북서부 연방 지구의 수석 신생아 전문의, 러시아 연방 보건부 상트 페테르부르크 주립 소아 의과 대학 의료 업무 부총장 Ryndin Andrey Yuevich - 의학 후보자, 수석 연구원 연방 정부 예산 기관 "국립 산부인과 및 주산기 의학 연구 센터의 소생술 및 집중 치료 부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acad. 그리고. Kulakov"러시아 보건부, 연방 주립 고등 교육 기관의 신생아학과 부교수 "첫 번째 모스크바 주립 의과 대학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그들을. 러시아 보건부의 Sechenov"

류미나 이리나 이바노브나 - 의학박사, 연방정부예산기관 산부인과 및 주산기과를 위한 국립의료연구센터의 신생아 및 미숙아 병리학과장. acad. 그리고. Kulakov"러시아 보건부, 연방 주립 고등 교육 기관의 신생아학과 교수 "첫 번째 모스크바 주립 의과 대학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그들을. 러시아 보건부의 Sechenov"

Romanenko Vladislav Aleksandrovich - 의학 박사, 첼랴빈스크 러시아 보건부 남부 우랄 주립 의과대학 추가 전문 교육 연구소 소아과 교수

약어

ABT - 항균 요법

BPD - 기관지폐 이형성증

BP - 무수 갭

VAP -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IVH - 뇌실내 출혈

HFOV - 고주파 진동 환기

IVL - 인공 폐 환기

UTI - 요로 감염

AOS - 산-염기 상태

CTG - 태아 심전도

NI - 호중구 지수

NSG - 신경 초음파 검사

CBC - 전체 혈구 수

OAM - 일반 소변 분석

VLBW - 매우 낮은 체중

NICU - 집중 치료실, 집중 치료실

신생아

ORS - 개방형 소생 시스템

ICU - 중환자실

PCT - 프로칼시토닌 테스트(급성기 단백질)

염증)

RDS - 호흡 곤란 증후군

RCT - 무작위 대조 시험

CRP - C 반응성 단백질(염증의 급성기 단백질)

GBS - 그룹 B 연쇄상 구균

PCR - 중합효소 연쇄 반응

ECG - 심전도 검사

ELBM - 매우 낮은 체중

EchoCG - 심장초음파검사

보험(INtubate-SURfactant - Extubate) - 삽관-

계면활성제 투여 - 발관 및 이송

비침습적 호흡기 치료

Fi02 - 흡입된 가스 혼합물의 산소 분율

Peep - 만료 시 최대 압력

Pip - 최대 흡기압

SpO2 - 포화도, 산소에 의한 혈액 포화도,

맥박 산소 측정법으로 측정

CO2 - 이산화탄소의 부분 장력

CPAP(지속적 기도 양압) - 일정함

양성기도압

1. 간략한 정보

1.1. 정의

선천성 폐렴은 폐의 호흡 부분에 주된 손상이 있고 폐포 내부에 염증성 삼출물이 축적되는 급성 감염성 질환으로 대물렌즈 및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 발견되며 일반적으로 생후 첫 72시간 내에 발견됩니다.

1.2. 병인학 및 병인

선천성 폐렴의 원인은 다양한 병인의 미생물에 의한 태아의 자궁 내 또는 분만 내 감염, 태반을 통한 감염,

걷거나 접촉. 선천성 폐렴의 원인 물질:

박테리아 대장균, 엔테로박터 에어로게네스, 클렙시엘라 종, 녹농균, 그룹 B 연쇄상구균, 표피포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클렙시엘라 뉴모니애, 뉴모코커스;

비정형 병원체: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우레아플라즈마 아우레아리티쿰, 마이코플라스마 호미니스, 마이코플라스마 뉴모니애,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트레포네마 팔리듐, 마이코박테리움 결핵;

바이러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 거대 세포 바이러스(CMV),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풍진; 버섯: Candida spp.

병인 및 병리학 적 해부학

산모의 비뇨기 및 생식 기관의 감염성 및 염증성 질환(신우신염, 융모막염, 자궁내막염 등)은 선천성 폐렴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태아의 임신 성숙도, 계면 활성제 시스템 및 기관지 폐 장치의 상태, 기관지 기형, 자궁 내 저산소증, 출산 중 질식, 태변 및 양수 흡인. 미숙아, 호흡 곤란 증후군(RDS), 심폐 적응 장애 및 태아 저산소증은 폐 조직의 기능적, 형태적 및 면역학적 미성숙으로 인해 감염 과정의 발달에 기여합니다.

이 질병은 임신 마지막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병원체가 혈행성으로 유입되거나 양수가 폐에 들어갈 때(자궁내막염, 융모막염 등으로 오염됨) 폐에 감염되거나 감염된 내용물을 흡인하여 발생합니다. 산도의. 모든 경우에 양측 폐 손상이 감지됩니다(폐포와 간질 모두). 이러한 변화는 출생 후 고탄산증, 저산소증, 혼합 산증 및 저산소증의 발생, 무기폐의 출현, 실질 폐부종 및 폐내압 증가를 유발하는 계면활성제 합성의 저하를 유발합니다. 진행성 저산소증, 산증 및 미세순환 장애의 결과로 다발성 장기 부전이 매우 빠르게 발생합니다(첫 번째는 심폐, 다음은 다른 장기).

폐렴의 엑스레이 사진은 조직 침윤 유형과 염증 단계에 따라 결정됩니다.

침투 유형:

■ 폐포 유형의 침윤은 공기를 함유한 폐포가 염증성 삼출물로 채워질 때 관찰됩니다(공기 함유 공간의 압축, 경화).

■ 간질성 침윤 유형 - 폐포 사이 공간이 삼출물로 채워져 있고 폐포에는 공기가 포함되어 있을 때 관찰됩니다(간유리 증상).

염증의 단계

I. 침윤 단계(질병 첫 주). 일반적으로 세그먼트와 엽의 주변 부분에 국한되는 명확한 윤곽과 경계가 없는 폐 조직의 음영입니다. 특정 영역에서는 음영이 분절간 또는 엽간 격막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간질성 반응은 인접한 분절에서 감지됩니다.

II. 흡수 단계(질병 2주차). 침투 기간과 강도가 감소하고 간질 구성 요소로 인해 폐 패턴이 증가하는 배경에 대해 정상 또는 증가된 공기화 폐 조직 영역과 결합하여 다양한 크기의 소엽 그림자 및 초점 그림자의 시각화가 가능합니다.

III. 삽입형 변화 단계(2주말~3주초) 침투적인 변화가 없습니다.

간질 변화가 발생하고 기관지 주위 변화, 폐 패턴의 메쉬 변형, 무거움의 형태로 침윤 부위에서 감지됩니다.

1.3. 역학

문학 출처에 따르면 만삭 신생아의 폐렴 발생률은 약 1%, 미숙아의 경우 약 10%입니다. 선천성 폐렴의 사망률은 5~10%입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2015년 러시아 연방에서는 출생 체중이 1000g 이상인 미숙아의 0.98%, 500~999세 신생아의 20.77%에서 선천성 폐렴이 진단되었습니다. 신생아는 1.66%, 체중 1000g 이상으로 태어난 미숙아는 2.3%, 극저체중으로 태어난 아동은 11.8%(서식번호 32)였다.

1.4. ICD 10 코드 선천성 폐렴(P23): P23.0 바이러스성 선천성 폐렴

P23.1 클라미디아에 의한 선천성 폐렴 P23.2 포도구균에 의한 선천성 폐렴

P23.3 B군 연쇄구균에 의한 선천성 폐렴

P23.4 대장균에 의한 선천성 폐렴

P23.5 슈도모나스에 의한 선천성 폐렴 P23.6 기타 세균에 의한 선천성 폐렴: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 클렙시엘라균, 마이코플라스마, 연쇄구균(B군 제외)

P23.8 기타 병원체에 의한 선천성 폐렴

P23.9 상세불명의 선천성 폐렴 덜 일반적으로 선천성 폐렴은 풍진 바이러스, 단순 포진 2형, 거대세포 바이러스(CMV)에 의해 발생하며, 이 질병은 선천성 세균 패혈증, 선천성 결핵, 톡소플라스마증, 리스테리아증, 말라리아 및 기타 질병의 징후일 수도 있습니다. 칸디다증은 관련 감염 코드에 등록됩니다(P35 - "선천성 감염" 섹션 참조). 초기 선천성 매독의 증상인 폐렴은 코드 A50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신생아 폐렴"이라는 용어는 더 광범위하며 선천성(P23), 흡인(P24) 및 병원내 폐렴을 포함한 후천성 폐렴을 결합합니다. 후자는 ICD-10에 따라 병인학적인 원리에 따라 분류됩니다. 통계 기록을 위해 문자 "J"가 있는 코드가 사용됩니다(클래스 X "호흡기 질환").

1.5. 임상 분류

신생아 폐렴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표 1).

■ 발생 시기별: 자궁 내(선천성, 생후 첫 72시간 이내에 나타남) 및 신생아(초기 및 후기);

표 1. 신생아 폐렴의 분류(Sotnikova K.A., 1985)

발생기간 병인 유형 중증도 코스

자궁 내 바이러스. 기관지폐렴: 경증. 매운.

(타고난). 미생물. - 소초점; 중등도-아급성.

(획득): 마이코플라스마. - 물을 빼다; 중-지속적;

초기, 곰팡이. - 모노- - 악화 및 재발이 있습니다.

후기 혼합형 및 다분절형; - 간질 합병증이 없습니다. 합병증(중이염, 기흉, 흉막염 등)이 있는 경우

■ 과정의 유병률에 따라: 초점, 분절, 엽성, 일측성, 양측성;

■ 과정의 심각도에 따라: 경증, 중등도, 중증;

■ 흐름에 따라: 급성, 아급성, 장기.

1.6. 임상 사진

선천성 폐렴의 초기 임상 증상은 구체적이지 않습니다.

