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 기능. 기관지, 기관지 및 폐포 벽의 구조

). 기관지는 기도를 구성하며 기관지에서는 가스 교환이 발생하지 않습니다(소위 해부학적 사강). 그들의 기능은 호흡 부분(acini)으로 공기 흐름을 유도하고, 따뜻하게 하고, 보습하고 정화하는 것입니다.

소개

새의 경우 2차 기관지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기관지주위-소위 채널 세기관지, 분기하여 네트워크로 전환 공기 모세혈관. 각 기관지의 기관지와 공기 모세혈관은 다른 기관지의 해당 형성과 합쳐져 종단 간 기도 시스템을 형성합니다. 주 기관지와 끝 부분의 일부 측면 기관지는 모두 소위 기관지로 확장됩니다. 에어백. 대부분의 새에서 기관지의 첫 번째 고리는 하부 후두 형성에 관여합니다.

기관지 나무

포유류의 경우 2차 기관지는 각 주기관지에서 출발하여 더 작은 가지로 나누어져 소위 기관지나무를 형성합니다. 가장 작은 가지가 호흡 기관지가 됩니다. 호흡 세기관지에는 4개의 순서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를 따라 폐포가 벽에 나타납니다. 분기함에 따라 호흡세기관지 벽의 폐포 수가 증가하므로 3차 호흡세기관지는 폐포관으로 이분형으로 폐포낭으로 나누어진다. 1차 호흡 세기관지의 가지를 폐포방이라고 하며 폐의 호흡 부분입니다. 일반적인 이차 기관지 외에도 포유류에는 폐동맥이 퍼지는 곳 앞의 주 기관지에서 연장되는 동맥 전 이차 기관지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우제류에서는 기관에서 직접 발생하는 우측 동맥전 기관지가 하나만 있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큰 기관지의 섬유질 벽에는 평활근의 가로 묶음으로 뒤쪽에 연결된 연골 반 고리가 있습니다. 기관지의 점막은 섬모 상피로 덮여 있습니다. 작은 기관지에서는 연골 반고리가 개별 연골 알갱이로 대체됩니다. 세기관지에는 연골이 없으며 고리 모양의 평활근 다발이 연속적인 층에 놓여 있습니다.

인간

기관지, 기관지, 폐

인간의 기관은 두 개로 나누어진다. 주요 기관지기관지는 4~5번 흉추 수준에서 발생합니다. 오른쪽 주기관지는 왼쪽보다 더 두껍고, 짧으며, 더 수직적입니다.

주 기관지는 반복적으로 가지를 쳐서 기관지나무 가지 기관지를 형성하며, 약 23개의 가지로 갈라진다. 처음에 기관지는 폐의 거시적 구조에 따라 엽성 기관지와 분절 기관지로 나누어집니다. 오른쪽 폐에는 3개의 엽이 있고 왼쪽 폐에는 2개가 있습니다. 각 폐에는 10개의 부분이 있습니다. 분절 기관지(하분절 기관지)의 가지에서 시작하여 이분법적 분할, 즉 각 기관지가 둘로 갈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관지나무는 말단 기관지로 끝난다. 말단 세기관지는 호흡 기관지로 갈라지며, 여기서 폐의 호흡 부분(아시니)이 시작됩니다.

기관지 나무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엽성 기관지(지형학적으로 폐외 부분과 폐내 부분으로 구분됨),
  • 분절 기관지,
  • 소엽간 기관지,
  • 소엽 (BNA),
  • 소엽내 기관지(여러 순서의 분지)
  • 말단 기관지.

기관지 벽은 여러 층으로 구성됩니다. 내부에서 기관지는 상피, 고유판 및 근육층으로 구성된 점막(내부)으로 늘어서 있습니다. 점막하층; 섬유연골성 막 및 외막(외부). 상피는 잔세포로 구성된 섬모가 있는 단층의 다줄 프리즘형입니다. 고유판과 점막하층은 결합 조직으로 형성되며 점액선의 분비 부분을 포함합니다. 섬유 연골 막은 결합 조직으로 연결된 연골 고리로 표시됩니다 (기관지 가지와 구경 감소, 고리가 열리고 섬, 연골 알갱이로 대체되고 마지막으로 소 구경 기관지에서는 완전히 사라집니다). 외막은 결합 조직에 의해 형성됩니다. 기관지 분지에서는 기관지 구경의 감소, 연골 고리의 개방 및 크기 감소, 근육판의 두꺼워짐, 기관지 상피 높이의 감소가 관찰됩니다. 기관지 가지를 따라 폐 조직으로부터 림프를 받는 수많은 림프절이 있으며, 기관지 벽 자체, 특히 가지가 갈라지는 부위에 림프 형성(즉, 림프낭)도 존재합니다. 기관지로의 혈액 공급은 대동맥의 아치와 흉부 부분에서 연장되는 기관지 동맥, 미주 신경, 교감 신경 및 척추 분지에 의한 신경 분포에 의해 수행됩니다.


말단 기관지. 말단 세기관지의 벽 2개의 얇은 막으로 구성됩니다: 1) 점액막과 2) 외막막.

점막 1) 상피판, 2) 고유판, 3) 근육판의 3개 층으로 구성됩니다.

상피판 그것은 분비성 클라라 세포 (cellula secretoria), 경계 (epitheliocytuslimbatus) 및 비 섬모 (epitheliocytus aciliatus) 세포가있는 세포 중에는 입방 섬모 상피로 표시됩니다.

분비세포 클라라 좁은 기저부는 기저막에 있고 넓은 정점 부분은 돔 모양이며 핵은 모양이 둥글고 세포질에는 골지 복합체, 부드러운 ER, 미토콘드리아 및 분비 과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분비세포의 기능 - 호흡기로 들어가는 독소의 해독에 관여하는 지질단백질과 당단백질(계면활성제 성분) 및 효소를 분비합니다.

테두리 있음(브러시) 세포는 원통 모양입니다. 즉, 기부가 좁고 정점 부분이 좁으며 중앙 부분이 넓습니다. 그들의 핵심은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세포질에는 일반적으로 중요한 세포 소기관이 있으며 정점 표면에는 경계를 형성하는 미세 융모가 있습니다.

^ 경계 세포의 기능 - 냄새를 인지합니다(후각 기능).

섬모 없는 상피 세포 프리즘 모양을 가지며 나머지 상피 세포보다 다소 높아집니다. 세포질에는 골지 복합체, 미토콘드리아, EPS, 글리코겐 과립 및 분비 과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들의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폐의 호흡 부분

폐엽 폐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입니다. 폐의 호흡 부분은 아시니(acini)에서 시작됩니다. 1차 호흡 기관지의 분지이다. 이 기관지는 어떻게 분지됩니까? 1차 호흡세기관지는 2개의 2차 호흡세기관지로 나뉘며, 각각은 2개의 3차 호흡세기관지로 갈라지고, 여기서 2개의 폐포관(ductus alveolaris)이 출발하고, 각 폐포관은 2개의 폐포낭(sacculus alveolaris)으로 끝납니다. 호흡 세기관지, 폐포관 및 폐포낭의 벽에는 폐포(치조).

따라서 1차 호흡 세기관지의 가지와 그 구성에 포함된 모든 폐포는 폐엽입니다.

아시니는 느슨한 결합 조직의 층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12-18 아시니는 폐의 엽을 형성하며, 이는 또한 느슨한 결합 조직 층에 의해 다른 엽과 분리됩니다.

