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궤양의 수술적 치료. 위궤양 제거 - 절제, 봉합, 미주신경절제술 소화성궤양 수술치료의 합병증

I.I.의 이름을 딴 상트페테르부르크 주립 의과대학 메치니코프.

V.A.의 이름을 딴 교수외과학과 오펠.

주제 : 소화성 궤양

장기 해부학

뇌실 , 위, 소화관의 주머니 모양의 확장을 나타냅니다. 음식물이 식도를 통과한 후 위에서 음식물이 축적되며, 음식물의 고체 성분이 액체 또는 흐릿한 혼합물로 변하는 소화의 첫 번째 단계가 발생합니다. 위에는 전벽과 후벽이 있습니다. 위쪽과 오른쪽을 향한 위의 오목한 가장자리를 소만곡(curvatura Ventriculi Minor)이라고 하며 아래쪽과 왼쪽을 향한 볼록한 가장자리를 큰 만곡(Curvatura Ventriculi Major)이라고 합니다. 입구보다 위의 출구 끝에 더 가까운 작은 곡률에서는 노치가 눈에 띄고, 작은 곡률의 두 부분이 예각으로 수렴하는 뇌실각(Angulus Ventriculi)이 있습니다.

위에서는 다음과 같은 부분이 구별됩니다. 식도가 위로 들어가는 곳을 심장소공이라고 합니다. 위의 인접한 부분 - 심장부; 출구 부위 - 유문, 유문, 위의 인접한 부분 - 유문부; 심장구 왼쪽에 있는 돔 모양의 위 부분을 바닥 또는 fornix라고 합니다. 몸은 위의 fornix에서 paras pu1orica까지 이어집니다. Pars pylorica는 차례로 위의 몸체에 가장 가까운 부분인 유문전방(antrum pyloricum)과 유문에 직접 인접한 더 좁은 튜브 모양의 부분인 유문관(canalis pyloricus)으로 나뉩니다.

위의 지형.위는 상복부에 위치합니다. 위의 대부분(약 5/6)은 정중면의 왼쪽에 있습니다. 위가 채워지면 더 큰 곡률이 배꼽 부위로 돌출됩니다. 장축을 사용하면 위는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뒤에서 앞으로 향합니다. 이 경우 입구는 흉골 가장자리에서 2.5-3cm 떨어진 VII 왼쪽 갈비뼈 연골 뒤의 척추 왼쪽에 위치합니다. 그것의 후방 투영은 XI 흉추에 해당합니다. 복부 전벽에서 상당히 제거되었습니다. 위 볼트는 선을 따라 5번째 갈비뼈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도달합니다. 마밀라리스 죄. 위가 비어 있으면 유문은 XII 흉추 또는 I 요추 수준에 해당하는 오른쪽 VIII 늑골 연골에 대해 정중선을 따라 또는 약간 오른쪽에 위치합니다. 위가 가득 차면 상단에서 간 왼쪽 엽의 아래쪽 표면과 횡경막의 왼쪽 돔과 접촉하고 뒤는 왼쪽 신장과 부신의 위쪽 극, 비장과 접촉합니다. 췌장의 전면 표면, 더 아래 - 중결장 및 횡단 결장, 전면 - 오른쪽 간과 왼쪽 갈비뼈 사이의 복벽. 위가 비어 있으면 벽의 수축으로 인해 깊어지고 여유 공간은 횡행 결장이 차지하여 횡경막 바로 아래 위 앞에 놓일 수 있습니다. 위의 크기는 개별적으로나 채우는 정도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평균 스트레칭 정도는 길이가 약 21-25cm입니다.

구조.위벽은 3개의 막으로 구성됩니다: 1) 점막하층이 고도로 발달된 점막; 2) 근육층; 3) 장액막.

위 동맥 truncus coeliacus 및 a에서 유래합니다. 리에 날리스. 더 작은 곡률을 따라 a 사이에 문합이 있습니다. gastrica sinistra (truncus coeliacus 유래) 및 a. gastrica dextra (a. hepatica communis에서), 대형 - aa. gastroepiploica sinistra(a. lienalis에서) 및 gastroepiploica dextra(a. gastroduodenalis에서). Aa는 위의 fornix에 적합합니다. 위벽은 a에서 나옵니다. 리에 날리스. 위를 둘러싸고 있는 동맥궁은 모양과 크기를 바꾸는 기관인 위에 필요한 기능적 적응입니다. 위가 수축하면 동맥이 비틀리고, 늘어나면 동맥이 곧게 펴집니다.

비엔나위는 동맥의 경로를 따라 v로 흘러 들어갑니다. 포르테.

신경위 - 이것은 n의 가지입니다. 미주신경 및 트렁쿠스 교감신경. N. 미주신경은 위 연동운동과 분비선의 분비를 강화하고 유문 괄약근을 이완시킵니다. 교감신경은 연동운동을 감소시키고 유문괄약근을 수축시키며 혈관을 수축시키고 통증을 전달한다.

십이지장, 십이지장,췌장의 머리 주위를 말굽 모양으로 휘어져 있습니다. 그 안에는 네 가지 주요 부분이 있습니다. 1) 상부 상부는 첫 번째 요추의 수준을 오른쪽과 뒤쪽으로 향하고 아래쪽 굴곡을 형성하여 십이지장 굴곡부로 전달됩니다. 2) 하강하는 하부 하부가 위치합니다. 척추의 오른쪽, 세 번째 요추까지; 여기에서 두 번째 회전이 발생하고 장은 왼쪽으로 이동하여 3) 하대 정맥과 대동맥 앞에서 가로로 달리는 pars horisontalis와 4) pars ascendens를 형성하여 I-II 요추 수준까지 올라갑니다. 왼쪽과 앞.

십이지장의 지형.도중에 십이지장은 구부러진 부분의 안쪽을 따라 췌장의 머리와 융합됩니다. 또한 상부 상방은 간의 방형엽과 접촉하고 하행부는 오른쪽 신장과 접촉하며 호리손탈리스는 앞쪽의 상부 장간막 동맥과 정맥과 앞쪽의 대동맥과 하대정맥 사이를 통과합니다. 뒤쪽에. 십이지장은 장간막이 없으며 주로 앞쪽이 복막으로 부분적으로 덮여 있습니다. 하강 파스의 앞쪽 표면은 중간 부분의 복막에 의해 덮여 있지 않으며 하강 파스가 장간막 뿌리와 앞쪽에서 교차합니다. 횡행결장; pars horisontalis는 vasa mesenterica Superiores를 포함하는 소장의 장간막 뿌리가 십이지장을 가로지르는 작은 영역을 제외하고 앞쪽이 복막으로 덮여 있습니다. 따라서 십이지장은 복막외 기관으로 분류될 수 있다.

파르스 오센덴스가 I 또는 더 자주 II 요추의 왼쪽에 있는 공장으로 들어갈 때 장관의 날카로운 굽힘인 십이지장 굴곡이 얻어지며 공장의 초기 부분은 아래쪽, 앞쪽 및 왼쪽으로. Flexura duodenojejunalis는 II 요추의 왼쪽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술 중 공장의 시작 위치를 찾는 식별 지점 역할을 합니다.

혈액 공급십이지장. 십이지장은 aa에서 공급됩니다. pancreaticoduodenales loweres (A. mesenterica Superior 유래). 정맥혈은 같은 이름의 정맥을 통해 문맥으로 흐릅니다.

그림 1 위와 십이지장의 해부학.

1- 심실 절개증, 2- 뇌실 안저, 3- 심실 뇌실, 4- 심실 대만곡, 5- 유문 유문, 6- 유문 유문, 7- 심실 소만증, 8- 심실 절개, 9- 각절 절개, 10- 유문, 11- 상십이지장, 12- 하강십이지장, 13- 호리손탈리스 십이지장, 14- 상십이지장, 15- 트런쿠스 카엘리아쿠스, 16- a. 리에날리스, 17-a. 위십이지장근, 18-a. 간세포염, 19-a. 우수한 췌장-십이지장근, 20-a. 십이지장 상부, 21-a. 위암, 22-a. 위-상피증 시니스트라, 23-a. 위-에피플로이카 덱스트라, 24-aa. 위단근, 25-a. 십이지장 하부, 26- 대동맥, 27- a. 위장 덱스트라.

위장관 출혈의 병인 및 병인

급성 위장 출혈은 기원과 발달 메커니즘이 서로 다른 여러 질병에서 발생합니다. 이에 위장관 출혈은 궤양성 출혈과 비궤양성 출혈로 나누어진다.

궤양성 출혈은 전체 급성 위장관 출혈의 약 60%를 차지합니다. 그들은 본질적으로 방대하며 세심한주의를 기울였습니다. 그러나 궤양성 출혈의 원인과 발병기전은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개발 메커니즘 위십이지장출혈은 다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병인위궤양과 십이지장궤양이 있으므로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수많은 임상적, 실험적 연구소화성 궤양의 발병기전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니컨테이너 이론은 불가능합니다. 흔한지역적 요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요인

일반적인 요인에소화성 궤양 질환의 발생 및 발달에는 다음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1) 신경 조절 장애

2) 호르몬 메커니즘의 장애.

궤양 발생에 나열된 요인의 중요성 b 질병출혈로 인해 복잡해지는 위와 십이지장의 병인적 역할은 동일하지 않습니다.

십이지장의 급성 출혈이 24.5%를 차지합니다. 만성궤양(23.2%), 급성궤양(0.45%), 게실(0.25%), 십이지장암(0.25%), 췌장암(0.2%), 대동맥파열(0.05%), 혈전증(0.05%)의 경우였다. %), 히스테리(0.05%). 췌장 선종, 대망염전, 패혈증, 맹장염, 척수공동증, 담석증, 비타민 결핍, 음식 중독, 요독증, 방사선병, 알레르기, 약용 궤양 및 외과적 개입에 대한 출혈이 보고되었습니다.

소장의 급성 출혈은 1.1%에서 발생합니다. 암의 경우(0.3%), 장간막혈관혈전증(0.2%), 급성궤양(0.2%), 궤양성 장염(0.2%), 당뇨병(0.1%), 후복막의림프육종(0.05%), 렌두-오슬러병(0.05%). 메켈 게실, 용종증, 발진티푸스 및 장티푸스, 콜레라, 장중첩증, 양성 신생물, 기생충 감염, 혈액 질환 및 기타 질병에서 출혈이 기술되었습니다.

급성 대장 출혈은 2.55%로 암(1%), 대장염(0.85%), 용종증(0.35%), 이질(0.15%), 게실(0.1%), 급성 궤양(0.1%)이 있습니다. 콜레라, 결핵, 장중첩증, 장간막 혈관의 혈전증 및 기타 병리의 급성 출혈이 발표되었습니다.