■ 호흡 장애(휴식 시 60세 이상의 빈호흡, 늑간 공간의 수축 및/또는 흉골의 수축, 흉골 위 경정맥의 흡기 수축, 코 날개의 벌어짐, 입에서 거품 분비물). 이러한 임상 징후는 비특이적이며 다른 병리학적 상태, 특히 심각한 선천성 심장 결함(CHD)에서 관찰될 수 있습니다. 선천성 심장 질환의 감별 진단 및 배제를 위해서는 고산소 검사,하지 및 상지 혈압 측정, 심장 초음파 검사 (EchoCG), 전후 혈액 산소 포화도 측정이 필요합니다.

■ 질병의 일반적인 징후 및 감염성 독성증의 징후: 무기력, 근긴장 저하/근긴장 이상, 피부의 "마블링" 및 회색 착색, 구강 주위 청색증 및/또는 말단 청색증을 동반한 피부 창백(흥분이나 식사 시 증가함)이 감소함 조직 팽창, 빨기 반사의 감소 또는 부재, 수유 거부, 체온 조절 장애(고열 및 열 유지 불능 모두), 초기 황달의 출현(AB0 및 신생아 용혈성 질환(HDN)이 발생할 위험이 없음) Rh 인자);

■ 신체적 징후:

폐를 청진하면 약해지거나 거친 호흡, 국부적으로 촉촉하고 미세한 거품이 나는 소리,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며, 초점이 합쳐지면 기관지 호흡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호흡이 약해지면 천명음이 들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슴 타악기 - 폐 조직 침윤의 투영에 대한 타악기 소리의 둔함.

설명된 모든 임상 증상은 비특이적이며 다른 문제를 배경으로 신생아에서 관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호흡기 계통의 레바니야(levaniya)는 감염 과정의 위험 요소, 엑스레이 및 검사실 검사가 진단에 매우 중요합니다.

2. 진단

2.1. 병력

엄마와 아이의 위험 요인 존재:

■ 산모에게 급성 감염이 있거나 만성 감염이 악화된 경우;

■ 그룹 B 연쇄상구균(GBS)이 산모의 출산 기관에 집락화됩니다.

■ 조산(<37 нед гестации);

■ 출생 전 양수의 파열(물을 마시지 않는 간격 >18시간);

■ 분만 중 산모의 체온이 38°C 이상 상승합니다.

■ 이번 임신 중 산모의 세균뇨;

■ 융모막염;

■ 태아의 비정상적인 심전도(CTG);

■ 미숙아, 저체중 출생;

■ 임신 중 침습적 시술;

■ 부적절한 항균 요법(ABT);

■ 태아 및 신생아의 수술적 치료;

■ 산부인과 및 신생아과의 감염 관리 조치를 준수하지 않습니다.

2.2. 신체 검사

검사 중에는 불안정한 온도(>38.5 또는<36 °С); снижение насыщения крови кислородом; тахипноэ >60/분 또는 무호흡증; 호기 신음; 가슴의 유연한 부위의 수축; 호흡 약화, 폐에 다양한 유형의 천명음 존재, 무기력, 창백함, "마블링" 및 칙칙한 피부색 색조, 빨기 거부; 졸음 또는 신경학적 상태의 변화; 팽만감; 음식을 소화할 수 없음; 빈맥 >180bpm, 둔한 심장음; 무엇보다도 인공 폐 환기(ALV) 매개변수의 증가로 이어지는 호흡 요법의 효과 감소; 기관에 화농성 내용물이 있을 수 있습니다.

2.3. 기기 시험

코멘트. 엑스레이 사진은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질병의 단계와 중증도에 따라 다릅니다. 폐 장 투명도의 확산 감소, 망상과립 패턴 및 폐 뿌리 부위의 투명 줄무늬(공기 기관지 조영술)는 비특이적이며 선천성 폐렴뿐만 아니라 초기 신생아 패혈증인 RDS에서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2.4. 실험실 진단

■ 세균 배양(인후 내용물, 기관 흡인물, 대변, 가능한 경우 혈액 등)을 통해 분리된 세균총의 항생제 민감도를 확인합니다.

코멘트. 아이의 생후 첫날 진단이 어려운 경우 CRP 수치 측정을 반복하고 48시간 후에 임상 혈액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RDS는 음성 염증 표지와 음성 미생물 혈액 검사 결과를 특징으로 합니다. CRP* 수준의 증가는 만삭아의 세균 감염의 초기 징후인 반면, 미숙아의 혈액 내 CRP 농도와 감염성 병리의 존재 사이의 유사한 패턴은 명확하게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 일반 임상 혈액 검사.

■ 임신 중 산모가 장기간 병원 치료를 받은 경우, 항균, 호르몬 치료 과정이 반복되는 경우 그램+, 그램플로라, TGN 감염, 바이러스, 비정형 병원체 및 진균에 대한 혈액 실시간 PCR을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및/또는 세포독성 요법, 산모에게 이식된 장기 또는 장치(인공 판막)가 있는지, 그리고 산모에게 감염이 발생할 위험 요소가 있는지 여부.

코멘트. 혈액 PCR 수행은 실험실의 기술적 능력에 달려 있습니다.

코멘트. 혈중 젖산 측정은 특급 실험실의 가용성과 기술적 능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코멘트. 22개의 무작위 임상시험에 대한 메타 분석에서는 PCT가 선천성 감염보다 병원 내 감염을 진단하는 데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BT 7일째 혈청 내 PCT 수치가 증가하면 항생제 치료를 계속하거나 변경해야 함을 나타냅니다. PCT 결정은 신생아에 대한 필수 검사는 아니며, 그 시행은 의료기관 실험실의 역량에 달려 있습니다.

2.5. 선천성 폐렴 진단 기준

진단을 확인하기 위해 주 및 보조의 두 가지 기준 그룹이 사용됩니다. 선천성 폐렴의 진단은 주 진단 징후 및/또는 3가지(또는 그 이상) 보조 진단 징후가 확인되면 확정될 수 있습니다.

선천성 폐렴을 진단하는 주요 기준

■ 흉부 엑스레이에서 침윤성 그림자 존재(생후 첫 3일 동안).

코멘트. 선천성 폐렴의 엑스레이 증상은 필요한 특이성을 갖지 않으며 매우 다양하므로 염증 과정의 병인 요인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폐 조직에 양측 손상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폐의 얼룩진 그림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는 폐 조직의 압축 영역과 보상적인 통풍 증가의 조합입니다. 흉막강에 삼출액이 있을 수 있습니다. 흉막삼출과 결합된 폐 조직의 변화는 호흡기 질환의 다른 원인보다 세균성 폐렴의 존재를 시사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 특히 질병의 병인 요인이 B군 연쇄구균인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일반적으로 폐 조직 압축의 초점은 여러 엽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나의 별도의 엽으로 제한되는 뚜렷한 압박은 신생아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뭅니다.

선천성 폐렴의 보조 진단 기준

테이블에 2는 신생아의 패혈증과 폐렴을 진단하기 위한 일반적인 징후를 반영하며,

* 표준 SRP 값의 상한은 사용된 방법과 분석기 유형에 따라 결정됩니다. 신생아학: 뉴스, 의견, 교육 No. 4 2017

표 2. 임신 후 연령이 44주 미만인 소아의 감염 과정 과정에 대한 임상 및 실험실 징후

감염의 임상 징후

체온이 바뀌었다

체온 36°C 미만 또는 38.5°C 이상(고체온증) 및/또는

체온의 불안정성

심혈관 부전의 징후

서맥(베타 차단제 치료를 받지 않거나 선천성 심장 질환의 증거가 없는 경우 특정 연령의 평균 심박수가 10번째 백분위수 미만)

빈맥(외부 자극, 장기간의 약물 및 통증 자극이 없는 경우 평균 심박수는 분당 180회 이상)

기타 리듬 장애;

저혈압(임신 연령에 대해 5번째 백분위수 미만의 평균 동맥압);

피부의 "마블링";

피부 관류 장애로 인한 혈액 순환 집중(3초 이상 "백반" 증상)

호흡기 장애

무호흡증 에피소드

빈호흡 에피소드

산소에 대한 필요성 증가;

호흡 지원이 필요함

신부전의 징후

생후 1일째 시간당 0.5ml/kg 미만의 이뇨 감소, 생후 1일 이상 시간당 1ml/kg 미만

피부와 피하조직의 변화

피부색이 칙칙함;

공막

위장관의 증상

영양 흡수 부족; 팽만감;

청진 중 연동 운동의 약화 또는 부재

신경학적 발현

혼수;

저혈압;

감각과민;

과민성;

경련 증후군

출혈증후군의 징후

점상발진; 위출혈; 폐출혈; 심한 혈뇨; 주사 부위 출혈

기타 증상 생후 1일부터 흉막강에 체액이 존재합니다. 조기 발병 황달;

간비대(출생 시 1500g 초과 어린이의 경우 - 쇄골 중앙선을 따라 2.5cm 이상, 어린이의 경우 2cm 이상)<1500 г), спленомегалия (в отсутствие признаков гемолитической болезни новорожденных); наличие других гнойно-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очагов у ребенка в первые 3 сут жизни

5*109/l 미만의 백혈구감소증 또는

생후 1~2일의 백혈구 증가증은 30*109/l 이상입니다. 생후 3~7일에는 20*109/l 이상

테이블 끝. 2

감염 과정의 실험실 징후

절대 호중구 수

생후 1~2일에 20*109/l 이상의 호중구증가증; 3일 후 7*109/l 이상;

호중구감소증

연령, 시간 체중 >1500g의 호중구 감소증, 세포/μL 연령, 시간 체중의 호중구 감소증<1500 г, кл/мкл

0-6 <2000 0-6 <500

>6-12 <4000 >6-12 <1500

>12-24 <6000 >12-30 <1800

>24-48 <4000 >30-48 <1500

>48-72 <2000 >48 <1100

전체 호중구 수에 대한 젊은 형태의 비율(호중구 지수)

0.2 이상.