^ 호흡 기관지의 벽 (bronchiolus respiratorius)은 얇아지고 약하게 정의된 2개의 막, 즉 1) 점액막과 2) 외막막을 포함합니다.

점막호흡 세기관지에는 단층의 입방형 비섬모 상피가 늘어서 있는데, 여기에 섬모 상피 세포가 가끔 발견되며, 분비성 클라라 세포도 있습니다.

점막의 고유판은 얇아지고, 근육판은 별도의 원형으로 배열된 평활 근세포 묶음으로 표시됩니다.

^ 어드벤티시아 느슨한 결합 조직으로 대표되는 호흡 기관지도 얇아지고 그 섬유는 폐포 사이 결합 조직으로 전달됩니다.

호흡 기관지의 벽에는 별도의 폐포가 있습니다. 폐포관과 폐포낭의 벽은 폐포로 구성됩니다.

폐포 그들은 직경 120-140 미크론의 닫히지 않은 소포이며 호흡 기관지, 폐포관 및 폐포낭의 내강으로 열립니다. 폐포 사이에는 2-8 미크론 두께의 결합 조직 격벽이 있으며, 여기에는 기관 상피에 대해 언급할 때 언급된 탄성 섬유 신경총, 얇은 콜라겐 섬유 네트워크, 섬유아세포, 조직 호염기구 및 항원 제시 세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격막에는 직경 5-7 미크론의 모세 혈관이 포함되어 있으며 폐포 면적의 약 75 %를 차지합니다. 폐포는 직경 10-15 미크론의 쿤 폐포 구멍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합니다.

^ 폐포벽얇은 콜라겐과 망상 섬유로 구성된 프레임으로 강화된 기저막에 있는 폐포 세포(폐포)가 늘어서 있습니다. 폐포의 폐포세포는 호흡기(I형 폐포세포)와 분비성(II형 폐포세포)의 2가지 주요 유형으로 표시됩니다. 폐포 벽과 그 표면에는 폐포 대식세포(macrophagocytus alveolaris)가 있습니다.

^ 호흡 폐포세포 (alveolocytus respiratorius)는 편평한 모양을 갖고 있으며 세포질에는 작은 미토콘드리아와 음세포 소포가 포함되어 있으며 끝 표면에 짧은 돌기(미세융모)가 있습니다. 호흡 폐포의 유핵 부분의 두께는 5-6 µm이고, 유핵이 없는 부분은 0.2 µm입니다. 폐포의 무핵 부분 반대편에는 내피 세포의 무핵 부분이 있으며, 그 두께도 약 0.2 미크론입니다. 따라서 공기혈액 장벽을 형성하는 폐포의 공기와 모세혈관의 내강 사이의 칸막이는 약 0.5 마이크론입니다. 공기 장벽에는 호흡 폐포 세포의 핵 부분, 폐포의 기저막, 폐포 간 결합 조직, 모세 혈관의 기저막 및 내피가 포함됩니다.

^ 호흡 폐포의 기능 - 폐포의 공기와 적혈구의 헤모글로빈 사이의 가스 교환(호흡 기능).

분비성 폐포세포,또는 유형 II 폐포세포 또는 큰 폐포세포(alveolocytus magnus)는 폐포 벽의 내부 표면을 감싸는 총 세포 수의 5%만을 차지합니다. 그들은 입방체 또는 타원형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미세 융모는 세포막에서 확장됩니다. 세포질에는 II형 폐포의 마커인 골지체 복합체, EPS, 리보솜, 미토콘드리아, 다소포체, 세포포스포리포솜(층상 친수성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분비성 폐포세포의 기능 - 폐포 계면활성제 복합체의 성분, 즉 인지질과 단백질을 분비합니다.

계면활성제 폐포 복합체폐포의 내부 표면을 덮고 3가지 구성 요소를 포함합니다: 1) 막, 구조가 세포막과 유사하고 분비성 폐포에 의해 합성된 인지질과 단백질을 포함합니다. 2) 분비 클라라 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지단백질과 당단백질로 구성된 하이포페이즈(액체 성분); 3) 계면활성제를 예비한다.

^ 계면활성제 폐포 복합체의 기능적 중요성:

1) 호기 중에 폐포 벽의 내부 표면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합니다(폐포가 서로 붙어 있으면 다음 흡입이 불가능하고 4-5분 이내에 사망합니다).

2) 폐포에서 주변 결합(간질) 조직으로 미생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3) 간질 조직에서 폐포로의 체액 흐름(투출)을 방지합니다.

^ 폐포 대식세포 돌기 모양, 타원형 핵 및 잘 발달된 리소좀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폐포 벽이나 외부 표면에 위치하며 폐포에서 간질 조직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세포질에는 지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산화로 인해 흡입된 공기가 따뜻해지며 온도는 체온과 일치해야 합니다.

^ 대식세포의 기능 - 보호, 그들은 미생물, 먼지 입자, 세포 조각 및 계면활성제를 식균합니다. 지질 대사에 참여하고 열에너지를 방출합니다.
^ 폐에 혈액 공급. 폐에는 폐동맥과 기관지 동맥이 포함됩니다. 정맥혈은 폐동맥을 통해 흐릅니다. 이 동맥은 기관지를 따라 갈라집니다. 폐포에 도달하면 가지가 직경 5-7 미크론의 모세 혈관으로 나뉘어 폐포를 얽습니다. 각 모세혈관은 동시에 두 개의 폐포로 연결됩니다. 모세혈관의 적혈구가 한 줄로 배열되어 있고 모세혈관이 두 폐포 사이를 통과하며 서로 접촉한다는 사실은 폐포의 공기와 적혈구의 헤모글로빈 사이의 가스 교환을 촉진합니다.

이산화탄소를 포기하고 산소가 풍부해진 혈액은 폐포간 모세혈관의 혈액이 폐정맥계로 들어가 좌심방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기관지 동맥은 대동맥의 가지입니다. 그들은 또한 기관지를 따라 가지를 치고 기관지 벽과 폐 조직에 산소를 공급합니다. 기관지 벽에서, 이들 동맥의 분지는 점막하층과 점막 고유층에서 신경총을 형성합니다. 이 신경총의 세동맥은 모세혈관으로 갈라져 기저막 아래에 조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모세혈관은 정맥혈을 앞기관지정맥과 뒤기관지정맥으로 흐르는 작은 정맥으로 운반하는 정맥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소 구경 기관지 수준에서 기관지 동맥 시스템의 세동맥과 폐정맥 시스템의 정맥 사이에 ABA가 형성되어 동맥혈의 일부가 심장으로 돌아갑니다.

^ 림프 혈관계 림프 모세 혈관과 혈관의 표면 및 깊은 신경총으로 표시됩니다. 표면 신경총은 내장 흉막, 깊은 흉막 - 기관지 및 혈관을 따라 선포, 소엽 주변의 결합 조직에 국한됩니다. 기관지 벽에는 2개의 림프 신경총이 있습니다: 점막하층과 점막 고유판에 있습니다.

신경 분포 혈관과 기관지를 따라 결합 조직 층에 위치한 신경 신경총에 의해 제공됩니다. 신경총에는 교감 신경절, 원심성(교감 신경 및 부교감 신경) 및 구심성 신경 섬유가 포함됩니다. 원심성 교감 섬유는 교감 신경절의 원심성 뉴런의 축삭으로, 기관지 근세포의 운동 이펙터와 혈관 및 기관지선의 분비 이펙터로 끝납니다.