직장 및 항문관의 급성 출혈은 4.03%에서 관찰됩니다: 치질(2.93%), 암(0.4%), 항문 균열(0.25%), 직장 손상(0.2%), 폴립(0.2%), 생검 (0.05%). 출혈은 직장 탈출, 특정 및 비특이적 궤양, 직장염, 급성 및 만성 paraproctitis 및 기타 질병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성 위장관 출혈의 분류를 개발할 때 혈액 손실 정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출혈 정도에 따라 환자의 상태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환자는 의학적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문헌에는 다양한 용어가 있는데, 이를 사용하여 저자는 출혈의 중증도와 강도를 강조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이름(심각함, 중간, 가벼움, 큼, 보통, 작음, 많음, 거대함, 위험함, 통제할 수 없음, 생명을 위협함 등)은 환자 상태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만을 반영하며 혈액 손실 정도를 특성화할 수는 없습니다. .

혈액 손실 정도를 결정할 때 대부분의 저자는 다음을 사용했습니다. 1) 다양한 체적 단위(리터, 유리잔, 대야 등)로 계산된 손실된 혈액량에 대한 환자, 친척, 기타 및 의료 종사자의 보고서. 2) 피부와 점막의 색, 호흡수, 맥박, 동맥 및 정맥압 수준; 3) 임상 혈액 검사의 상대적 지표(적혈구 수, 헤모글로빈, 색 지수 값) 4) 헤마토크리트 수치, 혈액 및 혈장의 비중.

혈액 손실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이러한 지표를 사용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러나 주관적인 정보, 객관적인 외부 징후 및 실험실 상대 지표(% 또는 mg%)혈액 손실량에 대한 대략적인 데이터만 제공할 수 있습니다. 출혈이 시작된 후 처음 몇 시간 동안 검사한 혈액과 혈장의 비중인 헤마토크리트조차도 체내에 남아 있는 혈액이 즉시 희석되지 않고 몇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혈액 손실의 실제 정도를 반영하지 못합니다. 심지어 며칠.

혈액 손실을 결정하는 객관적이고 가장 정확한 방법 중 하나는 혈액량과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연구와 혈액학적 매개 변수의 적자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bcc와 그 구성 요소의 결정만으로 출혈 후 신체에 혈액의 어느 부분이 남아 있고 순환에 참여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많은 임상 관찰, 혈액량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연구 및 얻은 데이터의 비교를 바탕으로 우리는 혈액 손실 정도를 가장 큰 확률로 결정하고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임상 데이터, 실험실 지표 및 도구 진단 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입니다.

출혈의 강도에 따라 피가 섞인 구토나 타르 변으로 나타나는 명백한 출혈과 숨은 잠복 출혈로 구분해야 하며 이는 p의 도움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레거슨. 명백한 출혈은 급성 또는 만성일 수 있으며 처음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성 위장 출혈은 단일 또는 다중일 수 있습니다. 즉, 빈혈의 결과가 아직 제거되지 않은 출혈 후 기간 동안 재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출혈은 환자에게 가장 큰 위험을 초래합니다.

첫 번째 출혈이 발생한 후 상당한 기간이 지난 후 정상혈량증을 배경으로 발생하는 반복적인 급성 위장관 출혈은 일반적으로 첫 번째 출혈과 다르지 않습니다. 몇 시간, 심지어 몇 분 단위로 측정되는 짧은 시간 내에 재발하는 출혈의 경우 상황이 다릅니다. 이러한 출혈은 항상성 시스템에 심각한 변화를 일으키고 생명을 극도로 위협합니다.

국내 외과 의사가 개발 한 급성 위장 출혈의 중증도 분류 (E. L. Berezov, 1955; B. S. Rozanov, 1960; V. I. Struchkov 및 E. V. Lutsevich, 1961; V. D. Bratus, 1972 등)는 조기 진단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합니다. , 치료 방법을 선택하고 즉각적인 결과를 향상시킵니다.

24일 이후 입원한 경우 시간나중에 출혈이 시작된 후 수혈 반응으로 인해 순환 혈액량의 상당한 회복이 이미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희석, 적혈구 수, 헤모글로빈 수준, 헤마토크릿 수, 비중 혈액과 혈장은 빈혈의 정도를 반영하며 혈액 손실 정도를 판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의 데이터는 출혈의 심각도에 대한 대략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연구 지표와 임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혈액 손실의 세 가지 정도(경증, 중등도, 중증)를 구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경미한 혈액 손실: 적혈구 수는 3,500,000 이상, 헤모글로빈 수치는 60 단위 이상, 헤마토크릿 수치는 30% 이상, 맥박수는 분당 최대 80회입니다. , 혈압이 110mmHg 이상입니다. 미술.

평균 혈액 손실 정도: 적혈구 수 250,000~3,500,000 범위, 헤모글로빈 수준 50~60 단위, 적혈구 용적률 25~30%, 맥박수 80~100/분 , 수축기 혈압은 100~110mmHg입니다. 성 .

심한 혈액 손실: 적혈구 수가 2,500,000 미만, 헤모글로빈 수준이 50 단위 미만, 헤마토크릿 수치가 25% 미만, 맥박수가 분당 100 이상입니다. , 수축기 혈압이 100mmHg 미만입니다. 미술.

이러한 혈액 손실 정도의 분류는 빈혈의 중증도와 환자의 상태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며 혈액 손실량과 저혈량 정도를 반영하지는 않습니다. 심각하고 빠른 혈액 손실이 있는 환자의 경우, 수혈 반응이 나타나기 전, 즉 빈혈이 나타나기 전에 사망할 수 있습니다(S. S. Yudin, 1955). 따라서 혈액량과 그 성분의 측정만으로 혈액 손실 정도와 혈액량 저하 정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외과의사 전술 선택에 중요합니다.

BCC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수많은 연구와 이러한 지표의 확인된 결핍을 임상 및 실험실 테스트와 비교한 결과, 급성 위장 출혈의 중증도에 대해 다음과 같은 분류가 권장됩니다. 가벼운 정도의 혈액 손실(GO 결핍은 최대 20 %), 중등도의 혈액 손실(GO 결핍 20~30%) 및 심각한 혈액 손실(HO 결핍 30% 이상). 의심할 바 없이, 혈액량과 그 성분의 결핍, 그리고 그에 따른 혈액 손실 정도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혈액 손실량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후 경미한 정도가 중등도 또는 중증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혈액량과 그 성분을 검사하면 진행 중인 출혈을 확인하거나 재발성 출혈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출혈 과정의 역동성에도 불구하고 BCC와 그 구성 요소를 결정하면 다른 연구의 도움으로 수행할 수 없는 남은 순환 혈액의 양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급성 위장관 출혈의 분류에는 출혈의 원인과 발병기전, 출혈이 발생한 위치, 출혈의 정도, 출혈의 지속, 중단 또는 재발 여부를 반영해야 합니다.

위의 분류를 이용하면 출혈 원인과 위치, 출혈 빈도, 출혈 정도 등을 고려하여 임상 진단을 완전하게 내릴 수 있습니다. 이는 질병 경과의 병리학 적, 병리학 적, 병리 생리학 적 본질에 의사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상세한 임상 진단은 포괄적인 감별진단의 결과이며 대략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야 합니다: 소화성 궤양, 위궤양, 심각한 출혈을 동반한 급성 재발성 출혈로 인한 합병증. 정확하고 상세한 진단을 통해 시기적절하게 가장 적절한 치료를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으며, 외과 의사의 전략을 결정하고 수술 개입의 규모와 성격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혈액 손실의 임상 징후와 상대 혈액학적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한 급성 위장관 출혈의 분류는 출혈의 중증도를 항상 객관적으로 반영하지 않으며 특정 치료 조치가 필요한 동일한 환자 그룹을 식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급성 위장 출혈 분류에 혈액량 상태 및 그 구성 요소, 이러한 지표의 결핍 정도 및 저혈량증 정도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면 혈액 손실의 심각도와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합니다.

혈액량과 그 구성 요소를 연구하는 간단하지만 매우 정확한 방법의 개발 및 개선과 일상적인 실행에서의 구현은 혈액 손실의 정도와 속도에 대한 진단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동일한 급성 위장관 출혈 환자 그룹의 치료 결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현재 혈액량과 그 구성 요소를 결정하는 방법은 모든 의료기관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개선되었으며 계획된 긴급 수술 개입에 대한 적응증을 결정할 때 필수가 되어야 합니다.

감별진단

출혈로 인해 복잡한 소화관의 급성 궤양

표재성 및 작은 위궤양으로 인한 위장관 출혈은 Dieulafoy(1897)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습니다. 최근에는 보다 적극적인 전술과 응급 위섬유경 검사의 사용으로 인해 위점막의 작은 궤양이 더 자주 발견되기 시작했으며 델라포이 궤양은 더 이상 드물지 않게 되었습니다. 급성 출혈성 궤양의 빈도는 단독 관찰에서 41.44%까지 다양합니다(Bulmer, 1927).

출혈로 인한 급성 소화관 궤양은 급성 위장관 출혈 치료를 받은 환자의 6.42%에서 발견되었습니다. 궤양 출혈 환자 중 이는 12.19%에 달했다.

소화 기관의 급성 궤양은 신생아 (Lloid, 1969)와 노인 (N.K. Matveev, N.O. Nikolaev, 1970) 모두 모든 연령에서 관찰됩니다. 따라서 노인 및 노년층에서 급성 궤양이 74.56%에서 관찰되었다. V.P. Melnikova et al.도 동일한 비율을 발견했습니다. (1970).

출혈로 인해 복잡한 소화기 급성 궤양의 원인 및 발병 기전은 현재까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급성 궤양을 유발하는 질병이나 그 합병증은 매우 다양합니다(표 1). 급성 궤양 형성과 관련된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산-소화 인자의 활성 증가입니다. 이는 환자의 84.21%에서 발생하는 위장 내 급성 궤양의 가장 흔한 국소화로 확인됩니다. 급성 식도궤양은 5.27%, 급성 십이지장궤양은 5.27%, 소장은 3.5%, 대장은 1.76%에서 나타났다.

똑같이 중요한 또 다른 병인 요인은 염산, 효소, 식품, 약물 및 기타 약제의 영향에 대한 소화관 점막의 저항이 감소한다는 것입니다. 순환 장애로 인한 수많은 질병 및 합병증으로 인해 위장 점막의 저산소증이 발생합니다.

환자의 63.15%에서 발생한 급성 궤양은 다발성이었고 크기는 직경 0.1~0.2mm에서 3cm까지 다양했습니다. 궤양의 가장자리는 부드럽고 바닥은 점막하층까지 침투했으며 근육층은 덜 침투했습니다. 급성궤양의 하부에서 육안으로 75.44% 검출 짜증나다선박.

급성 출혈의 원인 진단과 국소화에 있어서 소화관 응급 X선 검사가 중요하다.

소화 기관의 양성 종양 및 폴립

양성 종양과 소화관 폴립으로 인한 급성 출혈은 흔하지 않습니다.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여러 관찰에 관한 것입니다(V. 디. 형제, 1972). 양성 병변에서 급성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폴립입니다. 임상 진단에는 특정 어려움이 있으며 출혈의 원인은 투시법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섬유경검사그리고 S결장경검사.염증, 괴사 및 부패를 겪는 양성 종양 및 폴립은 출혈을 일으키며 일부 환자에서는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풍부한성격.