호중구 형태의 특징(의심스러운 사례에서 연구됨)

독성 세분성;

공포화;

엽체의 모양(세포질의 호염기성 영역)

혈소판감소증

1.5x1011/l 미만

염증 표지자의 수준 증가

혈액 내 C-반응성 단백질 수치가 상승했습니다(표준 CRP 값의 상한은 사용된 방법과 분석기 유형에 따라 결정됩니다).

대사성 산증

2mmol/l 이상의 혈청 젖산염

태반 검사

탈락막염, 장막염, 조직 침윤과 같은 태반의 변화는 신생아의 감염 과정의 진행을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폐렴 진단을 내리는 데 추가 요소가 됩니다(신생아를 진료하는 의료 기관의 수준에 따라 다름). )

흉부 엑스레이

기관지 혈관 패턴 강화;

계면활성제 결핍과 결합된 경우 특히 방사선 사진에서 망상/과립 구조로 인해 패턴이 강화됨 및/또는

호흡 과정과 관련된 폐 조직 부위의 통풍이 증가하여 폐 조직의 투명성이 국부적으로 감소합니다.

포도당 불내증이 최소 2회 이상 기록되었습니다(연령에 맞는 포도당 섭취량 기준).

■ 저혈당증 2.6mmol/l 미만;

■ 10mmol/l 이상의 고혈당증

임상 소변 분석의 염증 변화 세균뇨 및 단백뇨(단백질 함량 0.2 mg/l 이상)와 함께 시야에서 백혈구 증가량이 10-15 이상 - 48시간 후

선천성 폐렴에 대한 보조 진단 기준이 수정되었습니다. 어린이의 감염 과정은 적어도 두 가지 임상 징후와 한 가지 실험실 징후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2.6. 감별 진단

■ 신생아의 일과성 빈호흡;

■ 초기 신생아 패혈증;

■ 태변 흡인 증후군;

■ 기타 유형의 흡인(양수, 혈액, 우유);

■ 공기 누출 증후군;

■ 신생아의 지속적인 폐고혈압;

■ 폐의 선천적 기형(낭포성 선종증, 무형성증, 폐저형성증 등);

■ 선천성 횡격막 탈장;

■ 선천성 심장병;

■ 폐외 기원의 호흡기 질환 발생의 기타 원인.

3. 선천성 폐렴의 치료

3.1. 보수적 치료

선천성 폐렴 치료에는 여러 방향을 동시에 목표로 하는 조치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 이방성 요법 - 질병의 원인 물질인 감염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 병원성 치료 - 항상성의 변화와 다발성 장기 부전의 징후를 교정합니다.

■ 대증요법.

3.2. 이방성 치료

항생제 치료(ABT)는 선천성 폐렴 치료의 주요 요소입니다.

■ 선천성 폐렴이 의심되는 ABT는 호흡 장애가 있는 다음 범주의 소아에 대해 출생 후 가능한 한 빨리 지시됩니다: 초저체중 출생 체중(VLBW), 극소 저체중 출생 체중(ELBW) 및 기계적 환기를 실시해야 했던 사람 . ELBW가 있는 신생아의 경우 분만실에서 늦어도 2시간 이내에 ABT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작 요법 약물의 첫 번째 투여는 동시에 수행됩니다.

■ 초기 임상 및 실험실 검사 결과에 따라 표시된 경우 ABT. 이 범주에는 출생 시 호흡 문제가 있지만 전통적인 기계적 환기가 필요하지 않은 출생 시 체중이 1,500g을 초과하는 환자와 비침습적 호흡 치료[지속적 양압(CPAP)을 통한 자발 호흡, 비침습적 기계적 환기]를 받는 환자가 포함됩니다. 호흡기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

■ 생후 첫날에 의심으로 시작된 ABT는 생후 72시간 이내에 선천성 폐렴의 경과를 확인하는 임상, 실험실 및 도구 데이터가 없으면 취소됩니다.

■ 폐렴으로 진단되면 경험적 ABT 요법은 7일(선천성 폐렴에 대한 ABT의 최소 과정) 동안 지속되며, 이후 염증 지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임상 및 실험실 검사가 수행됩니다.

염증 지표 수치와 임상 혈액 검사(CBC)가 정상화되면 ABT가 중단됩니다.

ABT 시작 계획 [부록 D].

■ 계획 A: 경험적 ABT의 사용 - 약물 암피실린 + 겐타마이신의 조합.

■ 요법 B: 경험적 ABT 요법의 약물에 내성이 있는 식물군의 파종을 산모가 확인한 신생아에게 항균 요법을 제공합니다. 보호된 페니실린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코멘트. 항생제의 비경구 투여(정맥내 투여)가 선호됩니다. 특히 미숙 신생아의 경우 산이 장 벽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아목시실린과 클라불란산이 함유된 약물을 처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Listeria monocitogene에 대한 활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초기 항균 요법에 반합성 페니실린 대신 세팔로스포린을 포함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라탐. 분리된 병원균이 시작 요법의 약물에 민감하지 않은 경우 민감성이 확인된 항균제로 전환해야 합니다.

항균 요법의 기간과 방법은 각 사례마다 개별적으로 결정되며 아동 상태의 심각도와 임상 및 실험실 데이터의 정상화에 따라 달라집니다.

3.3. 병원성 기반 집중 치료

미숙과 미숙이 폐렴 발병에 기여한다는 사실 때문에 생후 첫 시간과 며칠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적이며 치료 방향은 신생아의 RDS와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으며 사용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마찬가지입니다 [보세요. 임상지침 “호흡곤란증후군”, 2017].

코멘트. 2010년 4월 21일자 15-4/10/2-320자 러시아 보건부의 방법론 서신 "신생아를 위한 일차 및 소생 치료"를 참조하세요.

코멘트. VLBW 및 ELBW가 있는 미숙 신생아의 출생 후 60초에 탯줄을 고정하고 교차시키면 괴사성 장염, 위내 출혈(IVH0, 패혈증, 수혈 필요성 감소) 발생률이 크게 감소합니다.

코멘트. 호흡기 치료는 선천성 폐렴이 있는 소아를 포함하여 신생아의 호흡기 질환 치료에 있어 핵심 초점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적절한 가스 교환 및 폐포 환기 달성 및 유지, 인공호흡기 관련 폐 손상 및 심혈류역학 중단 위험 최소화, 비동기화 제거를 통해 환자의 편안함 확보. 오늘날 분만실을 포함하여 신생아에게 호흡 치료를 제공하는 여러 가지 새로운 방법이 등장했습니다. 기계적 환기를 수행할 때 용적 조절 환기가 선호되는 이유는 이 전략이 적절하고 일정한 일회 호흡량과 낮은 기도압에서의 분당 환기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호흡 치료를 조기에 시작하면 치료 기간을 단축하고 더 온화한 환기 매개변수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CPAP와 마스크 환기가 효과가 없는 경우.

코멘트. 미숙아의 기계적 환기는 CPAP 배경에 대해 서맥이 지속되거나 장기간 지속될 때 수행됩니다.

(5분 이상) 자발 호흡이 없습니다. 매우 미숙한 환자의 일회 호흡량 조절 하에 분만실에서 침습적 기계적 환기를 수행하는 것은 기계적 환기와 관련된 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입니다.

신생아에게 일차 진료 및 소생술 진료를 제공할 때 분만실에서.

코멘트. 2010년 4월 21일자 15-4/10/2-3204자 러시아 보건부의 방법론 서신 "신생아를 위한 일차 및 소생술 치료"를 참조하세요.

호흡기 질환이 있는 미숙아

출생 체중에 관계없이 적응증.

코멘트. 2010년 4월 21일자 No. 15-4/10/2-3204일자 러시아 보건부의 방법론 서한 "신생아를 위한 일차 및 소생술 관리" 및 임상 권장 사항 "호흡곤란 증후군", 2017을 참조하세요.

선천성 폐렴으로 인한 RDS가 있는 미숙 신생아에게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더 높은 용량이나 투여 빈도가 필요합니다.

코멘트. 2010년 4월 21일자 러시아 보건부의 방법론 서한인 "신생아를 위한 일차 및 소생 치료" No. 15-4/10/2-3204 및 임상 권장 사항을 참조하세요. 호흡곤란증후군, 2017.

코멘트. 기계적 환기에 대한 적응증은 또한 쇼크, 경련 상태, 폐출혈과 같은 심각한 수반되는 조건입니다. 침습적 기계적 환기 기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능하다면 일회 호흡량 조절과 함께 기계적 환기를 시행해야 하며, 이는 지속 시간을 단축하고 기관지폐 이형성증 및 IVH와 같은 합병증의 발생률을 줄입니다. 신생아에게 이러한 유형의 호흡 요법을 성공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혈액 가스 구성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능력입니다. 기계 환기를 받는 모든 어린이에게 일상적인 진정 및 진통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전통적인 기계적 환기의 비효율성은 고주파 진동 환기(HFOV)로의 전환을 나타냅니다. HFOV를 사용하면 폐포 부피의 안정화로 인해 무기폐가 감소하고 가스 교환 면적이 증가하며 폐혈류가 개선됩니다. 적절한 치료를 받은 결과,

환기-관류 비율이 적절해지며, 이는 폐의 가스 교환을 향상시킵니다.

주입 요법의 기본 원리:

■ 생리학적 필요와 병리학적 손실에 기초한 체액량 및 비경구 영양 계산;

■ 주입 프로그램은 출생 후 신장 기능 성숙의 개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주입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물과 전해질 균형에 대한 임상 및 실험실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할 필요성;

■ 말초 및/또는 중추 혈역학 장애가 있는 경우 강심제 처방이 필요합니다.

3.4. 대증요법

증상 치료에는 신생아를 돌보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만드는 것이 포함됩니다.

■ 상태의 중증도에 따라 선천성 폐렴이 의심되는 신생아는 신생아 집중 치료실, 집중 치료실(NICU) 또는 신생아 병리과로 이송해야 합니다.