부교감신경 원심성 섬유는 미주 신경의 섬유로부터 자극이 도달하는 벽내 신경절의 운동 뉴런(I형 Dogel 세포)의 축삭입니다. 원심성 부교감 신경 섬유도 운동 및 분비 효과기 말단으로 끝납니다.

교감신경이 자극되면 혈관이 수축되고 기관지가 확장되어 호흡이 쉬워집니다. 부교감신경이 흥분하면 반대로 혈관이 확장되고 기관지가 좁아지며 호흡이 어려워진다.

구심성 신경 섬유는 신경절의 감각 뉴런의 수상돌기입니다. 그들은 기관지 벽과 폐 실질의 수용체로 끝납니다.

연령 관련 변화 호흡기계는 유아기부터 청소년기에 걸쳐 폐포와 탄력섬유의 수가 증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노년기에는 폐의 폐포 수가 감소하고 폐포 프레임의 탄성 섬유가 파괴되며 콜라겐 섬유가 우세한 결합 조직 간질이 성장합니다. 이러한 변화의 결과로 폐의 탄력성이 감소하고 호기시 폐포의 붕괴가 불충분하여 확장(폐기종)이 발생합니다. 동시에 염분은 대구경 기관지에 축적되어 호흡 활동이 제한되고 가스 교환이 감소합니다.

늑막,폐를 덮는 것을 내장이라고 합니다. 흉강 벽 안감 - 정수리. 내장 및 정수리 흉막의 기초는 흉강 측면에 중피가 늘어선 결합 조직입니다. 내장 흉막은 결합 조직 기저부에 평활근 세포와 탄력 섬유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구별됩니다. 내장 흉막의 섬유는 폐의 간질 조직으로 침투합니다.

폐의 이동에 따라 흉막 중피의 모양이 변경됩니다. 흡입하면 편평해지고, 숨을 내쉴 때는 입방체 모양이 됩니다.

^ 호흡계의 기능: 호흡기 및 비호흡기.

호흡 기능 중에 적혈구의 헤모글로빈과 폐포의 공기 사이에 가스 교환이 발생합니다.

비호흡기 기능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1) 체온 조절, 즉 흡입된 공기가 차가우면 따뜻하게 하고, 뜨거우면 냉각시킵니다. 폐포로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는 체온과 일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2) 흡입된 공기의 가습;

3) 먼지 입자, 박테리아 및 기타 유해 성분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정화합니다.

4) 면역 보호;

5) 지질 대사 및 물-소금 대사 참여 (증기 형태의 호기 공기로 매일 최대 500ml의 물이 제거됨)

6) 폐의 조직 호염기구로 인한 혈액 응고 시스템 유지에 참여;

7) 호르몬(칼시토닌, 봄베신,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세로토닌 분비);

8) 폐의 대식세포 및 비만세포에 함유된 모노아민 산화효소와 브라디카딘을 이용한 세로토닌의 불활성화;

9) 폐 대식세포에 의한 리소자임, 인터페론 및 발열원의 합성;

10) 폐 혈관의 작은 혈전과 종양 세포의 파괴;

11) 폐순환계 혈관에 혈액이 침착됨;

13) 후각;

14) 신체에서 특정 휘발성 물질(아세톤, 암모니아, 알코올 증기) 방출에 참여합니다.

25강

^ 가죽과 그 파생물

가죽(cutis)는 피부 자체(진피)와 피부 표면을 덮고 있는 표피(표피)로 구성되며, 이는 중층 편평 각질화 상피입니다. 진피 아래에는 피하 지방 조직, 즉 피하조직이 있습니다.

개발 소스. 표피의 주요 세포인 각질세포와 피부 부속기관(손톱, 머리카락, 피지선, 땀 및 유선)은 피부 외배엽에서 발생합니다. 표피의 멜라닌 세포 및 메르켈 세포 - 신경 능선에서; 표피내 대식세포 - 단핵구에서. 피부의 결합조직 기저부는 중배엽 체절의 피부분절에서 발생합니다.

가장 두꺼운 표피(600 마이크론) 손바닥과 발바닥 표면을 덮고 있으며, 가장 얇은(170 마이크론)은 얼굴과 머리의 진피층을 덮고 있습니다.

손과 발바닥의 손바닥 표면의 표피 구조. 이 표피에서 세포는 약 50개의 층을 형성하지만, 모두 5개의 주요 층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기초(기저층);

2) 가시 (가시층);

3) 과립형(과립층),

4) 반짝임(투명층);

5) 각질(각질층).

피부의 다른 부위에는 빛나는 층이 없습니다.

^ 기초층 a) 각질세포, b) 멜라닌세포, c) 메르켈 세포, d) 표피내 대식세포의 4가지 세포 분화가 포함됩니다.

각질세포이 층의 모든 세포 중 85% 이상을 구성하고 기저막에 위치하며 프리즘 모양을 가지며 desmosome을 사용하여 서로 및 다른 상피 세포와 연결하고 hemidesmosome을 사용하여 기저막과 연결합니다.

기저층의 각질형성세포의 세포질은 호염기성으로 염색됩니다. 타원형의 염색질이 풍부한 핵은 세포의 기저부에 위치합니다. 세포질에는 일반적으로 중요한 세포 소기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케라틴 단백질 분자는 필라멘트가 중합되는 과립형 EPS에서 합성됩니다. 세포질에는 식균 작용에 의해 포획된 멜라닌 색소 과립이 있습니다.

기저층의 각질세포 중에는 G 0기에 있는 줄기세포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 기간을 벗어나 세포 주기에 들어가 유사분열을 겪을 수 있습니다. 분열의 결과로 형성된 딸세포도 계속해서 분열하고 분화를 겪습니다. 각질세포의 분열로 인해 표피 세포의 완전한 재생은 3~4주 내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기저층을 배아층(germinal layer)이라 부른다. 이들이 분화됨에 따라 기저 각질세포는 유극층으로 이동합니다.

^ 각질세포의 기능: 재생, 케라틴 합성, T-림프구의 증식 및 항원 독립적 분화를 자극하는 티모신 및 티모포이에틴 합성(흉선 기능 대체).

멜라닌 세포 데스모솜에 의해 다른 세포 및 기저막에 연결되지 않고, 합성 장치, 멜라닌 색소 과립 및 이 색소의 합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 및 DOPA 산화효소를 포함하는 과정 모양의 약하게 염색된 세포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색소는 세포외유출에 의해 세포에서 방출됩니다. 멜라닌 세포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그 과정이 유극층으로 침투합니다. 멜라닌 세포의 총 수는 기저층 전체 세포의 10%를 초과하지 않습니다.

^ 메르켈 세포짧지만 케라티노사이트보다 넓으며 불규칙한 모양의 핵과 약하게 염색된 세포질을 포함하며 여기에는 봄베신, VIP, 엔케팔린을 함유한 분비 과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메르켈 세포는 메르켈 디스크를 통해 세포와 접촉하는 신경 섬유에 의해 접근됩니다.

^ 메르켈 세포의 기능:

1) 내분비(봄베신, VIP, 엔케팔린 분비);

2) 표피 재생에 참여;

3) VIP의 도움을 받고 비만 세포에서 히스타민 방출을 에뮬레이션하여 진피 혈관의 색조와 투과성을 조절하는 데 참여합니다.

4) 자극을 받기 때문에 피부의 가장 민감한 부위(코끝, 손가락)에 가장 많이 존재합니다.