출혈이 발생하면 임상 증상은 출혈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식도와 위에 양성종양이 발생한 환자의 1.93%에서 혈변과 출혈의 일반적인 징후가 나타났다. 2.9%의 환자에서는 양성 종양과 폴립이 소장과 대장에 국한되어 있었습니다. 0.65%에서는 흑색변으로 출혈이 나타났고, 2.26%에서는 배변 중 성홍혈이 배출되었습니다. 복통은 모호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응급 상황에서는 출혈 원인과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부식성 출혈성 위염

급성기의 급성 및 만성 위염 더 복잡해지다급성 출혈의 범위는 5(C. 중. 보바, 1967)에서 17.4%(S.I. 코르호프와 함께 공저자, 1957) 다양한 병인의 위장관 출혈 중.

미란성 위염에서 급성 위장관 출혈의 원인을 알아내는 것은 이 질병의 절대적인 징후가 없기 때문에 심각한 어려움을 안겨줍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환자의 경우 기억상실과 불만사항을 주의 깊게 연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진료소에 입원했을 때 환자의 61%가 피나 커피 가루 같은 덩어리를 토하는 것이 주된 증상이었습니다. 43%는 일회성이었고 18%는 반복되었습니다. 체재환자의 49%가 대변을 보았습니다. 52.6%가 통증을 호소했다. 상복부지역. 촉진시 환자의 66.5%에서 상복부 부위에 통증이 있었습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더 가치 있는 연구는 위 섬유경 검사,침식의 직접적인 객관적 징후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미란성 위염에서 위의 분비 및 효소 기능을 연구하는 진단 가치는 작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지표의 증가와 감소가 똑같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식도 정맥류로부터의 출혈 및 카르디아

문맥압항진증의 증상 중 하나는 식도와 위 정맥류의 급성 출혈입니다. 결과적으로 문맥압항진증이 발생합니다. 간내및 간외 정맥 병변. 간내 차단의 원인은 간경화이며 드물게는 간암입니다. 간외 혈관 손상으로 인해 발달 간전의문맥과 그 큰 가지가 없어진 결과로 차단됩니다. 덜 일반적 간후간정맥 손상 - ​​간후 차단. 에 따르면 중. 디. 파시오라그리고 엘. 중. 카르프만 (1967), 간내문맥압항진증의 형태가 51%에서 관찰되며, 간외형태 - 49%.

식도 정맥의 확장이 발달하고 심장일반적으로 두 가지 주요 요인, 즉 포털 압력의 증가와 원자의 존재가 기여합니다. 담보포털과 포털 사이 기병대시스템. 문맥 고혈압은 문맥에서 다음을 통해 혈액의 역류를 촉진합니다. ve위의 장정맥은 식도정맥으로, 상대정맥은 우물로 들어간다. 식도 정맥과 상대정맥 시스템의 정맥 사이의 문합이 불충분하게 발달하여 문맥압이 증가하면 팽창, 신장, 비틀림 및 결절 형성이 발생합니다.

위와 식도 정맥 사이에 해부학적 연결이 없으면 위 정맥만 확장됩니다. 첫 번째 옵션은 비장 정맥 손상으로 인해 위 정맥을 통해 문맥 또는 문합으로 유출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두 번째 옵션은 위 정맥을 통해 문합이 발생하는 경우, 부신,조리개 그리고 후복막의혈관이 있는 정맥 기병대시스템.

정맥의 완전성 확장 및 파괴는 하부에서 더 자주 관찰되고, 중간 부분에서는 덜 자주 관찰되며, 식도 전체 길이에 걸쳐 매우 드물게 관찰됩니다. 위에서 관상정맥은 식도정맥으로 들어가는 지점에서 확장되며 매우 드물게 정맥이 확장됩니다. 근위부위장의 일부.

식도 정맥류의 급성 출혈과 심장 8.9(B. S. Rozanov, 1960)에서 10.43%(B. A. Petrov, I. I. Kucherenko, 1961)까지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출혈은 모든 출혈 중 4위, 비궤양성 출혈 중 3위를 차지합니다. 식도 및 심장의 확장된 정맥으로부터의 급성 출혈은 피가 섞인 구토(76.91%), 쇠약, 현기증 및 체재대변(21.38%) 및 실신(1.71%). 일반적으로 피가 섞인 구토는 진홍빛 혈액이 분비되는 특징을 가지며, 환자의 64.95%에서 2~14회 반복되었습니다. ~에 풍부한출혈이 발생하면 혈액이 "분수" 또는 "입 가득"으로 방출되고 즉시 빠르게 응고되어 젤리 같은 덩어리로 변합니다. 고통 상복부 34.19%의 환자에서 부위 또는 우측 hypochondrium이 나타났으며, 65.81명은 복통이 없었습니다. 이 주제와 세계 상태에 관한 책의 의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계 IP의 다른 국가에 대해.

열 헤르니아

열공탈장의 합병증 중 하나는 출혈과 빈혈이며, 이는 Carman, Fineman(1924) 및 Hedbloom(1925)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습니다. 열공탈장에서 이러한 합병증의 발생률은 11~53.2%입니다. 열공탈장 스티아위출혈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한 시간도 안 돼저것.

급성 출혈은 피를 토함으로써 나타나며, 구토 덩어리는 "커피 찌꺼기", 검은색입니다. 거리

위출혈은 일반적으로 대형 혼합 탈장에서 관찰되며 식도곁 탈장 및 활주 탈장에서는 덜 자주 관찰됩니다(M.P. 그보즈데프, 1972). 위출혈의 원인 니아점막 저항의 비율을 위반하는 것입니다. 증가하다 위내압력, 정맥성 고혈압, 거친 음식으로 인한 기계적 외상 등 놀리는자치령 대표. 탈장낭의 정맥 고혈압 및 위염으로 인한 점막의 경미한 손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출혈을 유발합니다. 점막이 파열되면 급성 오류가 발생합니다. Zy궤양, 출혈이 엄청날 수 있습니다.

급성 백혈병 갑자기 나타나며 허약, 현기증, 고열, 오한, 피부 및 점막의 창백, 피부출혈, 잇몸출혈, 코출혈, 자궁출혈, 위장관점막출혈 등이 나타난다. 때때로 조밀하고 통증이 없는 림프절이 나타나고, 25-40%에서는 간과 비장이 커지고, 30%에서는 인두와 소화관 점막에 괴사성 변화가 나타납니다. 지속적인 증상은 빈혈입니다. 정상색소성, 농색성의그리고 덜 자주 저색소성성격. 백혈구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취하다 1ml에 100000-200000 , 그리고 언제 백혈구 감소증의형태, 회의현재의 40~50%에서는 백혈구 수가 크게 감소합니다. 가장 정확한 진단 징후는 백혈구의 형태학적 그림으로, 혈구 모세포, 골수모세포, 림프구그리고 망상 백혈병 x 셀. 때때로 말초혈액의 변화는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 바쁜중요하지 않으며 진단에 심각한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에는 매우 귀중한 진단이 됩니다. 의미획득하다 흉골펑크와 연구 골수조영술.

골수조영술 데이터를 토대로 우리는 다음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업데이트빈혈의 원인. 급성백혈병에서 빈혈 발생 시 감소가 중요 적혈구 생성과 관련하여 가장 날카로운 혈구모세포성화생, 성장 증가 용혈그리고 풍부한출혈(I.A. 카시르스키, G. A. Alekseev, 1970).

백혈병에서 과다출혈은 혈관의 갑작스런 출혈로 인해 발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sch이탈리아 V. 디. 형제(1971), 그러나 결과적으로도 궤양성-괴사성위장관 점막의 병변 바니암급성 궤양

만성 백혈병 급성보다 더 흔하며 모든 연령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만성병 환자 골수성 백혈병성인과 어린이에게서 관찰됩니다. 기대 수명은 1년에서 10년 이상입니다. 만성병 환자 림프구성 백혈병- 중장년층의 질병. 림프절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조밀하고 통증이 없습니다. 간과 비장이 확대되지만 만성 골수증과 같은 크기에 도달하지는 않습니다. 진단은 말초 혈액과 골수 검사를 통해 확정됩니다. 만성질환으로 인한 기대수명 림프구성 백혈병만성보다 더 골수성 백혈병.환자의 수명은 20~30년입니다. 심한 빈혈, 출혈성 체질이있는 질병의 형태 ( 혈소판감소증)일반적인 영양 장애 장애는 더 악성입니다(I.A. 카시르스키, G. A. Alekseev, 1970).

외과 의사는 일반적으로 급성 질환을 다루어야 합니다. 먹었다복부 근육 응급으로 인한 소장 출혈이 있는 경우 위 섬유경 검사,위점막의 출혈과 미란성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긴급 투시법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유용할 수 있습니다. 미분총체적인 것을 제외할 수 있으므로 진단 모르포소화 기관의 논리적 변화.

혈우병.혈액 응고 장애 및 출혈 증가로 나타나는 유전병입니다. 혈우병은 남성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이 질병은 다음으로부터 전염될 수 있습니다. 혈우병 아버지혈우병의 "지휘자"인 여성 자신은 출혈 증상이 거의 없지만 손자의 건강한 딸입니다. 혈우병의 주요 원인은 혈장 생산 부족입니다. 트롬보플라스틴,부상 및 출혈시 신속한 혈액 응고에 필요합니다. 부족함이 있는 경우 혈전플라스티노겐플라즈마 또는 항혈우병제글로불린

(VIII 요인) 혈우병 A가 관찰되며 이는 전체 환자의 85-90명을 차지합니다. 혈장 성분이 부족한 경우 트롬보플라스틴(인자 IX), 이후 혈우병 B가 발생하여 전체 질병 사례의 10-15%를 차지합니다.

혈우병의 출혈은 대개 유아기에 발견됩니다. 출혈은 위장 출혈, 피하, 근육 내 및 관절 내 출혈이 나타날 때 기계적 외상 및 스트레스에도 발생합니다.

혈우병으로 인한 급성 위장 출혈은 드물며 빈도는 약 1:50,000입니다.

장출혈 발생 3일째 흑변을 주소로 내원한 혈우병 A환자 1명을 관찰하였다. 환자는 즉시 혈우병을 앓고 있으며 진료소에서 모니터링을 받고 있다고 신고했습니다. 장 출혈이 처음으로 나타났습니다. 검사 도중 끈이 발견되었습니다 전자 Konchalovsky. 이 증후군은 내인성 B12 비타민 결핍의 징후로 간주되어 장애를 초래합니다.유사분열조혈 세포의 과정 - 적혈구골수. 조혈 과정은 혈액 파괴 과정을 보상하지 않아 빈혈이 발생합니다(I.A. 카시르스키, G. A. Alekseev, 1970).