■ 아이에게 인큐베이터의 미기후에 머물도록 하고, 감각 자극을 제한(빛, 소음, 접촉으로부터 보호)하고, 체온 조절에 따른 체온 조절, 자세 지지, 통증 예방을 권고합니다.

■ 출혈성 질환에는 항출혈요법을 사용합니다.

■ 장내영양을 가능한 한 일찍 시작하고, 모유를 선호합니다.

4. 재활

선천성 폐렴을 앓은 만삭 소아의 경우 일반적으로 장기적인 예후가 양호합니다. 매우 미숙한 아기는 기관지폐 이형성증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NICU에서 원내 감염이 발생하면 기저 질환의 결과와 예후가 악화됩니다.

5. 예방 및 임상관찰

선천성 폐렴의 예방은 임신 중 산모의 전염병을 적시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산부인과 병원, 신생아 및 미숙아 부서의 위생 및 역학 체제를 가장 엄격하게 준수해야합니다.

폐렴을 앓은 어린 소아는 1년 동안 모니터링됩니다. 아이가 신선한 공기, 영양가 있는 영양, 물리 치료(물리 치료), 마사지 및 경화 과정에서 최대한의 시간을 보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의료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

그룹명 : 선천성 폐렴.

ICD-10 코드: P23.

의료 유형: 첨단 기술을 포함한 전문화.

연령 집단: 어린이.

의료 제공 조건: 입원환자.

의료 형태: 응급 상황.

품질 기준 성능 평가

호흡기 질환의 중증도는 예/아니요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되었습니다.

감지 순간부터 심박수 모니터링을 통해 맥박산소측정을 수행했습니다. 예/아니요

호흡기 질환(분만실에 있는 경우)

공기-산소 혼합 보조금 및/또는 비침습적 인공 환기가 실시되었습니다 예/아니요

폐 및/또는 전통적인 기계적 환기 및/또는 HFOV(의학적 적응증에 따라 다름)

생체 기능이 모니터링되었습니다(호흡수, 포화 수준 예/아니요).

헤모글로빈 산소, 심박수, 혈압, 이뇨)

산-염기 상태 및 혈액 가스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pH, PaC02, Pa02, BE, 예/아니요).

젖산염 - 가능하다면) 호흡기 질환을 감지할 때

일반(임상) 혈액 검사(CBC), CRP 및 미생물 혈액 검사가 수행되었습니다. 예/아니요

(기술적으로 가능한 경우) 호흡기 질환을 발견한 시점부터 24시간 이내에

48시간 후 CBC, CRP 재검사 실시, 음성인 경우 Yes/No

인생의 첫날에

발견 시점부터 24시간 이내에 흉부 X선 촬영을 실시하였다 예/아니요

호흡기 질환

경험적 항생제 치료를 받은 후 1시간 이내에 처방하였다 예/아니오

UAC, SRB 결과

부록 A1. 임상지침 개발 방법론

■ 소아과;

■ 신생아학;

■ 산부인과.

방법론

증거 수집/선택에 사용되는 방법: 전자 데이터베이스 검색.

증거 수집/선택에 사용되는 방법에 대한 설명: 권장 사항에 대한 증거 기반은 Cochrane Library, EMBASE 및 MEDLINE 데이터베이스, 전자 라이브러리(www.eLibrary.ru)에 포함된 출판물입니다. 검색 깊이는 5년이었다.

증거의 질과 강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 전문가 합의;

증거 분석에 사용되는 방법:

■ 증거표를 이용한 체계적인 검토.

증거 분석에 사용된 방법에 대한 설명

증거의 잠재적 출처로 출판물을 선택할 때 각 연구에 사용된 방법론을 검토하여 타당성을 확인합니다. 연구 결과는 출판물에 할당된 증거 수준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권장 사항의 강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방법론적 검토는 결과 및 결론의 타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연구 설계의 특징에 초점을 맞춘 몇 가지 주요 질문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한 주요 질문은 연구 유형과 출판 평가 프로세스를 표준화하는 데 사용되는 설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물론 평가 과정은 주관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잠재적 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연구는 독립적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작업 그룹의 최소 2명의 독립 구성원. 평가의 차이는 전체 그룹에서 논의되었습니다. 합의에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독립적인 전문가가 참여했습니다.

증거 테이블은 실무 그룹 구성원에 의해 완성되었습니다.

권장 사항을 공식화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전문가 합의.

■ 외부 전문가 평가;

■ 내부 전문가 평가.

이러한 권장 사항 초안은 권장 사항의 기초가 되는 증거의 해석이 어느 정도 이해 가능한지에 대해 주로 논평하도록 요청받은 독립적인 전문가에 의해 검토되었습니다. 권장 사항의 명확성과 일상 진료에서 작업 도구로서 권장 사항의 중요성에 대한 평가에 관해 주치의와 지역 치료사로부터 의견을 받았습니다.

환자의 관점에서 의견을 얻기 위해 예비 버전도 비의료 검토자에게 전송되었습니다.

적시에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고 항균제를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어린이의 성공적이고 빠른 회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입니다. 실제 상황에서는 폐렴의 원인 물질과 약물에 대한 민감성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항생제를 처방해야 합니다. 우선, 기회감염군을 포함한 그람 음성균의 자궁 내 폐렴 병인의 주도적 역할과 중증 전격성 폐렴 발생에서 B군 연쇄구균의 역할이 증가하는 경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폐렴의 원인 물질이 폐렴 구균을 포함한 그람 양성균이라는 점도 고려해야합니다. 따라서 심각한 경우에는 그람 음성균과 그람 양성균 모두에 동시에 작용하는 항생제 또는 항생제 복합제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실제 상황에서는 암피실린이 가장 접근하기 쉽습니다. 다양한 그람 음성균과 일부 그람 양성균에 대해 활성이 있습니다. 이는 100-150mg/kg의 일일 복용량으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100mg/kg의 복용량의 옥사실린과 동시에 사용됩니다. 후자는 그람 양성균에 효과적으로 작용합니다. 옥사실린과 암피실린의 복합제인 암피옥스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신생아 감염 치료에 유용한 항균제는 카르베니실린(300-400mg/kg)입니다. 이 약물은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모든 유형의 프로테우스(Proteus) 및 일부 박테로이데스에 해롭습니다. 이는 암피실린과 같은 방식으로 다른 그람 음성 미생물에 작용합니다.
아미노글리코사이드는 신생아의 자궁내 폐렴 치료에서 계속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겐타마이신(3-5 mg/kg), 아미카신 7.5 mg/kg/일 신생아에서 분리된 대부분의 병원성 및 기회감염 미생물은 겐타마이신 및 기타 아미노글리코사이드에 민감합니다. 그러나 권장 복용량, 빈도 및 투여 기간(최대 5-7일)을 늘리는 것을 피하고 가능한 이효과 및 신증 효과에 대해 기억해야 합니다. 이 항생제는 그람 음성균에 의한 중증 폐렴 환자, 특히 병원체 결정 및 민감도 결정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긴급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항균제의 무기고는 새로운 3~4세대 세팔로스포린 항생제로 풍부해졌습니다. 이 항생제는 무독성이고 광범위한 항균 작용 스펙트럼을 가지며 긴급한 상황에서는 정맥 주사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cefuroxime (ketocef), cefotaxime (claforan), cefmandole과 같은 항생제가 포함됩니다.
주입 요법은 신생아의 자궁내 폐렴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궁 내 폐렴의 경우 항상 연령, 체중, 혈압, 대사 장애 유무 및 이뇨 지표를 고려하여 약간의주의를 기울여 수행해야합니다. 합리적인 주입 요법은 해독, 혈역학 및 대사 장애 교정, 가스 교환을 촉진합니다.
레오폴리글루신, 혈장, 10% 포도당 용액(15-20 ml/kg)이 주입 매체로 사용됩니다. 콜로이드 용액과 결정질 용액의 비율은 1:2, 1:3입니다. 주입 매체와 동시에 코카르복실라제, 항생제(세푸록심, 클라포란), 아스코르브산 및 2.4% 아미노필린 용액을 정맥 내 투여합니다. 뇌 장애(뇌부종)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만니톨과 라식스(둘 다 1mg/kg)가 표시됩니다. 이 약물은 주입 요법의 마지막 단계에서 투여됩니다.
신생아의 폐렴에는 종종 팽만감, 파낭인 또는 염화칼륨 용액이 동반되므로 칼슘 제제를 투여해야 합니다. 4~5% 중탄산염 용액을 주입할 때는 어느 정도 주의가 필요합니다(산-염기 균형의 반복 측정).
중독 증상이 약해지고 상태가 다소 호전된 후, 특히 빈혈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수혈(최대 3회)이 지시됩니다. 최적의 온도 조건, 적절한 관리, 모유를 통한 장내 수유, 마사지 및 체조의 신속한 포함이 매우 중요합니다.
폐렴이 있는 신생아는 특히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아기의 유아용 침대는 밝고 넓으며 통풍이 잘 되는 방에 놓아야 합니다. 최근에는 대규모 중환자실과 신생아 병리과에 모니터가 설치되어 혈액 가스, 맥박, 호흡 및 혈압 수준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훨씬 쉬워졌습니다. 의사뿐만 아니라 준의료진도 모니터의 올바른 작동, 전극 적용, 신체의 기본적인 필수 기능 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온도 체제에 특별한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조작 중에 어린이를 과도하게 식히지 말고 반대로 과열을 허용하지 마십시오. 특히 신생아가 인큐베이터에있는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복부가 부풀어 오르면 가스관이나 클렌징 관장을 넣어야합니다. 특히 첫날 폐렴에 걸린 어린이에게 수유는 주의해서 수행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튜브를 통해 모유를 짜낸 다음 유두를 통해 모유를 짜내고, 상태가 크게 호전된 경우에만 점진적으로 유방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수유하는 동안 아기의 반응을 모니터링해야합니다.
피부와 점막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유아용 침대에서 아이의 위치에주의를 기울여야합니다. 신체 자세를 자주 바꾸면 폐의 혈류역학 및 림프역학 장애를 줄이고 기관지의 배수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수유하는 엄마는 아기를 돌보는 기본 요소를 가르쳐야 합니다.