^ 표피내 대식세포(랑게르한스 세포) - 가장 큰 것은 돌기 형태를 가지며, 그 돌기는 극층에 깊숙이 박혀 있습니다. 코어는 대부분 잎 모양입니다. 일반적인 소기관 중에서 가장 잘 발달된 것은 콜레스테롤 설파타제 효소 등을 포함하는 리소좀입니다. 세포질에는 테니스 라켓 모양의 버벡 과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대식세포는 진피와 국소 림프절로 이동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표피내 대식세포의 기능:

1) 림프구의 증식과 분화를 자극하는 IL-1을 생성합니다.

2) 항원을 인식하고 이를 표피 및 국소 림프절의 림프구에 제시합니다(면역 반응에 참여).

3) 프로스타글란딘, 켈론, 상피 성장 인자, 표피 각질층 표면 부분의 세포 간 시멘트를 분해하는 효소 콜레스테롤 설파타제를 분비합니다.

4) 표피 증식 단위(EPU)의 중심으로, 상피 성장 인자, 켈론 및 콜레스테롤 설파타제의 도움으로 각질세포의 증식과 각질화를 조절합니다.

^ 표피 증식 단위 기저층에서 시작하여 표피 각질층 표면에서 끝나는 기둥 형태를 가지며 그 기저에는 표피 내 대 식세포가 있습니다.

^ 척수층 5~10줄로 배열된 불규칙한 모양의 각질세포와 표피내 대식세포로 대표됩니다. 기저층에 인접한 세포의 핵은 둥글고, 과립층에 가까운 세포의 핵은 타원형이다. 파생물은 미세 섬유를 포함하는 세포체, 즉 척추에서 확장됩니다. 한 세포의 가시가 다른 세포의 가시와 접촉합니다. 세포의 가시 사이에는 데스모솜(desmosome)이 있습니다.

^ 가시층 세포의 기능: 케라틴 합성 및 케라틴 토노필라멘트의 중합이 계속되며, 이로부터 토노피브릴 다발이 형성됩니다. 케라티노솜은 지질 물질인 황산콜레스테롤과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층판체인 세포에서 형성됩니다. 기저층과 극상층이 합쳐져 표피의 배아층을 형성합니다. 추가 분화가 진행되면 가시층의 세포가 다음 과립층으로 옮겨집니다.

^ 세분화된 층 3~4줄로 배열된 타원형 또는 약간 강아지 같은 세포로 표시됩니다. 세포핵은 pyknotized입니다. 이 층의 각질 세포에서는 각질 합성이 계속되고 필라그린, 케라톨라미닌 및 인볼루크린의 합성이 시작됩니다. 케라틴 토노피브릴은 필라그린에 의해 케라토히알린 과립으로 포장되며, 여기서 필라그린은 무정형 매트릭스의 역할을 합니다. 케라톨라미닌과 인볼루크린은 세포 세포질에 인접해 있어 표피내 대식세포의 영향으로 활성화되는 케라티노솜과 리소좀 효소의 효과에 대한 높은 강도와 ​​저항성을 제공합니다.

이 무렵에는 핵과 세포 소기관이 붕괴되기 시작합니다. 분해의 결과로 단백질, 지질, 다당류 및 아미노산이 형성되며, 이는 필라그린으로 포장된 토노피브릴 묶음을 결합하여 케라토히알린 과립의 형성에 참여합니다. 이 과립은 세포질 전체에 분산되어 있습니다. 케라토히알린 과립의 형성은 각질화의 첫 번째 단계입니다.

과립층의 각질형성세포에서는 지질(황산콜레스테롤 및 세라마이드)과 효소를 함유한 각질체의 형성이 계속됩니다.

케라티노솜은 세포외유출을 통해 세포간 공간으로 들어가며, 그곳에서 과립층과 투명층의 세포와 각질층의 각질 비늘을 접착하는 접합 물질을 형성합니다. 접착 물질 덕분에 표피의 방수층이 형성되어 피부 탈수를 방지하는 동시에 박테리아, 화학 물질 및 기타 유해 성분의 침투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장벽 역할을 합니다.

과립층의 세포 사이에 있는 데스모솜의 수가 감소합니다. 추가 분화를 통해 과립층의 세포는 다음 투명층으로 옮겨집니다.

^ 반짝이는 레이어핵과 세포 소기관이 완전히 파괴된 편평한 세포로 표현됩니다. 세포 사이에는 데스모솜이 없으며, 접착 물질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케라토히알린 과립은 엘레이딘이라는 고체 덩어리로 합쳐집니다. 엘레이딘의 형성은 각질화의 다음 단계인 2단계입니다. 엘레이딘은 염료로 착색되지 않지만 빛을 잘 굴절시킵니다. 따라서 헤마톡실린-에오신으로 염색된 제제에서 이 층은 빛나는 스트립 형태로 나타납니다. 추가 분화(각질화, 각질화)를 통해 투명층의 세포는 훨씬 더 편평해지고 다음 층인 각질층으로 이동합니다.

^ 각질층케라톨라미닌 단백질로 강화된 세포막으로 덮인 14각 비늘로 구성됩니다. 두꺼워진 세포질 안쪽에는 케라틴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필라그린이 없는 케라틴 미세섬유 다발이 세로 방향으로 위치합니다. 각질 비늘의 각질 구조는 부드러운 각질입니다. 스케일 중앙에는 코어 대신 기포가 있습니다.

각질층의 가장 표면 비늘을 연결하는 접합 물질은 표피내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지질분해효소인 콜레스테롤 설파타제에 의해 파괴됩니다. 따라서 비늘이 노출됩니다. 박리 (박리).

손바닥 표면의 각질층은 두께가 600 마이크론에 이릅니다. 이 층은 밀도가 높고 열전도율이 낮으며 물, 박테리아 및 독소에 대한 불투과성을 갖습니다.

^ 각질화 과정 (각질화) 3~4주간 지속됩니다. 이는 케라틴 필라멘트 및 원섬유, 케라티노솜, 데스모솜, 접합 물질, 표피내 대식세포(랑게르한스 세포)를 포함하며 다음을 분비합니다.

1) 각질세포 분열을 자극하는 상피 성장 인자;

2) 케라티노사이트의 분열을 억제하는 킬론(keylon);

3) 시멘트 물질의 지질을 분해하여 표면 비늘을 박리시키는 콜레스테롤 설파타제.

비타민 A가 부족하거나 코티솔(부신 피질 호르몬)이 과잉되어 피부에 기계적 충격이 가해지면 각질화의 강도가 증가합니다.

호흡기 벽의 구조(주로 von Hayek에 따르면)
기관과 기관지의 벽은 점막, 점막하층, 평활근을 포함하는 섬유연골층의 세 가지 주요 층으로 구성됩니다.

점막은 거짓중층섬모상피에 의해 형성됩니다. 표면층은 주로 모양체 세포로 구성됩니다. 그 중에는 점액을 분비하는 잔세포가 흩어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잔 세포는 섬모 세포로 둘러싸여 있으며 기관지 구경이 감소함에 따라 그 수가 감소합니다. 큰 기관지의 세포 표면층 아래에는 또 다른 2~3줄의 입방형 중간 세포가 있으며, 그 수는 주변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여 세기관지에는 단일 술잔 세포가 있는 섬모 세포 줄만 남게 됩니다. 점막은 짜여진 섬유다발로 형성된 기저막에 의해 외부적으로 경계가 정해져 있습니다. 기관 분기점의 박차 위와 종종 기본 분기점 영역에서 섬모 상피는 다층 편평 상피로 대체됩니다.