빈혈로 인해 발생합니다. 저산소증의소화 기관의 기관을 포함한 신체 상태. 저산소증은 다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위축된위 점막은 매운 음식, 약물 및 기타 자극 요인의 영향으로 매우 불안정해집니다. 반복되는 악화 및 적혈구 파괴 증가 기간 동안 위 점막의 침식 형성 및 급성 위장 출혈로 나타나는 출혈성 체질의 발생이 가능합니다.

환자는 쇠약, 현기증, 이명, 식욕 부진, 설사, 윤염, 레몬색 색조의 창백한 피부, 얼굴 부기 및 하지 부종을 경험합니다. ~에 위섬유경검사 e 또는~에 검시. 분명히 죽상경화증과 고혈압에서 관찰되는 위의 작은 혈관의 경련과 혈전증은 위 점막의 저산소증을 유발하고 위액, 음식 및 의약 물질의 영향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킵니다. 활동 산성 소화제요인은 급성 궤양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 이유는 급성 궤양이 위에 국한되는 경우가 가장 많기 때문입니다.

죽상경화증과 고혈압으로 인한 급성 위장관 출혈 환자는 74명(4.17%)이었다. 그 중 51명은 출혈로 인한 급성 궤양을 앓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출혈은 종종 대규모입니다. 고혈압은 작은 혈관에서도 과도한 출혈을 촉진하여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우리 환자의 절반 이상(74명 중 38명)이 심각한 출혈을 동반한 출혈을 경험했습니다.

이 연령대의 소화성 궤양 질환의 경과는 26.9%에서 발생합니다(A. I. Gorbashko, 1967). 따라서 환자의 병력과 호소가 출혈의 원인을 진단하는 데 항상 도움이 될 수는 없습니다. 이런 점에서 형광투시법이 중요해지고 위섬유경검사.첫 번째 연구 방법으로 중요한 유기적 변화를 배제하거나 식별할 수 있다면 위섬유경 검사를 통해 점막의 구조적 변화, 침식 및 편평 급성 궤양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소화관의 게실.식도, 위, 십이지장, 공장, 회장 및 결장의 게실은 출혈로 인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출혈의 원인은 게실 벽의 동맥 또는 정맥 혈관의 염증, 궤양 및 부식입니다. S에 따르면 이러한 출혈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 보바(1967) 및 V.D. Bratus(1972)는 드물게 발견되며 저자는 고립된 관찰만을 제공합니다. 그의 논문 A.G. Zemlya oi(1970)에서는 급성 출혈로 인해 복잡한 다양한 위치의 게실이 다수 설명되어 있습니다.

식도 게실의 임상상은 현상에 따라 다릅니다. 게실염그리고 혈액 손실의 정도. 환자들은 흉골 뒤나 흉골 부위에 통증을 호소합니다. 상복부부위, 구토, 피, 약점 및 현기증. 급성 출혈로 인해 복잡한 위 게실의 임상상은 궤양 병인의 출혈과 가장 유사합니다. 수술 중에도 위게실을 발견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A.G. Zemlyanoy(1970)는 수술 중 공기로 위를 팽창시키고 부정적인 결과를 받은 후에만 위 절개술을 시행하고 위 점막을 검사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증후군 말로리 -와이즈. 심식도대 점막 파열은 1929년 Mallory와 Weiss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습니다. 현재 이러한 출혈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출혈의 원인은 대개 반복적인 구토로 인해 출혈량이 증가합니다. 위내점막의 압력과 파열.

우리의 감독 하에 심각한 출혈과 심각한 출혈을 동반한 급성 위출혈로 병원에 이송된 환자 3명이 있었는데, 이 환자에게서 점막이 파열되었습니다. 심장병 환자복부 부분. 이들은 정기적으로 보드카를 마시는 젊고 강한 남성이었습니다. 이 질병은 심한 중독 후 다음날 발생했으며 반복되는 고통스러운 구토로 시작되었습니다. 첫 번째 충동은 위 내용물이나 섭취한 액체의 방출을 동반했습니다. 2~5회 충동 후 변하지 않은 혈액과 혈전이 대량으로 배출되었습니다. 이러한 출혈의 시작은 다음의 경우에 전형적입니다. 증후군말로리-바이스. 그러나 Mallory-Weiss 증후군은 반복적인 구토를 동반하는 다른 질병과 결합될 수 있으므로 알코올 중독자에게는 특권이 아닙니다. 열공탈장의 경우 (M.P. Gvozdev, Gorbashko, 이자형. N. 레브코베츠, 1971), 근육층의 두께까지 침투합니다.

호흡기관 및 폐 출혈, 급성 위장관 출혈 시뮬레이션

호흡기 및 폐 질환의 급성 출혈은 위장 출혈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며 임상 과정이 항상 전형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진단에 심각한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기침할 때 피가 나오고 주홍색 거품이 있고 폐질환의 병력이 있는 경우 진단을 내리는 데 어려움이 없으며 타진 및 청진 중 특징적인 징후의 식별과 엑스레이 사진을 통해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폐출혈의 원인을 확인합니다: 폐결핵, 만성 농양, 낭종, 폐암 및 기관지 확장증.

폐출혈의 치료법 선택은 매우 어렵습니다. 지금까지 폐 출혈은 보존적 치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망률은 21.6(Yu. D. Yatsozhinsky, et al., 1969)에서 26.5%(I. V. Agofonov, 1965; P. N. Fuchs)입니다. et al., 1965 등). 폐출혈은 규모가 크고 재발하기 쉽기 때문에 보존적 치료는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많은 외과 의사 (Yu. A. Kogosov, 1960; M. Z. Sorkin, 1965; V. A. Popiashvili, 1972 등)는 긴급하고 계획된 방식으로 폐 절제술을 사용합니다. 전문 기관에서 긴급하게 수행되는 출혈에 대한 폐 절제술의 사망률은 7.52%입니다(V. A. Popiashvili, 1972).

따라서 급성 폐출혈에 대한 외과의의 전략은 개별적으로 결정되어야 합니다. 심한 혈액 손실, 특히 재발성 출혈을 동반한 과다 출혈은 응급 수술-폐 절제술의 징후입니다.

서지.

1. M.G.의 이득 “인체 해부학”, M. “의학”, 1985

2. Gorbashko A.I. “급성 위장 출혈”, M. “의학”, 1987

3. “수술”, 1976년, 6호.

4. “타지키스탄의 의료”, 1988, No. 3.

5. "카자흐스탄의 의료", 1978, No. 9yu

6. “수술”, 1974년, 4호.

7. “임상외과”, 1983년, No. 4.

소화성 궤양 질환은 위 내벽에 궤양이 형성되고 이어서 흉터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이 질병은 반복되기 쉽습니다.

원인과 발전

위궤양이 발생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 전적으로 결정된 요인과 외부 요인으로 구분됩니다.

유전적 소인 요인:

  • 염산 생산 증가;
  • 위장 보호 장치의 선천적 결핍;
  • 적은 양의 항트립신;
  • 첫 번째 혈액형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AB 응집소가 선천적으로 결여되어 있습니다.
외부 요인:
  • 정신-정서적 과부하;
  • 불균형한 식단과 영양성분;
  • 캄필로박터 및 칸디다균에 의한 위장 감염;
  • 점막을 손상시킬 수 있는 약물 및 기타 물질.
소화성 궤양 질환의 임상 양상은 매우 다양하며 궤양의 위치에 따라 결정됩니다.
  1. 이 질병의 통증 증후군은 항상 존재하며 통증은 둔하고 아프다. 위 심장 부분의 궤양은 식사 직후에 발생하며 상복부 중앙에 국한됩니다. 신체 부위와 위저부에 궤양이 있으면 통증은 대개 밤에 공복에 나타나며 왼쪽 hypochondrium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유문궤양의 경우 통증은 종종 오른쪽 hypochondrium으로 방사되며 일반적으로 식사 후 2~3시간 후에 발생합니다.
  2. 속쓰림과 트림은 환자를 매우 자주 그리고 오랫동안 괴롭힙니다.
  3. 구토는 주로 유문궤양에서 발생합니다.
  4. 메스꺼움, 고창, 변비도 이 질병에서 흔합니다.

과정에 따라 소화성 궤양에는 세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1. 경미한 형태는 얕은 궤양 결함과 드문 재발이 특징이며, 1년에 한 번 이하입니다.
  2. 중등도의 형태로 악화가 1년에 두 번까지 발생하면 궤양성 결함이 깊고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3. 중증 형태는 잦은 악화, 치료가 어려운 깊고 광범위한 궤양 및 합병증이 추가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위궤양의 진단에는 일반적인 검사 및 일상적인 검사 외에도 반드시 섬유 위 십이지장 내시경 검사, 즉 섬유 위 내시경을 통한 점막 검사가 포함됩니다. 이 절차는 상당히 견딜 수 있으며 결함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제공합니다.

치료

위궤양 치료법은 모든 개별 요인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보수적 치료

이 치료 방법은 경증 및 중등도의 질병 환자, 노인 및 쇠약 환자, 소화성 궤양의 외과 적 치료가 권장되지만 중요한 이유로 불가능한 경우에 표시됩니다.
  1. 우선 염산(Omeprazole, Lanzoprazole)과 히스타민 수용체 차단제(Ranitidine, Famotidine)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이 있습니다.
  2.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박테리아를 식별할 때는 메트로니다졸, 항생제(Clarithromycin, Amoxicillin 및 Tetracycline) 및 비스무트 제제(Denol, Pilorid)가 사용됩니다. 항생제를 이용한 위궤양 치료 과정은 최소 일주일 동안 지속됩니다.
  3. 깊은 궤양과 빈번한 재발에는 점막 회복을 개선하는 약물인 프로스타글란딘과 수크랄페이트가 권장됩니다.
  4. 포위제(Almagel 등)는 질병의 모든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약물은 흡수를 방해하므로 다른 약물과 병용할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5. 다이어트 요법은 질병의 모든 기간에 확실히 표시됩니다. 위궤양에 대한 적절한 영양 섭취는 회복 속도를 크게 높입니다.

외과 적 치료

보존적 치료에 따른 결과가 없고 합병증이 나타나는 경우 위궤양에 대한 수술적 치료가 권장됩니다. 이 질병에 대한 외과적 개입은 응급 상황에서 계획대로 수행됩니다.
응급 수술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다량의 출혈, 궤양 천공, 침투 및 복막염 추가)에서 수행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위 절제술이 수행됩니다-궤양이 위치한 부분을 제거하고 후속 봉합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외과의 사는 위 절제술 외에도 위로 이어지는 자율 시스템의 신경 줄기의 교차점 인 미주 신경 절제술을 수행하는 것도 가치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이 방법을 적용한 후에는 재발률이 크게 감소합니다. 하지만 환자들은 응급수술이 신체에 대한 매우 어려운 시험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위궤양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는 계획대로만 달성됩니다.