Catad_tema 신생아 병리학 - 기사

ICD 10: P23

승인 연도(개정 빈도): 2016년(3년마다 검토)

ID: KR412

전문 협회:

  • 러시아 주산기 의학 전문가 협회(RASPM)

승인됨

러시아 주산기 의학 전문가 협회__ __________201_

동의함

러시아 연방 보건부 과학위원회__ __________201_

자궁내 감염

선천성 폐렴

약어 목록

ABT - 항생제 치료

BPD – 기관지폐 이형성증

VAP –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DIV - 태아기 양수의 파열

UTI – 요로 감염

의료 기기 - 의료 제품

IVL - 인공 폐 환기

AOS – 산-염기 상태

CTG – 태아 심전도

NI – 호중구 지수

NSG – 신경 초음파 검사

CBC - 전체 혈구 수

PCT – 프로칼시토닌 테스트

OAM - 일반 소변 분석

PCR – 중합효소 연쇄반응

CRP – 반응성 단백질

GBS – 그룹 B 연쇄상 구균

CPAP - 지속적인 기도 양압 - 기도의 지속적인 양압

1. 간략한 정보

1.1 정의

선천성 폐렴은 분만 전 및/또는 분만 중 감염으로 인해 폐의 호흡 부분에 발생하는 급성 감염성 염증성 질환으로, 아이가 태어난 후 첫 72시간 이내에 임상적, 방사선학적 증상이 나타납니다.

1.2 병인 및 발병기전

신생아 폐렴의 병인학적 구조는 다른 연령대와 크게 다릅니다. 태반을 통한 감염을 동반한 신생아 폐렴의 병인에서는 거대세포 바이러스, 헤르페스 감염, 풍진, 결핵 및 매독이 특히 중요합니다. 주산기 감염 동안 B군 연쇄구균, 대장균, 혐기성 박테리아, 클라미디아, 마이코플라스마, 거대세포 바이러스,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니스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표 1). D.M.에 따르면 Popovich, A. McAlhany(2004)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는 미국에서 성병의 가장 흔한 병원체이며, 클라미디아 폐렴은 신생아의 33%에서 발생합니다.

표 1. 선천성 폐렴의 병인

출생 후 감염 경로는 응고효소 음성 포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아데노바이러스, 장내바이러스, 거대세포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B, 파라인플루엔자, RS 바이러스, 칸디다균, 대장균, 결핵균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병인 및 병리학 적 해부학

선천성 폐렴 발병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산모의 비뇨기 및 생식 기관의 감염성 및 염증성 질환(자궁내막염 등);

    태아의 임신성숙도, 표면활성제계 및 기관지폐기관의 상태, 기관지의 기형, 이전의 자궁내 저산소증, 출산 중 질식, 태변의 흡인, 양수 등 이 질병은 임신 마지막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병원체가 혈행성으로 유입되거나 양수가 폐에 들어갈 때 폐에 감염되거나(자궁내막염, 융모막염 등으로 인해 오염됨) 흡인 중에 발생합니다. 산도의 감염된 내용물.

미숙아, IDD, 심폐 적응 장애, 태아 저산소증은 폐 조직의 기능적, 형태적 및 면역학적 미성숙으로 인해 감염 과정의 발달에 기여합니다.

모든 경우에 양측 폐 손상이 감지됩니다(폐포와 간질 모두). 출생 후 고탄산증, 저산소증, 혼합산증 및 저산소증이 발생하고 계면활성제 합성이 저하되어 무기폐, 실질 폐부종 및 폐내압 상승이 발생합니다. 진행성 저산소증, 산증 및 미세 순환 장애로 인해 다발성 장기 부전이 매우 빠르게 발생합니다(첫 번째는 심폐, 다음은 다른 장기).

    B군 연쇄구균에 의한 선천성 폐렴은 호흡기 질환과 유리질막 질환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형성 과정에서 두 가지 메커니즘이 가장 중요합니다.

폐포 폐포 세포 및 모세 혈관 내피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F 미생물은 혈장 단백질이 폐포로 삼출되고 이어서 피브린 침착 및 유리막 형성을 유발합니다. 보체 성분 C3, IgG 및 피브린 덩어리로 구성된 F 면역 복합체는 폐 조직을 손상시킵니다.

    일반적으로 생후 첫 24시간 이내에 폐의 간질 조직에서 염증 반응이 발생하고 여러 개의 작은 확산성 무기폐가 형성됩니다.

폐렴의 단계:

  1. 침투 단계(질병 첫 주). 일반적으로 세그먼트와 엽의 주변 부분에 국한되는 명확한 윤곽과 경계가 없는 폐 조직의 음영입니다. 특정 영역에서는 음영이 분절간 또는 엽간 격막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간질성 반응은 인접한 분절에서 감지됩니다.
  2. 흡수 단계(질병의 두 번째 주). 침윤의 정도와 강도가 감소됩니다; 간질 구성 요소로 인해 폐 패턴이 증가하는 배경에 대해 정상 또는 증가된 기압 폐 조직 영역과 함께 다양한 크기의 소엽 그림자 및 초점 그림자를 시각화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3. 삽입형 변화 단계(두 번째 끝 - 세 번째 주 시작) 침윤 변화는 없으며 기관지 주위 변화, 폐 패턴의 메쉬 변형, 무거움의 형태로 침윤 부위에서 간질 변화가 감지됩니다.

National Guide to Neonatology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주 진단 징후 또는 세 가지(또는 그 이상)의 보조 진단 징후가 확인되면 선천성 폐렴 진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Antonov, E.N. Baibarina, 2003).

1.3 역학

폐렴 발병률은 만삭아의 경우 약 1%, 미숙아의 경우 약 10%입니다. 기계 환기 장치를 사용하는 중환자실의 신생아에서 원내 폐렴 발병률은 매우 다양하며 40%에 달할 수 있습니다.

1.4 ICD 10에 따른 코딩

P23- 선천성 폐렴

주산기에 등록된 폐렴은 "선천성 폐렴"이라는 용어로 지정됩니다. 이 용어는 자궁 내 또는 출생 시 발생하는 감염성 폐렴을 의미합니다. 선천성 폐렴의 통계적 설명을 위해 ICD-10 코드인 P23(클래스 XVI "주산기에서 발생하는 개별 질환")이 사용됩니다.

선천성 폐렴의 원인에 따라 다음 사항이 별도로 기록됩니다.
P23.0. 바이러스성 선천성 폐렴.
R23.1. 클라미디아로 인한 선천성 폐렴.
R23.2. 포도상구균에 의한 선천성 폐렴.
R23.3. B군 연쇄구균에 의한 선천성 폐렴.
R23.4. 대장균에 의한 선천성 폐렴:

    신생아의 폐렴은 세균성, 바이러스성, 곰팡이성 또는 기타 병원체(톡소플라스마, 매독)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의 세균성 폐렴은 조기(생후 최대 72시간) 및 후기(생후 72시간 후)일 수 있습니다.

    세균성 폐렴은 미생물학적으로 확인되거나(기관 배양 양성이 있는 경우) 미생물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기관 배양 양성이 없는 경우).

    출생 후 또는 병원(산부인과 병원, 신생아 병리과)에서 감염이 발생한 산후 폐렴 - 원내 폐렴 또는 가정에서 - "거리", "가정" 획득 폐렴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흡인증후군, 패혈증의 징후 또는 합병증인 이차성 폐렴.

1.6 임상 사진

생후 첫 시간부터 신생아는 호흡 곤란, 호흡 활동에 흉부 보조 근육의 개입, 무호흡증 및 청색증 발작, 입에서 거품이 나는 분비물을 경험합니다. 실버맨은 4-6점을 기록했습니다. 혼수 상태 증가, 창백한 피부(종종 청색증 색조 포함), 빈맥 및 간 크기 증가가 나타납니다. 공막증과 출혈이 자주 발생합니다. 폐렴은 전반적인 상태에 뚜렷한 장애를 동반합니다. 어린이가 무기력하거나 불안해지며 식욕이 감소하고 역류, 구토, 자만심, 대변 장애가 나타나고 심혈관 부전 증상 및 중추 신경계 기능 장애가 발생합니다.

미숙 신생아는 중추 신경계 우울증 증상의 임상상에서 우세하고 호흡 부전 증가 (눈 주위 및 구강 주위 청색증, 무호흡증 발생)가 특징입니다. 체중 감소를 관찰하십시오.

B군 연쇄상구균으로 인한 폐렴은 주로 미숙 신생아에서 발생하며, 대부분 생후 첫 24~72시간 내에 발생합니다. 호흡 곤란이 증가하고 불규칙한 호흡 리듬(무호흡증, 헐떡거림)이 관찰됩니다. 천명음이 나는 시끄러운 호기, 가슴의 부기 및 탄력 감소, 확산성 청색증 및 진행성 저산소혈증이 특징적입니다. X-레이 검사에서는 공기 기관지조영술, 망상 결절 메쉬(다발성 작은 무기폐로 인한) 및 간질의 염증성 침윤의 증상이 드러납니다.

음성이 아닌 세균에 의한 폐렴은 발열, 무호흡증, 혈역학적 장애, 호흡 곤란 증후군, 폐고혈압, 감염성 독성 쇼크 등 중증입니다. X-ray 검사에서는 유리질 막 증후군과 유사한 징후, 즉 망상 결절 메쉬의 출현이 드러납니다.

리스테리아 폐렴은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징이 없습니다.

클라미디아성 폐렴은 일반적으로 생후 3~6주 사이에 발생합니다. 절반의 경우 결막염이 선행됩니다(5~15일에 발견됨). 폐렴은 발열이 없고, 아급성 무증상 발병 및 건조하고 비생산적인 기침(스타카토 기침), 기관지 폐쇄 증후군이 특징입니다.