점막에는 림프구, 백혈구, 비만 세포를 포함할 수 있는 세포간 공간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분기점 근처에는 감각 수용체가 될 수 있는 둥글고 밝은 색상의 세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점막은 흔히 세로 방향으로 접힌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두께는 부분적으로 기관지 근육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점막하 층은 점막의 주름 아래, 기관 및 큰 기관지-연골 고리 끝 사이의 후벽 영역에서 더 두껍습니다. 점막하층에서 모세혈관 네트워크는 기저막에 직접 위치하는 반면, 모세혈관 전 및 후 모세혈관은 탄성 섬유 사이의 더 깊은 층에 위치합니다. 탄성 섬유 다발은 점막, 연골 및 섬유 연골 층의 원형 탄성 섬유와도 관련되어 있지만 점막의 주름을 따라 점막에 침투하는 얇은 층에 주로 세로 방향으로 위치합니다. 세기관지에서는 탄력섬유가 바깥쪽으로 침투하여 폐포의 탄력조직과 연결됩니다.

점액선은 기관 전체에서 가장 작은 기관지까지 발견되며 특히 중간 크기 기관지에 많이 존재합니다. 큰 기관지에서는 점막과 연골 사이의 점막하층에 위치하며 종종 연골의 균열을 통해 바깥쪽으로 침투합니다. 그들은 종종 근육 외부에 놓여 있으며 관은 근육을 관통하고 심지어 섬유층을 통해 기관지 주위 결합 조직으로 침투할 수도 있습니다. 점액선은 일반적으로 소시지 모양으로 한쪽 끝에 관이 열려 있고 기관지의 장축에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점막 표면으로 비워져 있습니다. 땀샘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며 가장 큰 것은 길이가 1mm에 이릅니다. 점액선의 상피는 다양한 수의 술잔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기관지 근육층 외부의 관은 팽대형이 될 수 있으며 림프 조직으로 둘러싸일 수 있습니다. 일부 점막샘 세포는 과립형으로 보이며 장액을 분비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조직화학적 연구에 따르면 이 현상은 기만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세포가 점액을 분비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기관과 아래쪽의 큰 기관지에서 최대 4~5분할된 분절 기관지의 연골은 반고리 모양, 때로는 말굽 모양을 가지며 뒤쪽이 열려 있습니다. 기관지의 이 후방 "막성" 부분은 연골 사이를 세로로 연결하고 끝부분을 연결하는 섬유판에 의해 외부적으로 형성됩니다.

기관지와 기관의 분기점은 연골 박차로 표시되며 그 가장자리는 기관에 비해 오목합니다. 더 작은 기관지에서는 연골이 불규칙한 판으로 나뉘어져 기관지의 하강 가지를 따라 점점 드물어지며 세기관지 수준에서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발생합니다.

기관에서는 평활근이 섬유판 중앙에 위치한 연골 끝을 연결합니다. 근육이 수축하면 연골의 끝이 수렴되어 점막의 뒤쪽 부분이 기관의 내강으로 함입됩니다. 기관지 가지가 내려오면서 근육은 고리 모양이 될 때까지 연골의 내부 표면을 따라 점점 더 앞쪽으로 퍼집니다. 연골이 더 이상 원형으로 배열되지 않은 기관지에서는 기관지 근육이 더 세로 방향이고 나선형 모양을 가지므로 수축하면 내강이 좁아지고 기관지가 짧아집니다. 작은 기관지에서는 기관지 동맥, 정맥 및 림프관의 수많은 가지가 있는 느슨한 혈관층에 의해 근육이 연골에서 분리됩니다. 기관지에서 근육은 주변 폐 조직으로 가라앉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관지벽의 두께와 관련하여 가장 발달된 근육층은 기관지 내에 위치합니다. 근육외 정맥 네트워크는 섬유층과 점막이 합쳐지는 세기관지 수준에서 끝납니다.

기관지는 주로 폐동맥과 대정맥의 혈관 주위 조직으로 들어가는 기관지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느슨한 결합 조직으로 구성된 기관지 주위 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여기에는 기관지 동맥과 정맥, 신경, 림프관, 림프 및 지방 조직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먼지는 기관지 주위 조직, 특히 먼지를 흡수한 대식세포에 의해 림프 조직이 둘러싸인 기관지 모서리 부위에 쌓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관지에는 연골이나 점액선이 없습니다. 그들은 단일 술잔 세포를 가진 섬모 상피의 단일 층으로 형성됩니다. 말단 기관지는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완전한 상피 내막을 가지고 있습니다. 호흡 세기관지는 안으로 열리는 폐포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됩니다.

바깥쪽의 기관과 큰 기관지는 느슨한 결합 조직 덮개인 외막으로 덮여 있습니다. 외부 껍질(외막)은 큰 기관지의 지방 세포를 포함하는 느슨한 결합 조직으로 구성됩니다. 여기에는 혈관 림프관과 신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막은 기관지 주위 결합 조직과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후자와 함께 폐의 주변 부분과 관련하여 기관지가 어느 정도 변위될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더 안쪽에는 섬유연골층과 부분적으로 근육층, 점막하층과 점막이 있습니다. 연골 반고리 외에도 섬유층에는 탄성 섬유 네트워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관의 섬유연골막은 느슨한 결합 조직을 사용하여 주변 기관과 연결됩니다.

기관과 큰 기관지의 전벽과 측벽은 그 사이에 위치한 연골과 환형 인대에 의해 형성됩니다. 주 기관지의 연골 골격은 유리질 연골의 반 고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지 직경이 감소함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고 탄력있는 연골의 특성을 얻습니다. 따라서 크고 중간 기관지만이 유리질 연골로 구성됩니다. 연골은 둘레의 2/3, 막 부분-1/3을 차지합니다. 그들은 기관과 기관지의 내강을 보존하는 섬유 연골 골격을 형성합니다.

근육 다발은 기관과 주요 기관지의 막 부분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희귀한 세로 섬유로 구성된 표면 또는 외부 층과 가로 섬유로 형성된 연속적인 얇은 껍질인 깊은 내부 층이 있습니다. 근육 섬유는 연골 끝 사이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기관 연골 부분의 환형 공간과 더 큰 범위에서는 주 기관지로 들어갑니다. 따라서 기관에서는 가로 및 비스듬하게 배열된 평활근 다발이 막 부분에서만 발견됩니다. 즉, 근육층 자체가 없습니다. 주 기관지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희박한 평활근 그룹이 존재합니다.

기관지 직경이 감소함에 따라 근육층이 더욱 발달하고 섬유질이 다소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어집니다. 근육 수축은 기관지 내강을 좁힐 뿐만 아니라 일부 단축시켜 기관지가 기도 용량을 감소시켜 호기에 참여하게 합니다. 근육 수축을 통해 기관지 내강을 1/4로 좁힐 수 있습니다. 숨을 들이마시면 기관지가 길어지고 확장됩니다. 근육은 2차 호흡 기관지에 도달합니다.

근육층 안쪽에는 느슨한 결합 조직으로 구성된 점막하층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혈관 및 신경 형성, 점막하 림프 네트워크, 림프 조직 및 점액 장액 분비가 혼합된 관형 선상 유형에 속하는 기관지 땀샘의 상당 부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점막 표면에 플라스크 모양의 연장선으로 열리는 말단 부분과 배설관으로 구성됩니다. 상대적으로 긴 덕트 길이는 땀샘의 염증 과정 동안 기관지염의 장기간 진행에 기여합니다. 땀샘의 위축은 점막의 건조와 염증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수의 큰 땀샘이 기관 분기점 위와 주 기관지가 엽 기관지로 분할되는 영역에 존재합니다. 건강한 사람은 하루에 최대 100ml의 분비물을 분비합니다. 95%는 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5%는 같은 양의 단백질, 염분, 지질 및 무기 물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분비는 뮤신(고분자량 당단백질)에 의해 지배됩니다. 현재까지 14가지 유형의 당단백질이 있으며 그 중 8가지가 호흡기계에서 발견됩니다.