경험이 풍부한 외과 의사는 수술 치료가 권장되는 적응증 목록을 개발했습니다. 다음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기적이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도 3개월 이상 치유되지 않는 궤양
  • 빈번한 악화와 짧은 기간의 웰빙;
  • 예를 들어 연간 여러 번의 출혈 또는 유문 협착증의 형성과 같은 반복되는 합병증;
  • 소화성 궤양이 암성 궤양으로 변성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의심스러운 징후;
  • 너무 크고 깊은 궤양, 다발성 궤양.
위궤양의 계획된 수술 치료는 질병의 경과뿐만 아니라 수반되는 질병도 고려하여 선택됩니다. 이 주요 복부 수술은 항상 전신 마취하에 시행됩니다. 수술 후 셋째 날부터 제로 다이어트가 허용되고 1~2주 후에는 다이어트 1번 규칙에 따라 영양 섭취가 허용됩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세계 최고의 클리닉에서는 그다지 충격적이지 않지만 좋은 결과를 제공하는 레이저 치료 방법을 마스터했습니다. 물론, 위궤양 치료 방법의 선택은 언제나 환자의 몫이지만, 계획된 수술적 개입은 응급 수술보다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확률이 훨씬 더 높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위와 십이지장의 소화성 궤양은 내부 장기의 가장 흔한 질병으로, 세계 통계에 따르면 성인 인구의 약 10%에서 흔합니다. 우크라이나 의료 통계 센터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소화성 궤양 질환(PU) 발병률은 지난 10년 동안 38.4% 증가했습니다.

최근에는 소화성 궤양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상당한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수많은 연구를 통해 이 질환의 병인 구조와 발병적 특징에 대한 이해가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우크라이나와 가까운 해외 국가에서 소화성 궤양 질환의 유병률은 여전히 ​​감소 추세가 아니며 발생하는 합병증은 종종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고 수술 교정이 필요합니다.

궤양의 가장 흔한 원인은 현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으로 간주됩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P)는 위 점막에 염증 반응과 손상을 유발합니다. 또한 가스트린 시스템을 조절하는 세포 간 관계 시스템을 방해합니다. 왜냐하면 암모늄 이온의 "알칼리성 구름"이 주변에 형성되면 일반적으로 산성 환경에서 G 세포에 의한 가스트린 분비 억제가 제거되기 때문입니다.

동시에, 위십이지장 구역의 점막에 대한 공격적 요인의 영향과 보호 요인의 기능 감소는 소화성 궤양 질환 발병의 주요 병리생리학적 결정 요인입니다. 따라서 항궤양 치료에는 항분비제와 HP를 근절하기 위한 약물이 모두 포함되어야 합니다. 표준 제균 요법은 양성자 펌프 억제제(H+/K+-ATPase), 두 가지 항균제 및 비스무스 서브시트레이트를 조합한 것입니다.

현대 보수 치료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종종 재발하거나 합병증을 동반하는 심각한 소화성 궤양 질환의 진행에도 불구하고 질병의 그림으로 인해 때때로 치료 전략 선택에 관해 명확한 결정을 내릴 수 없습니다. 그러한 환자의 경우 때로는 외과 적 개입 만이 병리학 적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화성 궤양 질환이 생명을 위협하는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만성 질환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환자의 치료는 치료적 방법과 수술적 방법이 모두 가능합니다. 환자 치료를 위한 알고리즘과 표준에 대한 치료 전문가와 외과 전문가의 공동 결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불행하게도, 다수의 선도적인 치료사들은 소화성 궤양 질환의 수술적 치료에 대해 매우 공격적입니다. 우리는 공통된 원인을 수행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환자를 생각하고 종종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거나 수술 개입의 기능적 비효율을 초래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예방해야 합니다.

또한, 궤양 환자에 대한 치료 전술의 선택은 특정 사회 경제적 상황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일부 환자에 대한 적절한 약물 치료는 매우 비싸고 수술 치료 비용을 훨씬 초과합니다. 항궤양제의 작용에 불응하는 환자 그룹도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궤양 환자 중 수술적 치료를 받는 환자의 비율이 높다.

동시에, 복잡한 형태의 질병은 더 많은 과학적 연구와 실용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복잡한 문제입니다. 왜냐하면 많은 환자의 약물 치료가 궤양 합병증의 빈도를 감소시키지 않고 나중에 나타나는 것을 연기하기 때문입니다. 위십이지장궤양 환자의 30~50%는 항분비제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있으며, 이들은 소화성궤양 합병증을 경험하는 주요 환자군이다. 이러한 경우 수술적 치료만이 질병의 경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보험의학에 관한 법률을 채택할 때 이 문제를 어떻게 고려할 수 있습니까?

우리는 첫째, 위장병 전문의, 치료사 및 외과 의사가 ICD-10을 기반으로 소화성 궤양 질환에 대한 통합된 임상 및 통계 분류를 만드는 것이 유용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의 중증도를 고려하여 임상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궤양 과정의 활동 및 합병증의 존재. 임상 진단을 위한 통일된 접근 방식, 개별 분류 기준을 특징짓는 기준에 대한 공통된 이해는 의료 자원의 분포를 통일하고 표준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둘째, 통합 분류 접근 방식이 있으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 기관의 수준과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환자를 외래 및 입원 치료로 분배하는 조건 목록을 만드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이 접근 방식은 치료 방법 선택 문제를 해결하고 특정 환자에 대한 진단 절차 및 의료 서비스의 목록과 범위를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소화성 궤양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치료 문제입니다. 하지만 서양의 표준을 의료에 완전히 이전할 수 있을까요? 분명히 그렇지 않습니다. 이는 약물 치료 우선 순위가 형성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여기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지난 10년 동안 계획된 수술 횟수가 2~2.5배 감소하는 꾸준한 추세가 있었고 전문 외과 부서에서는 이러한 역학이 6~12배로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동시에 대부분의 저자들에 따르면(A. A. Grinberg, 1997; V. F. Saenko, 2002; P. E. Donahue et al., 1996; J. Herman et al., 1998) 천공 및 출혈성 궤양에 대한 응급 수술 중재의 수는 사망률은 5.6~20.4%에 이릅니다(N. H. Chou et al., 2000; A. Garripoli et al., 2000; T. Sillakivi et al., 2001). 우리 데이터에 따르면 위와 십이지장 천공 궤양의 수는 매년 5-8%씩 증가하며, 지난 10년 동안 그 수는 3.7배 증가했습니다.

출혈과 같은 심각한 궤양 합병증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수는 사실상 변하지 않았습니다(인구 10,000명당 0.6명). 이는 궤양에 대한 국소 최소 침습 지혈의 효과적인 방법의 개발 및 구현으로 인한 것입니다. 이 합병증으로 인해 입원이 필요한 환자의 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의 중요성은 또한 이 환자 그룹의 사망률이 소화성 궤양 질환의 일상적인 치료보다 10-12배 더 높다는 사실에 기인합니다.

소화성 궤양 치료의 수술 방법

일상 진료에서 우리는 수술 치료에 대한 절대적 적응증과 상대적 적응증을 구별합니다. 절대적 적응증은 시급합니다: 궤양 천공, 보수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과다 출혈, 지연: 위출구의 보상되지 않은 협착, 불안정한 지혈 또는 재발성 출혈. 상대적 적응증은 보존적 치료에 불응성이거나 합병증의 병력이 있는 재발성(복합 치료 중 연 2회 이상) 궤양뿐 아니라 심장의 궤양, 더 큰 곡률 및 위 유문 부분의 궤양이며 치료가 불가능합니다. 8주 이내에 보존적 치료를 해야 한다.

5,000회 이상의 수술을 바탕으로 계획된 소화성 궤양의 수술적 치료 경험을 통해 우리는 소화성 궤양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특정 접근법을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소화성 궤양 질환에 대한 계획된 수술 치료의 주요 목적은 수술 후 위십이지장 부위의 공격성 요인을 제거하는 동시에 사망률을 줄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드는 것입니다. 십이지장 궤양의 경우 이는 산 생성 영역에 영향을 미치며 수술의 효과는 위 분비 억제 수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위궤양의 경우 - 궤양성 침윤 부위에 영향을 미쳐 영양 장애를 정상화하고 위 점막의 조직 구조 변화를 안정화하기 위한 조건을 생성합니다.

천공된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에 대한 긴급 수술의 주요 목표는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수술 방법의 선택과 그 급진성은 주로 환자의 연령, 수반되는 병리 및 수술 위험 정도와 같은 특정 임상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십이지장 궤양에 대한 외과적 개입의 구조에서 산 형성을 조절하는 신경 메커니즘이 지배적일 때 가장 정당화되는 것은 십이지장 성형술에 대한 다양한 옵션이 있는 선택적 근위 미주신경절개술 또는 선택적 근위 미주신경절단술입니다. 소마토스타틴 생산 세포 수의 동시 감소와 함께 위 전정부의 가스트린 생산 세포의 증식으로 표현되는 조절 메커니즘의 체액성 부분의 유병률이 환자의 10%에서 나타났습니다. 이 경우, 위의 산 형성을 조절하는 두 가지 메커니즘, 즉 신경 및 체액에 즉시 영향을 미치는 수술로 anthrumectomy를 사용한 횡격막 하 몸통 미주 신경 절제술이 표시됩니다. 위궤양의 주요 수술은 부피를 줄이고 유문과 십이지장 통과를 보존하려는 경향이 있는 절제술입니다.

수술을 위해 환자를 준비하는 필수 단계는 위 및 십이지장 점막에 대한 산 소화 인자의 자극 효과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오염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항궤양 치료 과정입니다.

수술 전 위전정부 점막의 헬리코박터 집락화는 위궤양의 78%, 십이지장궤양의 94%에서 발견되었습니다. E.M. Perkin et al. (1995)에 따르면 수술 후 세균 오염은 초기 수준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위의 유문과 천개에서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수술 후 해결되지 않은 세균 침입은 미란성 전정부 위염 및 십이지장염의 발병에 기여하고 외피 상피의 생리적 저항을 감소시키며 회복 과정을 방해합니다.

위궤양 수술은 환자의 상태와 이 수술에 대한 적응증에 따라 응급 또는 계획에 따라 시행될 수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심한 출혈, 괄약근 근육 협착, 궤양 침투 등의 경우 긴급한 수술이 필요합니다.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고 긍정적인 결과가 없는 경우 계획된 수술을 시행합니다.

수술 적응증

현대 의사들은 대부분의 경우 특수 약물을 정기적으로 사용하고 엄격한식이 요법을 준수하면 환자의 상태를 개선하고 염증 파괴 과정을 중단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의학적 치료 방법을 선호합니다. 모든 수술에는 항상 합병증의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환자에게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소화성 궤양의 외과 적 치료는 절대 또는 상대 적응증이있는 경우 수행됩니다.

절대 판독값

원칙적으로 구급차 팀과 함께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즉시 수술을 받습니다. 이 경우 수술 개입의 절대적인 징후는 환자의 심각한 상태이며 사망 위험이 높으며 가장 흔히 다음과 같습니다.

  • 내용물이 복강으로 유출되어 위벽이 파열됩니다.
  • 위장관의 배출 기능이 손상된 위 유문의 협착증;
  • 약물로 멈출 수 없는 대량 출혈;
  • 종양학 발전에 대한 정당한 의심.