독성이 없습니다. 신체 검사를 통해 폐에 사소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방사선 사진에서는 간질 성분이 우세한 양측 확산 불균일 침윤을 보여줍니다. 말초 혈액의 일반적인 분석에서 중등도의 호산구 증가증이 때때로 감지됩니다.

우레아플라스마 폐렴은 일반적으로 이 감염이 있는 산모에게서 태어난 어린이의 생후 2주차에 발생합니다. 임상상은 천천히 발전합니다. 아마도 유일한 전형적인 증상은 지속적이고 비생산적인 기침일 것입니다. 엑스레이 기능도 없으며 양측 폐 손상은 침윤성, 고르지 않은 초점 그림자로 감지됩니다. 말초 혈액의 일반적인 분석에는 변화가 없을 수 있습니다.

2. 진단

선천성 폐렴 진단 기준. 진단의 공식화

적어도 하나의 주 진단 징후 또는 세 개 이상의 보조 진단 징후가 확인되면 선천성 폐렴 진단을 확인합니다(Antonov, E.N. Baibarina, 2003):

기초적인:

    흉부 엑스레이의 초점 침윤 그림자(생후 첫 3일 동안 엑스레이 검사를 수행할 때 30%의 경우에 그림자가 없을 수 있음)

    산모와 아이의 동일한 미생물을 파종합니다(생후 첫날에 물질을 채취한 경우).

    흡인 증후군이 있는 경우, 생후 첫 3일 동안 폐렴 발생(이 기준은 분만 중에 흡인이 발생하고 출산 직후 기관에서 내용물을 흡인하여 확인된 경우에 적용됩니다).

보조 진단 기준:

    생후 첫날 일반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증가증이 21?109/l 이상(백혈구 공식이 11% 이상 왼쪽으로 이동하거나 없이);

    생후 2~3일의 일반 혈액 검사에서 부정적인 역학;

    생후 첫 3일 동안 X-레이 검사 중 기관지 혈관 패턴 증가(폐장의 투명도의 국소적 감소와 함께 또는 감소하지 않음);

    어머니의 전염병 존재;

    생후 첫 3일 동안 어린이의 다른 화농성 염증성 질환의 존재;

    생후 첫 3일 동안 첫 번째 기관 삽관 중 화농성 가래의 존재;

    생후 첫날 간 크기의 증가 (쇄골 중앙선을 따라 2.5cm 이상, 체중이 1500g 미만인 어린이의 경우 - 2cm 이상), 때로는 촉진을 위한 비장의 접근성과 함께 ( 신생아의 용혈성 질환이 없는 경우);

    170?109/l 미만의 혈소판감소증;

    생후 첫날 혈청 내 면역글로불린 M 농도가 21mg% 이상입니다.

    생후 첫날부터 흉강에 체액이 존재합니다.

    태반의 조직학적 검사 중에 발견된 염증 변화.

2.1 불만사항 및 기억상실

엄마와 아이의 위험 요인 존재:

    어머니의 급성 감염 존재;

    GBS로 인한 모체 집락화(임신 35-37주);

    조산 (<37 недель гестации);

    양수의 조기 배출(약 18시간);

    출산 중 산모의 체온이 올라가나요? 38? 씨;

    이번 임신 중 산모의 세균뇨;

    융모막염;

    비정상적인 태아 CTG;

    미숙아, 저체중 출생;

    침습적 절차;

    부모와 의료진 간의 교차 감염;

    부적절한 ABT;

    신생아의 외과적 치료;

    의료진의 손씻기 불량.

2.2 신체검사

    불안정한 온도(>37.9c 또는<360c);

    불포화;

    60회/분 이상의 빠른 호흡 또는 무호흡증;

    호기 신음;

    가슴의 유연한 부위의 강력한 수축;

    폐 청진: 호흡이 약해지고, 삐걱거리는 소리가 들립니다.

    호흡음 및 흉부 이탈의 비대칭;

    혼수 상태, 창백함, 칙칙한 피부색, 빨기 거부;

    졸음 또는 신경학적 상태의 변화;

    팽만감;

    음식 소화 실패;

    빈맥 > 180회/분;

    환기 매개변수의 증가;

    기관의 화농성 내용물.

2.3 실험실 진단

코멘트:C 반응성 단백질 수치가 10mg/L 이상 증가하는 것은 만삭아의 세균 감염의 초기 징후인 반면, 미숙아의 혈액 내 농도와 감염성 병리의 존재 사이에는 유사한 패턴이 있습니다. 그것들은 명확하게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프로칼시토닌 테스트(PCT)는 최근 염증 반응의 민감한 지표로 간주되어 왔습니다. 신생아 혈청의 PCT ​​수준이 0.5ng/ml 이상 증가하면 감염 과정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표 2 - 0~48시간 신생아에 대한 PCT 기준 범위

오랫동안 혈청 내 PCT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질병의 진행 과정이 좋지 않고 치료가 부적절함을 나타냅니다.

  • 완전한 혈구수 계산을 위해 혈액을 채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TORCH 감염에 대한 ELISA 또는 PCR 혈액 검사가 권장됩니다.
  • 산-염기 상태 및 혈액 가스(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지표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2.4 기기 진단

3. 치료

신생아의 폐렴 치료에는 적절한 관리 및 영양, 병인성, 병인성 및 증상 치료의 조직이 포함됩니다. 물론 폐렴 치료의 기본은 비경구적 항균요법이다. 신생아 항균 요법의 기본 원칙(J. Rello, 2001):

설명: 치료의 두 번째 단계에서는 병인 해독 결과에 따라 치료법이 조정되고 표적 작용 스펙트럼을 가진 약물이 사용됩니다.

3.1 원인치료

대부분의 저자에 따르면 초기 세균 감염에 대한 경험적 항생제 치료의 시작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와 결합된 암피실린(아목시실린)으로 남아 있습니다.

    병원감염의 경우 아미카신 10-15mg/kg/일, 항포도상구균제(반코마이신 45mg/kg/일 등)가 우선적으로 투여되어야 합니다.

    그람 음성 장내 세균의 경우 암피실린 및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또는 3세대 세팔로스포린(세포탁심 또는 세프타지딤 최대 100mg/kg/일), 이미페넴(40-60mg/kg)이 권장됩니다.

    혐기성 감염의 경우 - 메트로니다졸(15mg/kg/일)

    클라미디아 감염의 경우 - 마크로라이드 또는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적응증에 따라 - 항진균제 (플루코나졸, 암포테리신 B 등)

  1. 필수 의약품 목록:
    1. 암피실린** 250mg 정제; 250mg, 500mg 캡슐.; 주사 용액 제조용 분말 500-1000 mg; 병에 담긴 125/5 ml 현탁액;
    2. 아목시실린 + 클라불란산** 625mg 정제; 바이알에 600mg, 주사용 용액;
    3. 겐타마이신 **40mg/ml, 80mg/2ml 앰프;
    4. 세프트리악손 **250mg, 500mg, 1,000mg을 바이알에 담은 주사액 제조용 분말;
    5. 세푸록심 **250mg, 500mg, 정제; 병에 750mg, 주사액 제조용 분말;
    6. 세페핌**주사액용 분말 1,000mg;
    8. 아시클로버 **200mg, 800mg 정제;
    9. 설파메톡사졸 + 트리메토프림 **120mg, 480mg, 정제; 480mg/5ml, 앰프; 240mg/5ml 경구 현탁액;
    10. 클록사실린 **500 mg, 정제;
    11. 에리스로마이신 **250mg, 500mg, 정제; 250mg/5ml 경구 현탁액;
    12. 스피라마이신** 150만개, 37만5천개, 현탁용과립; 75만개, 150만개, 수액용분말;
    13. 메트로니다졸** 250mg, 정제; 주입용 100ml 병 용액에 0.5;
    14. 프로카인아미드**0.25g, 정제;
    15. 플루코나졸 **50mg, 150mg, 캡슐.; 정맥 투여용 병에 담긴 100ml 용액;
    16. 살부타몰** 100mcg/용량, 에어로졸; 2mg, 4mg 정제; 분무기용 용액 20ml;
    17.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마이드** 100ml 에어로졸;
    18. 페노테롤 **5 mg, 정제; 주사용 0.5mg/10ml 용액;
    19. 덱사메타손** 4mg/ml, 주사용 용액; 500mcg, 정제;
    20. 디곡신 **62.5mcg, 250mcg, 정제; 0.025% 주사용 앰플액 1ml입니다.
    추가 약물 목록:
    1. 아지스로마이신 **125mg, 500mg, 정제; 250mg 캡슐; 병에 주입하기 위한 200mg/100ml 용액;
    도파민**0.5%, 4% 앰플에 주입하기 위한 5ml 용액입니다.

3.2 병원성 치료

  • 인공호흡을 포함한 호흡기 치료가 권장됩니다.

코멘트: 호흡기 치료는 기계적 환기를 포함하여 신생아 폐렴 치료의 핵심 초점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적절한 가스 교환 및 폐포 환기 달성 및 유지, 압력상해 위험 및 심장 혈류역학 장애 최소화, 비동기화 제거를 통해 환자의 편안함 확보. 용적 조절 환기가 선호되는 이유는 이 전략이 적절하고 일정한 일회 호흡량과 낮은 기도압에서의 분당 환기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다수의 필수 환기 매개변수와 흡입 혼합물의 산소 농도를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호흡 보조의 조기 시작이 지속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압력과 산소 농도 모두에 대한 더 부드러운 매개변수로 제한된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더 이상 논쟁이 없습니다. 오늘날 폐렴 환자를 포함하여 신생아에게 호흡기 치료를 제공하는 여러 가지 새로운 방법이 등장했습니다. 고주파 진동 환기는 호흡 활동에 최대 폐포 수가 포함되는 개방형 폐 전략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경우 환기-관류 관계가 정상화되고 호흡기의 낮은 압력에서 충분한 양이 유지됩니다.