기관지 점막

점막은 덮개 상피, 기저막, 고유판, 점막근판으로 구성됩니다.

기관지 상피에는 높고 낮은 기저 세포가 들어 있으며, 각 기저 세포는 기저막에 붙어 있습니다. 기저막의 두께는 3.7~10.6μm입니다. 기관과 큰 기관지의 상피는 다줄이고 원통형이며 섬모가 있습니다. 분절 기관지 수준의 상피 두께는 37 ~ 47 미크론입니다. 그 구성에는 섬모, 잔, 중간 및 기저의 4 가지 주요 유형의 세포가 있습니다. 또한 장액, 브러시, 클라라 및 Kulchitsky 세포가 발견됩니다.

섬모 세포는 상피층의 자유 표면에서 우세합니다 (Romanova L.K., 1984). 그들은 불규칙한 기둥 모양과 세포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타원형 소포 핵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포질의 전자 광학 밀도는 낮습니다. 미토콘드리아가 거의 없으며 소포체 과립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습니다. 각 세포는 표면에 짧은 미세융모와 약 200개의 섬모(두께 0.3μm, 길이 약 6μm)를 갖고 있습니다. 인간의 섬모 밀도는 6μm2입니다.

인접한 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됩니다. 세포는 세포질과 데스모솜의 손가락 모양의 파생물에 의해 서로 연결됩니다.

섬모 세포 집단은 정점 표면의 분화 정도에 따라 다음 그룹으로 나뉩니다.

  1. 기초체와 축삭체 형성 단계의 세포. 이때 정점 표면에는 섬모가 없습니다. 이 기간 동안 세포의 정점 표면으로 이동하는 중심체의 축적과 섬모 축삭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기저체의 형성이 발생합니다.
  2. 적당한 섬모 형성 및 섬모 성장 단계의 세포. 그러한 세포의 정점 표면에는 소수의 섬모가 나타나며, 그 길이는 분화된 세포의 섬모 길이의 1/2-2/3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미세융모가 정점 표면에서 우세합니다.
  3. 활성 섬모 형성 및 섬모 성장 단계의 세포. 그러한 세포의 정점 표면은 이미 거의 완전히 섬모로 덮여 있으며, 그 크기는 섬모 형성의 이전 단계에서 세포 섬모의 크기에 해당합니다.
  4. 완전한 섬모 형성 및 섬모 성장 단계의 세포. 이러한 세포의 정단 표면은 촘촘하게 배열된 긴 섬모로 완전히 덮여 있습니다. 전자 회절 패턴은 인접한 세포의 섬모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고 구부러져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점액섬모 수송의 표현입니다.

이러한 모든 세포 그룹은 광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얻은 사진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섬모는 세포의 정점 부분에 위치한 기저체에 부착됩니다. 섬모 축삭은 미세소관으로 구성되며, 그 중 9쌍(이중선)이 주변을 따라 위치하고 2개 단일선(단일선)이 중앙에 위치합니다. 이중선과 단일선은 넥신 피브릴로 연결됩니다. 각 이중선의 한쪽에는 ATP 에너지 방출에 관여하는 ATPase를 포함하는 2개의 짧은 "손잡이"가 있습니다. 이 구조 덕분에 섬모는 비인두 방향으로 16-17의 빈도로 리드미컬하게 진동합니다.

상피를 덮고 있는 점액막을 분당 약 6mm의 속도로 이동시켜 기관지의 지속적인 배액 기능을 보장합니다.

대부분의 연구자에 따르면 섬모 상피 세포는 최종 분화 단계에 있으며 유사 분열로 분열할 수 없습니다. 현대 개념에 따르면 기저세포는 섬모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중간세포의 전구체이다.

섬모 세포와 같은 잔 세포는 상피층의 자유 표면에 도달합니다. 기관 및 큰 기관지의 막 부분에서 섬모 세포의 비율은 최대 70-80%를 차지하고 잔 세포의 비율은 20-30%를 넘지 않습니다. 기관과 기관지의 둘레를 따라 연골 반고리가 있는 곳에서는 섬모 세포와 잔 세포의 비율이 다른 영역이 발견됩니다.

  1. 섬모 세포가 우세하다.
  2. 섬모 세포와 분비 세포의 비율이 거의 동일합니다.
  3. 분비 세포가 우세하다.
  4. 섬모 세포가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없는 상태(“섬모”).

잔 세포는 점액 분비물을 분비하는 메로크린 유형의 단세포 샘입니다. 세포의 모양과 핵의 위치는 분비 단계와 핵상 부분이 점액 과립으로 채워지는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점액 과립은 더 큰 과립으로 합쳐지고 전자 밀도가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잔 세포는 분비물이 축적되는 동안 기저막에 바닥이 있고 밀접하게 연결된 유리 형태를 취하는 길쭉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포의 넓은 끝부분은 자유 표면에 돔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미세융모를 갖추고 있습니다. 세포질은 전자 밀도가 높고 핵은 둥글며 소포체는 거친 유형이며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잔 세포는 고르지 않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상피층의 서로 다른 영역에는 섬모상피세포로만 구성되거나 분비세포로만 구성된 이질적인 영역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잔세포의 지속적인 축적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건강한 사람의 분절 기관지 부분의 둘레를 따라 섬모 상피 세포와 술잔 세포의 비율이 4:1~7:1인 영역이 있고, 다른 영역에서는 이 비율이 1:1입니다.

잔 세포의 수는 기관지에서 말단으로 감소합니다. 세기관지에서 잔 세포는 점액과 폐포 hypophase의 장액 성분 생성에 관여하는 클라라 세포로 대체됩니다.

작은 기관지와 세기관지에서는 술잔 세포가 일반적으로 없지만 병리학에서는 나타날 수 있습니다.

1986년 체코 과학자들은 다양한 점액 용해 물질의 경구 투여에 대한 토끼 기도 상피의 반응을 연구했습니다. 점액용해제의 표적세포는 잔세포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점액이 제거된 후 잔 세포는 일반적으로 퇴화되고 점차적으로 상피에서 제거됩니다. 잔 세포의 손상 정도는 투여되는 물질에 따라 다릅니다. 라솔반은 가장 큰 자극 효과를 나타냅니다. 기관지리신과 브롬헥신을 투여한 후, 기도의 상피에서 새로운 술잔세포의 대규모 분화가 일어나 술잔세포 증식을 초래합니다.

기저 및 중간 세포는 상피층 깊숙한 곳에 위치하며 자유 표면에 도달하지 않습니다. 이들은 생리적 재생이 주로 수행되는 가장 덜 분화된 세포 형태입니다. 중간세포의 모양은 길쭉하고, 기저세포는 불규칙한 입방체이다. 둘 다 둥글고 DNA가 풍부한 핵과 소량의 세포질을 가지고 있으며 기저 세포의 밀도가 높습니다.

기저 세포는 섬모 세포와 술잔 세포를 모두 생성할 수 있습니다.