궤양의 위치와 임상상 특성에 따라 의사는 복강경 수술 또는 개복 수술 방법을 정확하게 결정합니다.

상대 판독값

의료계에서는 환자들이 오랫동안 보존적 방법으로 궤양을 치료하려고 노력했으나 적시에 외과적 개입을 했다면 피할 수 있었던 다양한 합병증으로 결국 사망하는 사례가 종종 있었다. 환자가 안정적이고 중등도의 상태이고 의사의 모든 조작에도 불구하고 회복 경향이 없는 경우 일반적으로 계획된 수술을 수행하는 문제가 제기됩니다. 이 경우의 주요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약물로 멈출 수 없는 정기적인 위출혈;
  • 약물 치료의 비효율성;
  • 환자의 안녕이 악화되면서 파괴적인 과정이 진행됩니다.
  • 위 조직의 병리학 적 변화, 기관의 주요 기능 중단;
  • 직경이 3cm를 초과하는 하나 이상의 궤양의 존재;
  • 이전 위 수술 후 질병의 재발.

수술을 결정하기 전에 의사는 환자에 대한 종합적인 검사를 실시하고 다른 신체 시스템의 상태를 평가합니다. 환자에게 심각한 심혈관 질환, 폐부전 또는 혈소판 감소증이 있는 경우 이는 수술 개입에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

수술의 종류와 방법

궤양을 제거하는 수술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는데,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되는 기술과 전체 수술에 소요되는 시간입니다. 궤양성 병변의 성격과 위치, 기타 여러 요인에 따라 의사는 가장 적절한 수술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위궤양을 제거하는 주요 방법의 예입니다.

절제술


이 절차는 진단 과정에서 환자가 위암, 조직 괴사 또는 상피 세포의 기타 심각한 퇴행성 변화로 진단되는 경우 가장 자주 사용됩니다. 수술 시 위의 1/3~3/4까지 절제할 수 있으며, 특히 심한 경우에는 위전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이 방법의 주요 장점은 종양학의 발달을 예방하고 질병의 재발 위험이 없으며 장기 기능을 방해하는 거친 유착이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많은 단점도 있습니다.

  1. 재활 기간(완전한 회복을 위해 1년이 걸릴 수 있음).
  2. 절제술은 가장 충격적인 수술 유형으로 간주됩니다.
  3. 환자는 평생 동안 엄격한 식단을 따라야 하며 육체 노동을 거부해야 합니다.
  4. 위의 많은 부분을 제거하면 기본적인 소화 기능이 손상되어 장폐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십이지장의 내용물이 위로 다시 들어가는 알칼리성 역류성 위염과 같은 병리학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것은 점막을 파괴하고 다른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위 절제술은 보편적인 수술로, 이 방법은 잘 연구되어 의료 현장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시술 시간은 약 3시간 정도 소요되며, 이후 환자는 일주일 동안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합니다. 10일째 되는 날, 합병증이 없다면 환자는 처음으로 독립적으로 앉고 걸을 수 있습니다.

봉합

이 방법은 외상이 가장 적은 것으로 간주되며 심각한 합병증을 거의 동반하지 않습니다. 수술의 적응증은 대부분 천공성 궤양으로, 리미터를 설치하고 장액근 봉합사로 구멍을 봉합하여 장기의 생리적 모양을 보존함으로써 제거됩니다.

시술 중에 궤양을 통해 흘러 나오는 액체는 흡인기와 같은 특수 장치를 사용하여 흡입되고 기관강은 거즈 냅킨으로 건조됩니다. 수술이 완료된 후 환자는 상처를 세척하고 소독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액 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며칠 후에 제거됩니다.


이 궤양 수술 치료 방법은 심각한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사망 위험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실제로 이 방법의 높은 효율성이 입증되었지만 미주신경절단술은 소화성 궤양 질환 발병의 첫 번째 단계에서만 수행됩니다. 작업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질병 재발 감소;
  • 위장의 완전성 유지;
  • 부상이나 합병증은 없습니다.

치료는 다음과 같이 수행됩니다. 외과 의사는 가스트린 호르몬 생성을 담당하는 신경 말단을 해부합니다. 이 절차를 사용하면 기관의 전정부 부분에서만 위의 분비 기능을 보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반적인 산도가 감소하고 점액층의 빠른 회복이 시작됩니다.

내시경 방법

궤양을 치료하는 이 방법은 작은 구멍을 통해 위강에 삽입된 내시경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후미주신경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필요한 경우 조명과 광학 장치가 있는 특수 소형 장치를 사용하여 궤양 가장자리를 절제하는 수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 치료 방법은 가장 현대적인 방법 중 하나이며, 주요 장점은 시행 속도와 부상 및 합병증이 없다는 것입니다.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강내 수술에는 인체가 손상된 조직을 복원하고 지혈을 확립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조건에 적응해야 하는 수술 후 및 재활 기간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가 항상 수반됩니다. 합병증의 성격은 환자의 개인적 특성과 외과의사의 기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외과 개입의 결과는 항상 존재합니다.

초기 합병증

의사의 임무는 종종 수술 직후에 발생하는 심각한 상태로 인한 사망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환자가 견디기 가장 어려운 가장 위험한 기간 중 하나이며 수술의 초기 합병증 위험과 관련이 있습니다.

  • 상처 진정;
  • 대량 출혈;
  • 마비 성 장폐색;
  • 적용된 봉합사의 발산;
  • 폐혈전색전증;
  • 복막염.

현재 최신 장비와 개선된 병원 환경을 통해 의사는 환자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특수 장치 화면에 표시됩니다. 이는 안전을 보장하고 광범위한 혈액 손실이나 심장 마비로 인한 환자의 갑작스러운 사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후기 합병증

후기 합병증의 성격은 재활 기간이 어떻게 완료되었는지, 환자가 의사의 모든 지시를 따랐는지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모든 권장 사항을 엄격하게 준수하고식이 요법을 준수하면 수술 결과의 위험이 최소화되지만 완전한 결석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후기 합병증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철 결핍 성 빈혈;
  • 궤양의 재형성;
  • 이차성 췌장염;
  • 덤핑 증후군 및 구심성 루프 증후군;
  • 수술후 탈장;
  • 장 소화불량;
  • 유착 형성;
  • 비타민 B12 부족.

적시에 전문가에게 연락하면 일부 후기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미 존재하는 경우 의사는 병리학 적 과정을 중지하기 위해 약물 요법을 처방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전에 궤양을 제거하기 위해 복잡한 수술을 받은 모든 환자는 적어도 1년에 한 번 종합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수술 후 기간

궤양 제거, 절제 또는 봉합 수술을 받은 후 환자는 24시간 동안 음식을 거부해야 합니다. 이는 손상된 위 조직을 회복하고 출혈을 멈추는 데 유리한 조건을 만드는 데 필요합니다.

  • 둘째 날에는 뜨겁지 않은 끓인 물이나 약한 차 반 잔을 마실 수 있습니다.
  • 셋째 날에는 끈적끈적한 죽, 야채 또는 과일 퓌레, 고기 및 닭고기 국물이 환자의 식단에 추가됩니다. 소비되는 액체의 양은 식사 당 1-1.5 잔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 일주일 후에 환자는 이미 으깬 고기와 생선을 먹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점차적으로 테이블이 확장됩니다.

  • 비산성 유제품(두부 수플레);
  • 반숙 계란;
  • 오믈렛;
  • 무가당 음료(예: 베리 젤리, 말린 과일 설탕에 절인 과일 또는 로즈힙 달임).


의사는 가벼운 운동(물리 치료)과 느린 걷기를 포함한 적극적인 재활을 환영하지만 봉합사 열개를 방지하기 위해 모든 조작은 의사와 조정해야 합니다. 수술을 받는 사람은 의료진의 지시를 모두 따라야 합니다. 안전 수칙과 식이요법을 따르지 않을 경우 복막염 발생 및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술의 복잡성과 유형,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에 따라 주치의가 퇴원 날짜를 결정하며, 유리한 조건에서는 2주 이내에 퇴원할 수 있습니다.

예측

환자의 삶의 예후는 주로 다음에 달려 있습니다.

  • 질병이 진단된 발달 단계;
  • 손상의 성격;
  • 혈액 손실 정도.

소화성궤양수술

위와 십이지장의 소화성 궤양은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입니다. WHO에 따르면, 이는 세계 인구의 5~10%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질병의 유병률은 국가마다 다릅니다. 이 경우 슬픈 이점은 미국, 영국, 독일 등 미국과 유럽의 선진국에 있습니다. 가장 낮은 발생률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기록됩니다. 이 사실은 아마도 유전적 요인과 인구의 식단 특성에 의해 설명될 것입니다. 개별 국가에 따르면 소화성 궤양 환자의 수는 1.5~5%에 이르며, Wudvort에 따르면 미국 거주자의 약 10%가 소화성 궤양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30만 건의 위절제술과 약 3만 건의 기타 소화성궤양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다양한 연구자들에 따르면 러시아에서는 연간 약 45,000건의 위 절제술과 천공성 궤양에 대한 봉합 수술이 25,000건 정도 시행되고 있습니다. 소화성 궤양에 대한 장기간의 외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첫 번째 수술은 100년 이상 전에 수행됨), 이 질병에 대한 다양한 중재의 성격과 효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습니다.

소화성 궤양 질환의 수술적 치료 문제는 XXV, XXIX, XXX All-Union Congresses of Surgeons, V111 All-Russian Congress 및 여러 회의에서 논의되었습니다.

궤양이 있으면 치료사는 무력하고, 외과 의사는 위험하며, 하나님은 자비로우시다는 옛 생각은 이제 과거의 일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이 질병의 외과적 치료의 주요 원리는 상세하게 개발되어 실생활에서 테스트되었습니다. 이것이 많은 외과의사, 특히 S.I. 스파소쿠코츠키, S.S. 유디나, A.G. 사비니크, V.S. 마야타, YM. 판치레바, V.S. Savelyeva, Drakstadt.

소화성 궤양 질환에 대해 수행되는 개입의 본질을 이해하려면 주로 병원성이어야 한다는 점, 즉 질병을 일으키는 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위벽의 궤양성 결함을 제거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는 십이지장. 위 분비의 주요 지점은 I.P. 실험실에서 연구되었습니다. 파블로바(Pavlova)는 3단계로 진행됩니다.

첫 번째 단계는 위의 분비 신경인 미주 신경 섬유의 자극에 달려 있습니다. 반사적 성격이라고도 합니다. 미주신경 분지의 자극은 위액을 생성하는 위샘의 분비를 유발합니다.

두 번째 단계는 위 전정부의 점막과 십이지장의 초기 부분에서 생성되는 가스트린 또는 애드킨스 프로세크레틴과 같은 호르몬의 혈액 내 진입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호르몬은 음식물이 해당 부위의 점막과 접촉할 때 생성됩니다. 이 단계를 호르몬이라고 합니다.