  • 병인 치료의 일환으로 적절한 주입 요법을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멘트: 주입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생리적 필요 및 병리학적 손실을 기반으로 한 체액량 계산, 출생 후 신장 기능 성숙의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주입 프로그램에 새로운 구성 요소 도입,
  2. 주입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물과 전해질 균형에 대한 임상 및 실험실 모니터링의 필요성.

주입 요법의 기본 용액은 10% 포도당 용액입니다. 소아에게 장내 영양과 비경구 영양을 모두 수행하는 경우 130~140 kcal/kg/일의 칼로리 요구량을 달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아동에 대한 개별적인 접근 방식으로 합리적으로 구성된 복합 치료법만이 호흡기의 염증 과정을 최적으로 중지하고 인공 환기 시간을 줄이며 미숙 신생아의 기관지폐 이형성증 발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3.3 집중치료

소생술 실습에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표준에 따라 수행됩니다.

3.4 대증치료, 물리치료

  • 증상 치료 및 물리 치료 방법은 복합 치료의 일부로 권장됩니다. 특정 기술 및 적용 방법 목록은 지배적인 임상 증상에 따라 달라집니다.

4. 재활

재활은 없습니다.

5. 예방 및 임상관찰

    선천성 질환 진단을 위한 검사를 포함한 계획된 임신 관리;

    만성 감염의 병소 치료;

    감염된 환자와의 접촉을 피합니다.

    과일, 야채, 허브를 기본으로 한 사려 깊은 식단;

    부분 식사;

    하루에 최소 2시간 동안 신선한 공기 속에서 산책하세요.

    야간 수면 - 최소 8시간

    술과 담배를 끊는 것.

신생아의 폐렴 예방은 산부인과 병원의 위생 및 역학 기준을 준수하여 보장됩니다. 또한 퇴원 후에도 부모는 아기를 제대로 돌보아야 합니다. 이렇게 하려면 의사의 권고를 따르고 아이가 감염원과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합니다.

의료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

품질 기준

성과평가

호흡 기능은 출생 시 Silverman 척도(미숙아의 경우) 또는 Downes 척도(만삭아의 경우)를 사용하여 평가되었습니다.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생체 기능(맥박, 호흡, 혈중 산소 포화도) 모니터링을 실시했습니다.

혈액의 산-염기 상태(pH, PaCO2, PaO2, BE)에 대한 연구는 최소 24시간마다 한 번씩 수행되었습니다(호흡 부전의 경우).

산소 흡입 및/또는 비침습적 기계적 환기 및/또는 기계적 환기가 수행되었습니다(필요한 경우).

항생제 및 기타 약물에 대한 병원체의 민감도를 확인하기 위해 가래 또는 기관 흡인물에 대한 무균 검사를 수행했습니다.

항생제 및 기타 약물에 대한 병원체의 민감도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의 무균 검사를 수행했습니다.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호중구 지수를 측정하여 일반(임상) 혈액 검사를 실시했습니다.

이전 연구일로부터 72시간 이내에 호중구 지수를 측정하여 반복 혈액 검사를 수행했습니다.

흉부 엑스레이는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실시했습니다.

항균 약물 치료가 수행되었습니다.

공기 누출 증후군이 발생하지 않음

서지

  1. 신생아학 - 국가 가이드 / ed. 러시아 의학 아카데미 교수. N.N. Volodina. - M .: GEOTAR-Media, 2008. - 749 p.
  2. 2. Tatochenko V.K., Sereda E.V., Fedorov A.M., Katosova L.K., Dementyeva G.M., Samsygina G.A., Strachunsky L.S. 어린이 폐렴의 항균 요법 // 항생제 및 화학 요법. - 2000. - 5호. - P. 34-39.
    Geppe N.A., Rozinova N.N., Volkov I.K. 및 기타 어린이의 기관지 폐 질환에 대한 새로운 작업 분류 // 의사. RU. - 2009. - 2호. - 7-13페이지.
  3. Chernyakhovsky O.B., Abramova I.V., Polyanchikova O.L. 신생아의 자궁 내 감염, 위험 요인 // 러시아 주산기 및 소아과 게시판. - 2009. - 1호. - P. 80-88.
  4. Biryukova T.V., Soldatova I.G., Mileva O.I., Vorontsova Yu.N., Degtyareva M.V. 초기 신생아 패혈증이있는 신생아의 혈청 내 프로칼시토닌 수준에 대한 진단 정보 // 실제 소아과 문제. - 2007. - 3호. - 5-11페이지.
  5. Suvorova M.P., Yakovlev S.V., Dvoretsky L.I. 병원 폐렴의 진단 및 항균 치료 문제 // 항생제 및 화학 요법. - 2001. - T. 46. - 9 번. - P. 40-44.
  6. 7. Volodin N.N., Dolgov V.V., Degtyarev D.N. 및 기타 신생아의 세균 감염 중 염증의 "급성기"단백질 // Russian Bulletin of Perinatology and Pediatrics, 2000. - Volume 45. - N 1. - P. 10-13.
    Duke T. 개발 도상국의 신생아 폐렴 // Arch Dis Child Fetal Neonatal Ed. - 2005. - V. 5. - R. 90-94.
  7. McGuire W., Clerihew L., Fowlie P.W. 조산아의 감염 // BMJ. - 2004. - V. 2. - P. 329-41.
  8. Popovich D.M., McAlhany A. 클라미디아 양성 산모에게서 태어난 유아에 대한 실무자 관리 및 선별 지침 // NBIN. - 2004. - V. 4. - P. 1-9.

부록 A1. 워킹그룹의 구성

    이바노프 D.O.– 의학박사, 교수, 러시아 연방 보건부 신생아학 수석 프리랜서 전문가. 러시아 보건부 연방정부예산고등교육기관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소아과 의과대학"의 총장이자 러시아 주산기 의학 전문가 협회 회원입니다.

    Petrenko Yu.V. –러시아 북서부 연방 지구의 수석 신생아 전문의이자 상트 페테르부르크 국립 소아과 의과 대학의 의료 업무 부총장입니다.

    이 A.G. –상트페테르부르크 주립 소아과 의과 대학 주산기 센터의 소생술 및 신생아 집중 치료 부서 책임자인 인공호흡기.

    쿠즈네초바 I.A. -소생술 의사.

이해 상충.실무 그룹의 모든 구성원은 보고할 재정적 지원/이해 상충이 없음을 확인했습니다.

    소아과;

    신생아학;

    산부인과.

방법론

증거 수집/선택에 사용되는 방법: 전자 데이터베이스 검색.

증거 수집/선택에 사용되는 방법에 대한 설명: 권장 사항에 대한 증거 기반은 Cochrane Library, EMBASE 및 MEDLINE 데이터베이스 및 전자 라이브러리(www.elibrary.ru)에 포함된 출판물입니다. 검색 깊이는 5년이었다.

증거의 질과 강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전문가 합의;

증거 분석에 사용되는 방법:

    증거 테이블을 이용한 체계적인 검토.

증거 분석에 사용된 방법에 대한 설명

증거의 잠재적 출처로 출판물을 선택할 때 각 연구에 사용된 방법론을 검토하여 타당성을 확인합니다. 연구 결과는 출판물에 할당된 증거 수준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권장 사항의 강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방법론적 검토는 결과 및 결론의 타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연구 설계의 특징에 초점을 맞춘 몇 가지 주요 질문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러한 주요 질문은 연구 유형과 출판 평가 프로세스를 표준화하는 데 사용되는 설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물론 평가 과정은 주관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잠재적 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연구는 독립적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작업 그룹의 최소 두 명의 독립적인 구성원. 평가의 차이는 전체 그룹에서 논의되었습니다. 합의에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독립적인 전문가가 참여했습니다.

증거 테이블은 실무 그룹 구성원에 의해 완성되었습니다.

권장 사항을 공식화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전문가 합의.

    외부 전문가 평가;

    내부 전문가 평가.

이러한 권장 사항 초안은 권장 사항의 기초가 되는 증거의 해석이 어느 정도 이해 가능한지에 대해 주로 논평하도록 요청받은 독립적인 전문가의 동료 검토를 거쳤습니다. 권장 사항의 명확성과 일상 진료에서 작업 도구로서 권장 사항의 중요성에 대한 평가에 관해 주치의와 지역 치료사로부터 의견을 받았습니다.

환자의 관점에서 의견을 얻기 위해 예비 버전도 비의료 검토자에게 전송되었습니다.

RCHR(카자흐스탄 공화국 보건부 산하 공화국 보건 개발 센터)
버전: 아카이브 - 카자흐스탄 공화국 보건부의 임상 프로토콜 - 2007(명령 번호 764)

선천성 폐렴(P23)

일반 정보

간단한 설명


선천성(자궁내) 폐렴- 산전 또는 산전 기간에 태아 감염의 결과로 발생하는 폐 실질의 전염병.

프로토콜 코드: H-P-002 "선천성 폐렴"
소아병원의 경우

ICD-10 코드:

P23 선천성 폐렴

P23.0 바이러스성 선천성 폐렴

P23.1 클라미디아로 인한 선천성 폐렴

P23.2 포도상구균에 의한 선천성 폐렴

P23.3 B군 연쇄구균에 의한 선천성 폐렴

P23.4 대장균에 의한 선천성 폐렴

P23.5 슈도모나스에 의한 선천성 폐렴

P23.6 기타 세균에 의한 선천성 폐렴

P23.8 기타 병원체에 의한 선천성 폐렴

P23.9 상세불명의 선천성 폐렴

분류


폐렴은 감염시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1. 선천성 태반 폐렴(병원체가 태반을 통해 산모로부터 태아로 침투함) 이것은 일반적으로 풍진, 세포 비대, 단순 포진, 톡소 플라스마 증, 리스테리아 증, 매독, 마이코 플라스마 증 등과 같은 일반 감염의 징후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다양한 기관이 손상되어 발생합니다.