분비 세포와 섬모 세포는 "점액 섬모 장치"라는 이름으로 결합됩니다.

폐의 기도를 통해 점액이 이동하는 과정을 점액섬모 청소라고 합니다. MCC의 기능적 효과는 섬모 상피의 섬모 운동의 빈도와 동시성에 달려 있으며, 또한 매우 중요하게는 점액의 특성과 유변학적 특성, 즉 잔 세포의 정상적인 분비 능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장액 세포는 수가 적고 상피의 자유 표면에 도달하며 작은 전자 밀도의 단백질 분비 과립으로 구별됩니다. 세포질은 또한 전자 밀도가 높습니다. 미토콘드리아와 조세망이 잘 발달되어 있습니다. 핵은 둥글며 일반적으로 세포의 중앙 부분에 위치합니다.

분비 세포 또는 클라라 세포는 소기관지와 기관지에서 가장 많습니다. 그들은 장액과 마찬가지로 작은 전자 밀도 과립을 포함하지만 세포질의 전자 밀도가 낮고 매끄러운 소포체의 우세로 구별됩니다. 둥근 핵은 세포의 중간 부분에 위치합니다. 클라라 세포는 인지질 형성과 계면활성제 생산에 관여합니다. 자극이 증가하면 잔 세포로 변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브러시 세포는 자유 표면에 미세 융모를 갖고 있지만 섬모는 없습니다. 세포질은 전자밀도가 낮고, 핵은 타원형이고 소포성이다. Ham A.와 Cormack D.(1982)의 매뉴얼에서는 분비물을 방출한 잔 세포로 간주합니다. 그들은 흡수, 수축, 분비, 화학 수용체 등 많은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기도에서는 실제로 연구된 바가 없습니다.

Kulchitsky 세포는 상피층 기저부의 기관지 전체에서 발견되며, 세포질의 낮은 전자 밀도와 작은 과립의 존재가 기저 세포와 다르며 전자 현미경과 은이 함침되었을 때 빛 아래에서 감지됩니다. . 그들은 APUD 시스템의 신경분비 세포로 분류됩니다.

상피 아래에는 콜라겐성 및 비콜라겐성 당단백질로 구성된 기저막이 있습니다. 그것은 상피의 지지와 부착을 제공하고 신진 대사와 면역 반응에 참여합니다. 기저막과 밑에 있는 결합 조직의 상태에 따라 상피의 구조와 기능이 결정됩니다. 고유판은 기저막과 근육층 사이의 느슨한 결합 조직 층입니다. 섬유아세포, 콜라겐, 탄력섬유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고유판에는 혈액과 림프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모세혈관은 기저막에 도달하지만 관통하지는 않습니다.

기관과 기관지의 점막, 주로 고유층과 분비샘 근처에 있는 유리 세포는 점막하층에 지속적으로 존재하며 이는 상피를 통해 내강으로 침투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는 림프구가 우세하며 형질 세포, 조직 구, 비만 세포 (비만 세포), 호중구 및 호산 구성 백혈구는 덜 일반적입니다. 기관지 점막에 림프 세포가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기관지 관련 림프 조직"(BALT)이라는 특수 용어로 지정되며 공기와 함께 호흡기로 침투하는 항원에 대한 면역 보호 반응으로 간주됩니다.


인용: Chuchalin A.G., Chernyaev A.L. 기관지염 // 유방암. 2003. 4호. 156페이지

모스크바 러시아 보건부 호흡기내과 연구소

와 함께폐의 많은 폐쇄성 염증 질환 중에서 세기관지염이 주요 위치 중 하나를 차지합니다 (Chernyaev A.L., Chuchalin A.G., 2002). 세기관지염은 세기관지의 삼출성 및/또는 생산성 경화성 염증으로, 부분적 또는 완전한 폐쇄를 초래합니다. (Chernyaev A.L., Samsonova M.V., 1998). 지난 10년 동안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촬영(HRCT)이 임상에 도입되면서 기관지염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했으며, 기관지염의 임상적 생체내 진단이 현실화되었습니다. G.R.Epler 등의 논문이 발표된 이후 세기관지염에 가장 큰 관심이 집중되었습니다. (1985), 그의 결론은 2,500건의 개방 폐 생검 분석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그 중 폐쇄성 세기관지염이 67건 발견되었습니다.

이 간행물의 목적은 세기관지염의 증후군 개념, 병인, 병인, 임상 및 형태학적 분류를 광범위한 의사에게 소개하는 것입니다.

기관지의 해부학

폐의 기능 단위인 소엽을 구성하는 기관지 가지를 세기관지라고 합니다. 기관지의 직경은 2mm 이하이며 벽에 연골판이 없다는 점에서 기관지와 구조가 다릅니다. 직경이 2mm인 첫 세기관지는 이미 4~5세대에 나타났지만, 이 직경을 가진 세기관지 수가 가장 많은 것은 9~17세대 기관지에서 발생합니다(Weibel T.R., 1963).

일반적으로 세기관지는 소엽 내부에 위치하며 큰 기관지처럼 외막이 부족하지만 사방이 폐포의 탄력 조직에 부착되어 전체 둘레를 따라 늘어나며 흡기 중에 붕괴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말단 기관지는 각 엽당 3~7개이지만 인간 폐의 기관지 총 수는 약 30,000개에 달하며 기관지 벽에는 분비선이 없습니다. 상피 내막은 연골 기관지보다 얇고 원통형 섬모 세포와 클라라 세포라고 불리는 분비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높은 대사 활동을 특징으로 합니다. 상피 아래에는 점막 고유판의 얇은 층이 있고 그 다음에는 지지 기능을 수행하는 근육 및 결합 조직 막이 있습니다. 세기관지의 벽에는 벽이 얇은 혈관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호흡 세기관지 수준에서 얇은 신경총이 있는 모세혈관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기관지염의 분류

임상 분류

세기관지염의 임상적 분류는 질병의 원인에 기초합니다(King T.E., 2000):

1. 감염 후 -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으로 인한 급성 세기관지염. 이러한 세기관지염은 어린이에게 더 자주 발생합니다.

2. 흡입 - 가스(CO, SO 2, NO 2, O 3), 산성 증기, 유기(곡물) 및 무기 먼지, 흡연, 코카인 흡입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3. 약물 유발 - 페니실라민, 금 함유 약물, 아미오다론, 세팔로스포린, 인터페론, 블레오마이신.

4. 특발성:

a) 다른 질병과 결합 - 콜라겐 질환, 특발성 폐섬유증,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 궤양성 대장염, 흡인성 폐렴, 방사선 폐포염, 악성 조직구증가증 및 림프종, 장기 및 조직 이식(골수, 폐-심장 복합체)

b) 다른 질병과 결합되지 않음 - 원인불명 세기관지염, 원인불명 조직성 폐렴, 간질성 폐질환을 동반한 호흡기 세기관지염

5. 폐쇄성 세기관지염 - HIV 감염, 헤르페스 바이러스, 거대 세포 바이러스, 아스퍼질러스, 레지오넬라, 폐포자충, 클렙시엘라.

병리조직학적 분류

한편으로는 강조한다. 매운 (삼출성) 및 만성병 환자 (생산성 경화성) 세기관지염.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독성 가스 흡입은 삼출성 세기관지염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경우 주요 형태학적 변화는 상피 괴사, 기관지 벽 부종, 다형핵 백혈구(PMN)의 침윤 및 바이러스 손상이 우세한 소수의 림프구와 관련됩니다. 이 세기관지염의 임상 증상은 처음 24시간 내에 나타나며 5주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기관지염에는 위막성 또는 괴사성, 육아종성 세기관지염이 포함됩니다. 이후 모든 급성 세기관지염은 일반적으로 만성으로 변하거나 삼출성 염증이 발생합니다.