세 번째 단계는 유미즙과 접촉 시 소장의 점막에서 생성되는 호르몬 엔테로키나제가 혈액으로 들어가는 것에 달려 있습니다. 위 분비의 각 단계의 비중은 동일하지 않습니다. 건강한 사람은 하루에 약 1.5리터의 위액을 분비합니다. 이 경우 위 분비의 반사 단계는 약 80%, 호르몬은 약 15%, 장은 약 5%이며 질병이 있는 경우 일일 분비의 이러한 단계는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많은 저자들은 십이지장 궤양 환자에서 첫 번째 반사 단계가 유의하게 우세하고 위궤양 환자에서 두 번째 단계인 호르몬이 우세하다고 믿습니다. 세 번째 단계(장)의 비율은 너무 작아서 외과적 개입을 정당화할 때 실질적으로 고려할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저자에 따르면 모든 소화성 궤양 환자 중 10%만이 수술적 개입이 필요한 합병증이 발생합니다. 나머지는 보존적인 방법으로 치료해야 합니다. 국내 최대 외과 의사 중 한 명 Yu.Yu. Janelidze는 “위만큼 사람에게 많은 즐거움을 주고 자주 주는 기관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매우 엄격한 지시가 있는 경우에만 제거해야 합니다.”

수술에 대한 모든 적응증은 절대 적응증과 상대 적응증이라는 두 가지 큰 그룹으로 나뉩니다.

수술을 하지 않을 경우 절대적인 적응증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합니다. 이것:

1. 궤양의 천공;

2. 과도한 위장 출혈;

3. 반흔성 유문 협착증;

4. 궤양의 악성종양 또는 이에 대한 강한 의심.

궤양 천공은 소화성 궤양 질환의 심각한 합병증으로 즉각적인 수술이 필요합니다. 이 상황에서는 사망 지연이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위장관의 감염된 내용물이 복강으로 유입되면 진행성 치명적인 복막염이 발생하기 때문에 모든 유형의 천공은 환자의 생명에 위협이 됩니다.

과도한 위 출혈은 또한 환자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합니다. 급속히 증가하는 빈혈과 대사 장애는 환자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항상성 장애 발생을 제거하기 위해 즉각적인 수술 치료가 필요합니다.

위 출구나 십이지장 초기 부분의 반흔 변화로 인한 유문 협착 역시 환자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합니다. 이전 합병증에 비해 과정의 느린 발달은 때로는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 점진적이지만 꾸준한 위장관 폐쇄로 이어져 만성 탈수, 심각한 미네랄 대사 장애, 그 중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는 저염소혈증, 주스 손실 및 점진적인 체중 감소, 최대 탈진입니다. 클로로프라이빗 테타니 형태의 경련 증후군은 간질 발작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어 적시에 질병을 진단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현재 상황을 바로 잡기 위해 외과 적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이 모든 것이 환자의 사망으로 이어집니다. 이 합병증은 십이지장 궤양과 위출구 궤양에서 가장 일반적입니다.

만성위궤양의 악성종양 역시 수술의 절대적인 적응증이다. 궤양의 악성 변성이 강하게 의심되는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악성 과정의 진행으로 인해 환자의 생명에 대한 즉각적인 위협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수술이 지연되면 환자의 생명이 희생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악성 종양의 성장이 빠르고 원격 전이 형태의 전파가 환자를 근본적으로 도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악성종양은 만성 위궤양, 특히 장기적인 굳은 살이나 관통성 궤양의 진행 과정을 복잡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상적으로, 이 과정은 지속되는 통증의 성질 변화, 지속적인 미세 출혈(그레거슨 반응에 의해 결정됨)의 출현, 식욕의 변태 및 저색소성 빈혈의 증가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특별한 연구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악성 변성에 유리한 강력한 임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특수 연구 방법의 부정적인 결과라도 즉각적인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에는 절대적인 적응증 외에 상대적인 적응증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개입이 지연된다고 해서 항상 환자의 사망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이는 과정을 상당히 복잡하게 만들고 종종 환자의 상황을 악화시키는 추가적인 합병증의 발생으로 이어집니다. 상대적인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굳은살이 있는 궤양

2. 관통성 궤양;

3. 특히 병원에서 반복되는 위장 출혈;

4.2~3년간 보존적 치료에 실패.

굳은살 궤양(보통 위)은 보존적으로 치료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장기간 존재하는 궤양성 결손의 조밀한 굳은살 가장자리가 약물 치료의 영향으로 궤양의 상피화와 장기간 존재하면서 발생하는 상피화생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궤양은 악성 변성에 기여합니다.

관통성 궤양은 궤양성 틈새가 간, 췌장, 간십이지장 인대 등 인근 장기로 침투할 때 궤양이 침투하는 기관의 지속적인 통증과 기능 장애의 형태로 환자에게 심각한 고통을 가져옵니다. 보수 치료의 영향으로 이러한 궤양을 치유하는 것은 매우 문제가 많으며 성공적인 외과 적 개입을 통해 현재의 어려운 상황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반복되는 출혈, 특히 병원에서 반복되는 출혈은 확실히 다음과 같은 이유로 외과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강력한 징후입니다. 첫째, 모든 재발성 출혈은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고, 다량의 출혈로 변해 환자의 생명을 직접적으로 위협할 수 있습니다. 둘째, 반복적인 출혈로 인해 출혈후 빈혈이 발생합니다. 그 상태에서 출혈 후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으로 인해 외과 적 개입이 훨씬 더 복잡해집니다. 반복 출혈에 대한 수술 전략을 강화하는 장점은 학생 S.S. 유디나 B.S. Rozanov 및 A.A. Rusanov는 모든 궤양 출혈이 발병 후 첫날에 수술 교정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우리 병원을 포함한 많은 외과의사들은 보존적 치료의 실패를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으로 간주합니다. 사실 불행하게도 보수 치료가 항상 (특히 십이지장 궤양의 경우) 환자의 치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다소 장기적인 완화와 질병의 재발로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이는 치료 과정 후에도 환자가 동일한 생활, 업무, 영양 등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특히 자주 관찰됩니다. 이러한 경우 완화 기간은 단기화되고 과정 악화는 자연스럽습니다. 다른 외과 의사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도 소화성 궤양 질환에 대한 경험이 수년, 심지어 수십 년에 걸쳐 계산되는 환자를 다루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사람들은 끊임없는 순교자이며 고통에 시달리고 식단을 제한해야하며 질병의 잦은 악화로 인해 일할 능력을 잃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시에 합리적인 수술요법을 통해 환자의 건강과 성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외과의사는 2~3년 동안 궤양의 보존적 치료가 실패하는 경우, 특히 이 기간 동안 환자가 병원에서 항궤양 치료 과정을 받은 경우 외과적 치료의 징후라고 믿습니다.

현재 소화성 궤양 질환에 대한 수술은 현대 마취하에 시행됩니다. 그러나 이 병리학에 대한 모든 개입은 국소 마취 및 척추 마취 하에서 수행될 수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마취의 장점은 통증 없는 수술을 시행할 뿐만 아니라 외과 의사의 행동을 크게 촉진하는 근육 이완을 달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대 마취 중에 신체의 중요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에도 있습니다. , 이는 중병 환자에게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외과 의사는 소화성 궤양의 두 가지 주요 형태, 즉 위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을 구별합니다. 이는 아마도 이러한 유형의 병리 형성의 성격과 원인 요인 때문일 것입니다. G.K에 따르면. Zherlova와 G.E. 위궤양에서 궤양 발생의 주요 순간 인 Sokolovich는 위 점막의 장벽 기능 위반 (점액의 보호 특성 및 상피의 재생 능력 감소, 혈류 및 신진 대사 장애), 운동 변화 및 유해물질(니코틴, 에틸알코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등)에 의한 위장의 배출 기능 및 점막 손상.

십이지장 궤양의 경우 궤양 발생은 주로 위액 분비 수준의 증가, 위액 중화 능력 감소, 헬리코박터에 대한 장 점막의 저항성 감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러한 궤양의 국소화로 인해 병리학적 과정의 발달에 주요 역할은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 특히 자주 반복되는 상황에 속합니다.

위궤양 환자의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3:1, 십이지장궤양 환자의 경우 4:1이다(S.S. Yudin, 1955, Yu.M. Pantsyrev, 1973).

제시된 자료는 다수의 외과의사가 궤양의 다양한 국소화에 대한 외과적 개입의 성격을 개별적으로 선택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기초가 되었습니다(M.I. Lytkin, 1998; Yu.M. Pantsyrev, 1973; A.F. Chernousov, 1996). 그러나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규정이 있으며 이에 대한 지식은 의사가 소화성 궤양 질환에 대한 가장 최적의 외과적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현재 궤양의 외과적 치료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수술 절차가 존재합니다.

1. 궤양을 봉합하는 단계;

2. 궤양을 꿰매는 것;

3. 위절제;

4.미주신경 수술:

4.1.몸통 미주신경절단술;

4.2.선택적 미주신경절개술(SV);

4.3.선택적 근위 미주신경절개술(SPV);

4.4.경제적인 위절제술과 결합된 선택적 근위부 미주신경절제술.

궤양을 봉합합니다.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의 천공에만 시행하는 수술.

첫 번째 개입은 1880년 10월 7일 Iochan Miculiz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러시아에서는 1899년 G.F. 자이들러.

일반적으로 천공된 궤양을 봉합하는 것은 상당히 간단한 수술입니다. 개복술 및 교정 후 천공 부위를 찾아 2겹의 단속 봉합사로 봉합합니다. 봉합선은 줄기의 장막으로 덮일 수 있습니다. 용변을 본 후 복강을 단단히 봉합하거나 미세세척기를 사용하여 봉합합니다. 큰 굳은살 궤양 천공의 경우 봉합사를 절단할 때 Opel-Polikarpov에 따라 궤양을 봉합해야 합니다. 대망막의 한 가닥을 바늘로 잡고 천공된 구멍 측면에서 위벽을 뚫습니다. . 이 조작은 스레드의 양쪽 끝에서 두 번 반복됩니다. 실을 묶을 때 플러그 형태의 대망이 천공 구멍을 막습니다. 또한 장막을 위벽에 고정하기 위해 여러 개의 단속 봉합사를 적용합니다(그림.). 최근에는 내시경술의 발달로 천공성 궤양에 대해 복강경시 천공된 구멍을 봉합하는 수술이 시행되기 시작하였다(사진).

궤양 봉합 수술 후 사망률은 낮으며 주로 수술 시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천공 후 몇 시간 안에 100분의 1%에 이르고, 천공 후 하루 안에 80% 이상에 이릅니다. D.F. 천공 후 6시간 이내에 스크립니첸코 수술을 하면 사망률은 1~2%이고, 24시간 이후에 수술을 하면 사망률이 30%에 이른다. V.S. 1972년 Savelyev의 RSFSR 사망률은 5.3%였습니다. V.D. 2000년 러시아의 Fedorov에 따르면 천공성 궤양 수술 후 사망률은 %였습니다.