2. 선천성 분만중 폐렴, 출산 중 태아의 폐에 들어간 병원균, 즉 양수 또는 태아가 감염된 산도를 통과할 때 발생합니다. 선천성 분만 중 폐렴은 종종 생식기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hominis, Ureaplasma urealyticum), 그룹 B 및 D 연쇄상구균을 포함한 혐기성 박테리아, 기타 미생물(비리단스 연쇄상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및 결핵균, 리스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양수염 및 자궁내막염과 관련됩니다.

산도를 통과하는 동안 발생하는 분만 중 폐렴은 연쇄상 구균 B, 클라미디아, 생식기 마이코플라스마 거대세포 바이러스, 리스테리아, 단순 포진 바이러스 유형 II, 칸디다 속의 진균, 덜 흔하게는 비리단스 연쇄상 구균, 대장균, 장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및 , 아마도 Trichomonas 일 것입니다.

진단

진단기준

불만 및 기억 상실: 아니요

신체 검사:
- 빠른 호흡 > 분당 60회;
- 가슴 아래 부분의 뚜렷한 수축;
- 코 날개의 붓기;
- 끙끙거리는 호흡;
- 호흡곤란으로 인한 수유 곤란
- 발열(> 37.5°C) 또는 저체온증(< 36,0°С);
- 창백, 청색증 또는 황달;
- 경련;
- 혼수 상태 (무기력);
- 폐렴의 청진 및 타악기 징후.

실험실 테스트: 구체적이지 않음.

도구 연구:방사선 사진의 침윤성 변화.

전문가와의 상담에 대한 적응증: 수반되는 병리에 따라 다름.


감별진단: 아니오.


주요 진단 조치 목록:

1. 혈소판 수와 함께 전체 혈구 수를 계산합니다.

2. 일반 소변 분석.

3. 흉부 장기의 엑스레이를 두 번 촬영합니다.


추가 진단 조치 목록:

1. 바이러스학적(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결막, 콧물 및 인두 긁힘으로 인한 도말, 면역형광 혈청을 사용한 클라미디아, X-레이로 10-14일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역가 결정, RSK, 등) 및 세균학 연구 (항생제 처방 전 코, 인두, 기관지 내용물, 혈액의 배양 및 세균 내시경 점액).

2. 기관 및 기관지 내용물의 그람 염색 도말 현미경 검사(세포 내 미생물의 존재는 감염 과정을 지지하는 논증입니다).

해외에서 치료

한국, 이스라엘, 독일, 미국에서 치료받기

의료관광에 대한 조언을 받아보세요

치료

치료 목표:
- 호흡 및 심혈관 부전 완화, 일반적인 중독 증상;

폐의 타악기 및 청진 패턴의 표준화;

실험실 매개변수의 정규화.


비약물치료 : 없음


약물 치료

세균총에 의한 폐렴의 경우 분리된 미생물의 민감도를 고려하여 항균 요법이 처방됩니다.

클라미디아로 인한 폐렴의 경우 선택 약물은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아지스로마이신, 에리스로마이신, 로바마이신)입니다.

거대세포바이러스로 인한 폐렴의 경우 선택 약물은 특정 항세포바이러스 면역글로불린입니다.

단순 포진 바이러스로 인한 폐렴의 경우 선택 약물은 아시클로버입니다.

1. 항균요법

1.1 임상 및 실험실 데이터에 따르면 폐렴의 원인이 불분명한 경우, 연쇄구균 및 리스테리아 폐렴에 효과적인 약물인 암피실린(50mg/kg IV, IM 6~8시간마다 또는 첫 주 동안 12시간마다 IM)으로 치료를 시작합니다. 생애 중) 및 겐타마이신(12시간마다 5mg/kg IM 또는 생후 첫 주에 체중이 2kg 미만인 경우 24시간마다 3mg/kg).

1.2 48시간 이내에 치료해도 기대한 결과가 나오지 않거나 아이의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에는 3세대 세팔로스포린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IV 세포탁심(6~8시간마다 50mg/kg) 및 IM 암피실린(6시간마다 50mg/kg)이 있습니다.

배양된 유기체의 유형이 결정되면 항생제 치료는 항생제 민감도에 따라 조정되어야 합니다.

2. 적절한 산소치료호흡 부전(중추 청색증, 숨을 쉴 때마다 끙끙거리는 호흡, 호흡곤란으로 인한 수유 곤란, 흉부의 상당한 수축)이 있는 영아.

3. 발작 중지:페노바르비탈을 근육 내 투여합니다(단회 투여량 20mg/kg). 경련이 멈추지 않으면 페노바르비탈(1일 1회 5mg/kg)로 치료를 계속합니다.

4. 적정 기온 유지실내(최소 25°C)에서.
저체온증을 예방하려면 아기에게 마른 옷을 입히고 모자를 씌워 잘 덮어주어야 합니다. 아기의 상태가 좋아지면 엄마 몸 가까이에 눕혀주세요('캥거루 엄마케어'). 엄마와 아기가 24시간 긴밀한 신체 접촉을 유지하는 것은 인큐베이터나 외부 보온기를 사용하는 것만큼 효과적이며 저체온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5. 발열 해소.파라세타몰과 같은 해열제는 유아의 발열 치료에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십시오. 필요한 경우 아이의 옷을 벗기십시오.

6. 엄마가 자주 모유수유를 하도록 격려하세요. 아이가 호흡곤란이 심하거나 허약한 경우에는 비위관, 컵, 스푼을 이용하여 짜낸 모유(아이 체중의 20ml/kg)를 하루 8~12회 먹입니다.

7. 저혈당 예방.저혈당증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혈당 수치가 2.2mmol/L 미만인 경우(< 45 м/дл), введите 10 мл/кг 10% раствора глюкозы через назогастральный зонд и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повторного развития гипогликемии часто кормите младенца.

8. 아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합니다.간호사는 6시간마다(매우 약한 경우 3시간마다) 아기를 평가해야 합니다. 의사는 하루에 한 번씩 아기를 진찰해야 합니다. 아이의 신체가 항균 치료에 제대로 반응하지 않으면 항생제를 바꾸십시오.

필수 의약품 목록:

1. *암피실린 250mg 정제; 250mg, 500mg 캡슐.; 주사 용액 제조용 분말 500-1000 mg; 병에 담긴 125/5 ml 현탁액

2.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필름코팅정 250mg/125mg, 500mg/125mg, 정맥투여용산제 500mg/100mg, 경구현탁용산제 125mg/31, 25mg /5ml, 200mg/28.5mg/5ml, 400mg/57mg/5ml

3. *겐타마이신 40mg/ml, 80mg/2ml 앰프.

4. *세프트리악손 250mg, 500mg, 1,000mg 바이알내, 주사액용 분말

5. *세푸록심 250mg, 500mg, 정제; 병에 750mg, 주사액 제조용 분말 1.5g.

6. 세프타지딤(Ceftazidime) - 병에 주입하기 위한 용액 제조용 분말 500 mg, 1 g, 2 g

7. *주사액용 세페핌 1,000mg 분말

8. 아시클로버 200mg, 800mg정.

9. *설파메톡사졸 + 트리메토프림 120mg, 480mg, 정제; 480mg/5ml, 앰프; 240mg/5ml 경구 현탁액

10. *클록사실린 500mg, 표.

11. *에리스로마이신 250mg, 500mg, 정제; 250mg/5ml 경구 현탁액

12. *스피라마이신 150만개, 37만5천개, 현탁용과립; 75만개, 150만개, 수액용분말

13. *메트로니다졸 250mg, 정제; 주입용 100ml 병 용액에 0.5

14. *프로카인아미드 0.25g, 정제

15. *플루코나졸 50mg, 150mg, 캡슐.; 정맥 투여용 병에 담긴 100ml 용액

16. *살부타몰 100mcg/용량, 에어로졸; 2mg, 4mg 정제; 분무기 용액 20ml

17.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마이드 100ml 에어로졸

18. *페노테롤 5 mg, 정제; 주사용 0.5mg/10ml 용액

20. *디곡신 62.5mcg, 250mcg, 정제; 0.025% 주사용 앰플액 1ml

  • 카자흐스탄 공화국 보건부의 질병 진단 및 치료 프로토콜(2007년 12월 28일 명령 번호 764)
    1. 1. 의료 관련 폐렴 예방 지침, 2003: CDC 및 의료 감염 통제 관행 자문 위원회의 권장 사항. 2. Tice AD, Rehm SJ, Dalovisio JR, Bradley JS, Martinelli LP, Graham DR, Brooks Gainer R, Kunkel MJ, Yancey RW, Williams DN. 외래 환자 부모의 항균 요법에 대한 실습 지침. Clin Infect Dis 2004년 6월 15일;38(12):1651-72. 3. 호흡 곤란 증후군이 있는 신생아 치료 제공을 위한 임상 및 조직 지침 http://www.healthquality.ru/flowcharts/pihrus.pdf 4. 심각한 감염 또는 심각한 영양실조에 걸린 어린이의 관리. 카자흐스탄의 1급 병원 치료에 대한 지침. WHO, 카자흐스탄 공화국 보건부, 2003, 197 p.
  • 정보

    개발자 목록:
    Nauryzbaeva M.S., 의학 후보자, 카자흐스탄 공화국 보건부 소아과 및 소아 외과 연구 센터 IMCI 연구 센터 책임자

    첨부 파일

    주목!

    • 자가 치료를 하면 건강에 돌이킬 수 없는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 MedElement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MedElement", "Lekar Pro", "Dariger Pro", "질병: 치료사 가이드"에 게시된 정보는 의사와의 대면 상담을 대체할 수 없으며 대체해서는 안 됩니다. 우려되는 질병이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기관에 문의하십시오.
    • 약물의 선택과 복용량은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의사만이 환자의 신체 질환과 상태를 고려하여 올바른 약과 복용량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 MedElement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MedElement", "Lekar Pro", "Dariger Pro", "질병: 치료사 디렉토리"는 독점적인 정보 및 참조 리소스입니다. 본 사이트에 게시된 정보는 의사의 지시를 무단으로 변경하는 데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 MedElement의 편집자는 이 사이트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체적 부상이나 재산 피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