궤양봉합수술의 장점. 수술적 개입은 기술적으로 매우 간단하며 거의 모든 조건(지역 병원, 현장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천공 후 처음 몇 시간 안에 적시에 수술을 하면 사망률이 거의 없고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수술의 단점은 궤양 형성으로 이어지는 요인을 제거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예상할 수 있듯이 궤양 봉합 후 재발률은 매우 높으며 다양한 저자에 따르면 최대 67%에 이릅니다. 따라서 궤양을 봉합하면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지만 소화성 궤양을 치료할 수는 없습니다. 문헌에는 천공을 봉합한 후 궤양의 천공이 반복(최대 5회)되는 사례가 있습니다.

궤양 봉합은 궤양 출혈로 인해 환자의 상태가 너무 심해서 다른 개입 및 출혈을 멈추는 다른 방법 (레이저 또는 비접촉 응고)을 견딜 수없는 경우 극단적 인 예외로 사용되는 드문 수술입니다. 위 내시경 검사 중)은 효과가 없습니다. 이 수술은 중증의 노인 환자에게 시행됩니다. 개복술 후 위절개술을 시행하고 바닥에 궤양과 출혈혈관이 발견되며, 혈관을 블록봉합사로 봉합한다. 그 후, 해부된 위벽과 복벽을 두 겹으로 봉합합니다.

현재 소화성궤양 질환의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수술은 위절제술이다. 암에 대한 최초의 위절제술은 1879년 4월 9일 프랑스 외과의사 Jules Pean에 의해 시행되었습니다. 환자는 수술 후 4일 만에 사망했다. 암에 대한 최초의 성공적인 위 절제술은 1981년 1월 29일 비엔나에서 테오도르 빌로스(Theodor Bilroth)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38세 환자가 수술 후 회복되었습니다. 수술 후 Billroth는 end-to-end 문합을 통해 위의 그루터기와 십이지장을 연결했습니다. 1885년 1월 15일 절제술 중에 그는 위의 그루터기를 십이지장과 연결하지 못하고 후자를 봉합하고 위를 공장 고리에 종단 문합으로 연결했습니다. Billroth I에 따르면 첫 번째 수술을 위 절제술이라고 불렀고(프랑스인은 Péan-Billroth에 따르면 절제술이라고 함) Billroth II에 따르면 두 번째 수술을 위 절제술이라고 했습니다. 각 수술에는 최대 30개의 수정 사항이 있지만 수술 원리(위 그루터기와 장 연결)는 Billroth가 수행한 것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첫 번째 개입은 작은 곡률 쪽의 위 그루터기를 봉합한다는 차이점이 있는 거의 Billroth 방법에 따라 수행됩니다. 두 번째 수정은 Hofmeister-Finsterer 또는 Gakker-Savinykh 수정에 따라 가장 자주 수행됩니다. 이때 작은 곡률의 위 그루터기 부분이 봉합되고 그 그루터기가 초기 부분과 종단 간 문합으로 연결됩니다. 공장의.

소화성 궤양 질환의 경우 1881년 11월 21일 비엔나에서 Riediger에 의해 최초로 성공적인 위 절제술이 시행되었으며, 러시아에서도 1881년 Kitaevsky에 의해 소화성 궤양 질환에 대한 동일한 수술이 시행되었습니다.

소화성 궤양 질환에 대해 위 절제술을 수행해야 하는 주요 원칙은 S.S. 50년 전 유딘이 오늘날까지 유효하다. 이러한 요구 사항은 S.S. 유딘은 수술 결과 환자의 궤양을 제거하고 위액분비를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는 조건을 제시했다. 이러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술 중 위산이 생성되는 부위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위의 거의 2/3입니다. 위의 산도가 매우 높습니다.

2. 가스트린(Adkins prosecretin)을 생성하는 부위를 제거해야 합니다. 즉, 위의 전정부 및 유문부 부분과 십이지장의 초기 부분(최대 2cm)을 제거해야 합니다.

3. 절제선을 따라 미주 신경 섬유 (거의 식도에서)를 교차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 분비의 첫 번째(반사) 및 두 번째(호르몬) 단계에 근본적인 효과가 있으며, 위액을 생성하는 영역이 감소하고 위의 나머지 부분에서 궤양 형성에 기여하는 조건이 감소합니다. 제거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는 소화성궤양 질환에 대한 위절제수술을 이러한 조건에 따라 시행하고 있습니다. 저희 병원에서는 위궤양의 경우 보다 생리적인 위절제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기술적으로 가능한 경우 십이지장궤양의 경우 Billroth I법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수술 중 소만곡측 위 그루터기의 일부를 봉합하고, 기관의 내강과 그루터기의 나머지 부분에 담그십시오. 십이지장 그루터기와의 종단 간 문합은 일반 규칙에 따라 수행됩니다 (그림). 장의 초기 부분에 큰 변화가 있는 십이지장 궤양의 경우, 십이지장 궤양이 침투한 경우 Hoffmeister-Finsterer의 변형 Billroth II 방법에 따라 위절제술을 시행하는데, 이는 제거 후 위의 일부와 십이지장을 가로 지르는 작은 곡률 측면의 위 그루터기 부분이 봉합되어 용골 형태로 위 내강에 잠겨 있습니다. 십이지장 그루터기는 일반적인 방법이나 비정형적인 방법으로 단단히 봉합됩니다. 위 그루터기는 종단간 문합으로 공장의 초기 부분과 연결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합은 장간막을 통해 횡행결장 뒤에서 수행됩니다(그림).

십이지장 그루터기를 봉합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여러 가지 개발된 방법이 사용됩니다. 십이지장 그루터기를 달팽이 형태로 닫을 때 Yudin의 방법(그림) 또는 봉합된 십이지장 그루터기를 담글 때 Krivosheev 방법에 따라 "잠수정 후드"형태의 지갑 끈 봉합사 (그림) .

위절제술의 장점: 환자의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위의 규칙을 엄격하게 준수하면서 엄격한 지침에 따라 수술을 수행하면 수술 후 좋고 만족스러운 결과가 90% 이상입니다(A.G. Savinykh, S.S. Yudin).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는 5%에 불과합니다. 대부분의 저자에 따르면 계획된 위절제술 후 사망률은 2~5%입니다(S.S. Yudin, V.S. Mayat, A.A. Grinberg). 사빈클리닉에서는 1963년까지 1000번의 수술을 한 후 0이 되었습니다.

위 절제술의 단점: 수술이 매우 복잡하고 개입의 모든 세부 사항을 꼼꼼하게 실행해야 합니다. 이는 높은 자격을 갖춘 외과 의사에 의해 수행되어야 합니다. 성공적인 수술을 위해서는 충분한 장비를 갖춘 수술실, 자격을 갖춘 마취과 의사, 숙련된 조수 및 충분한 혈액 공급과 같은 특정 조건이 필요합니다. 궤양 천공이 있는 복막염이나 궤양 출혈이 동반된 심한 빈혈의 경우에는 수술을 할 수 없습니다.

계획대로 수술이 진행되면 덤핑 증후군 검사가 선행됩니다. 튜브를 통해 환자의 위장에 포도당을 주입하고 혈당 수치와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합니다. 덤핑 징후가 있는 경우에는 Billroth I 기법을 사용하여 절제하는 것이 더 생리학적이기 때문에 권장됩니다. 필요한 경우 Roux-en-Y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소만곡을 봉합한 후 위 그루터기가 Roux-en에 따라 동원된 공장의 종단간 문합으로 공장과 연결됩니다. -Y 방식으로 십이지장 그루터기를 단단하게 봉합합니다.

1947년 Dragstedt는 복잡한 십이지장 궤양 치료를 위해 양측 횡격막하 미주신경절단술을 발표했습니다. 수술의 목적은 위분비의 첫 번째 반사단계를 차단하여 산성도가 높은 십이지장궤양을 치료하는 것이었습니다. 궤양이 치유되었습니다. 미주 신경의 부분 절개를 수행한 Dregstedt와 그의 전임자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동일한 목적으로 십이지장 궤양에 대해 수천 건의 유사한 수술이 수행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한 개입 후 환자는 궤양의 치유에도 불구하고 미주 신경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유문의 지속적인 경련과 간, 췌장 및 장의 다양한 장애 형태로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유문의 지속적인 경련을 제거하기 위해 Dregstedt는 몸통 미주신경절개술 외에도 유문성형술 또는 위장장루술 형태의 위 배액 수술을 수행했습니다. 천공 된 십이지장 궤양 (A.I. Krakovsky, Yu.M. Pantsyrev 등)을 봉합 한 후 추가로 응급 상황에서도 동일한 수술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개입은 오늘날 거의 시행되지 않습니다. 모스크바에서 열린 XX1V 국제 외과의사 회의에서 Dregstedt는 자신이 러시아 과학자 I.P. Pavlov의 학생임을 발표했으며 미주신경절개술에 대한 다양한 옵션을 연구하기 위해 그의 연구와 2000년의 동물 수술을 바탕으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같은 회의에서 그는 1948년 Franksson이 제안한 양측 선택적 미주신경절개술에 찬성하여 말했습니다. 이 수술 동안 위로 가는 미주 신경의 가지만 교차됩니다. 이 경우 태양 신경총 요소의 부교감 신경 분포, 즉 간과 췌장의 신경 분포를 수행하는 Latarjet 신경을 아끼지 않아야합니다 (그림).

몸통미주신경절단술의 장점. 수술은 기술적으로 매우 간단하며 치료 효과가 높아 사망률이 거의 없습니다. 즉, 산성도가 높은 십이지장 궤양은 대부분 수술 후 치유됩니다. 이미 언급했듯이 수술의 단점은 모든 경우에 유문의 지속적인 경련과 간, 췌장 및 장 운동의 심각한 기능 장애가 존재하여 환자를 순교자로 만들고이 수술을 수행 한 외과 의사의 단골 고객이된다는 것입니다. 미주신경절개술을 완전히 시행하지 않으면 궤양이 치유되지 않고 질병의 모든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수술에는 항상 위 배액 수술(유문성형술 또는 위장문합술)이 추가되어야 합니다.

선택적 미주신경절개술. 수술의 장점은 80~90%의 경우 궤양이 치유된다는 것입니다. 위는 보존됩니다. 위절제술 후보다 사망률이 현저히 낮습니다. 수술의 단점: 시행의 복잡성 - 변형을 고려하여 미주 신경 가지를 신중하게 준비해야 하며, 몸통 미주신경절개술 이후와 마찬가지로 위를 배출하는 유문 성형술 또는 위장장루술 수술을 수행해야 합니다. . 또한 수술이 불완전한 경우 미주 신경의 개별 가지가 교차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면 궤양이 치유되지 않고 문합의 소화성 궤양 발병 비율이 높게 유지됩니다. 다른 저자에 따르면 그 빈도는 6~19%입니다(A.A. Kurygin, Yu.M. Pantsyrev, A.A. Grinberg).

하트 에이. Holle(1966, 1968)은 선택적 근위 미주신경절개술을 제안했는데, 그 동안 Latarget 가지와 유문으로 가는 미주신경 가지를 보존하면서 산 생성 부위로 가는 미주신경 가지만 교차하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