만성 기관지염 중에는 호흡기, 여포 성 및 미만성 범 기관지염이 구별됩니다.

한편, 임상 실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병리조직학적 분류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 만성 세기관지염을 증식성 세기관지염과 수축성 세기관지염으로 구분 (콜비 TV, 1998). 증식성 유형에는 조직성 폐렴을 동반한 폐쇄성 세기관지염(OBOP) 및 잠복성 조직성 폐렴이 포함됩니다. 협착성 - 호흡기 세기관지염(RB), 여포성 세기관지염(FB), 미만성 범세기관지염(DPB), 말소 세기관지염(OB). 증식성 세기관지염의 형태학적 기초는 상피 손상, 육아 기관지 및 폐포의 결합 조직 증식, 마송체 형성을 동반한 생산적 염증입니다.

병리조직학적 변화 협착성 기관지염이 있는 경우 생산적인 경화성 염증과 관련되어 상피 내막과 세기관지의 근육층 사이에 섬유 조직이 발달하고 이어서 내강이 좁아지고 벽 강성이 증가합니다(그림 1d). 일부 관찰에서는 섬유 조직의 증식으로 인해 세기관지가 완전히 폐쇄되었습니다.

쌀. 1. 세기관지염의 변종(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
a) 급성 괴사성 세기관지염, x 100
b) 폐렴을 조직화하는 폐쇄성 세기관지염, x 100,
c) 폐쇄성 기관지염, x 100;
d) 협착성 세기관지염, x 100;
e) 여포성 세기관지염, 40개;
e) 호흡기 세기관지염, x 100.

증식성 세기관지염의 경우 제한적인 유형의 외부 호흡 기능 장애와 폐 확산 능력의 감소가 특징입니다. HRCT는 폐 조직의 통합된 염증성 침윤을 나타냅니다. 협착성 세기관지염의 경우 폐쇄성 유형의 외부 호흡 기능 장애와 공기과잉 폐의 징후가 있습니다. HRCT에서는 폐기종의 징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병인

호흡기 바이러스, 박테리아, 무기 및 독성 물질은 섬모 세포 및 클라라 세포에 대한 향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Popper H.H. et al. 1986; Mc Donough K.A., Kress Y. 1995; Mistchenko A.S et al., 1998).

염증의 후기 단계에서 상피 세포를 손상시키는 바이러스는 파괴, 세포 증식 및 림프구 침윤을 유발합니다. 세균 감염은 PMN이 우세한 삼출성 염증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들 세포에서 엘라스타아제가 방출되면 상피와 결합 조직 기질이 손상됩니다. 벽의 섬유증 진행과 세기관지 내강 폐쇄를 초래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면역글로불린 G, A, M, 피브로넥틴, 인자 VII, X 및 피브리노겐의 축적이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PMN, 호산구, 대식세포, 림프구 및 비만세포는 염증 반응에 참여합니다(Peyrol S. et al., 1990). Masson 신체의 기질은 콜라겐 유형 III, 피브로넥틴, 프로콜라겐 I로 구성됩니다. 거품 대식세포는 폐포 일부의 내강에서 발견됩니다.

높은 농도의 산성 가스는 상피 세포의 괴사와 근육 세포의 경련을 유발합니다(Popper N.N. et al. 1986). 내인성 독성물질은 먼저 내피세포를 손상시켜 세기관지벽의 혈관투과성 증가로 간질부종을 일으키고, 이어서 저산소증으로 인해 상피세포가 손상되어 간질성 폐렴, 세기관지염이 발생한다(Popper N.N., 2000).

흡연은 특히 젊은 사람들에게서 기관지염 발병에 큰 역할을 합니다.

세기관지염의 임상 증상

진단은 병력, 임상상, 호흡 기능, 동맥혈의 가스 조성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기관지 폐포 세척액(BAF)의 세포질 분석도 분석하여 다른 병리를 배제합니다.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진단 방법은 개방형 폐 생검 중 폐 조직의 조직학적 검사입니다(Avdeeva O.E. et al., 1998, King T.E., 2000).

세기관지염의 임상상은 진행성 호흡 곤란이 지배적입니다. 처음에는 호흡곤란이 신체 활동 중에만 발생하고 이후 급속도로 진행됩니다. 이 병리의 두 번째 주요 증상은 비생산적인 기침입니다. 질병의 초기 단계에서는 하체에서 마른 천명음이 나타날 수도 있으며, 흡기 시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타납니다. 임상상은 본질적으로 "동결"된 경우가 많습니다. 때때로 질병은 경련적으로 발생합니다. 악화 기간은 증상의 안정화와 번갈아 나타납니다. 질병의 후기 단계에서 환자는 "파란 복어"로 변합니다(Burke C.M. et. al., 1984).

방사선학적으로 폐는 변화가 없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며 때로는 공기과다증이 눈에 띄고 경미한 국소 망상 파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 변화는 50%의 사례에서 폐에서 감지됩니다(Zompatory M. et al., 1997).

HRCT는 90%의 사례에서 폐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기관지 주위 염증 및 경화증, 육아 조직의 기관지내 증식으로 인해 기관지 벽이 두꺼워지고 HRCT 검사 중에 눈에 보일 수 있습니다. 세기관지염의 직접적인 징후로는 작은 분지형 혼탁과 중심 소엽 결절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징후는 관찰의 10-20%에서만 감지될 수 있습니다(Muller N., Muller R., 1995). 가장 흔한 간접적 징후는 기관지 확장증의 존재와 호기 시 투명도의 모자이크 감소이며, 변하지 않은 기관지는 더 조밀하고 영향을 받은 부위는 더 투명합니다. 때로는 "유사 젖빛 유리"의 징후가 있습니다.

세기관지염의 경우 폐 조직의 해체 및 파괴, 수포성 폐기종의 징후가 없으며 기관지 확장제 검사 중에 "에어 트랩"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수축성 세기관지염의 경우 폐쇄성 유형의 외부 호흡 기능 장애가 관찰됩니다. 즉 유량 곡선의 평탄화, 속도 유량 표시기의 감소, 정적 폐용적의 증가입니다. 방해는 되돌릴 수 없습니다. 증식성 세기관지염의 경우 중등도의 제한 징후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혈액 가스 분석 결과 저산소혈증과 저탄산증이 드러났습니다.

문헌은 호기 공기의 산화질소(NO) 함량에 대해 상충되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Lok S. et al. (1997)은 세기관지염에서 NO 농도의 변화를 발견하지 못한 반면, Verleden G.M. 외. (1997)은 NO 농도가 거의 2.5배 증가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세기관지염의 병리조직학적 형태

급성 세포성 세기관지염

이러한 유형의 세기관지염은 범기관지염 및 중기관지염으로 지칭되는 세기관지 벽 및 상피의 호중구 및/또는 림프구 침윤을 특징으로 합니다(Esipova I.K., 1975; Esipova I.K., Alekseevskikh Yu.G., 1994). 백혈구와 세포 찌꺼기는 세기관지의 내강에서 발견됩니다. 세기관지염 그룹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a) 위막성 또는 괴사성 세기관지염(PMB);

b) 육아종성 세기관지염(GB).

위막성 및 급성 괴사성 세기관지염 . 이러한 유형의 세기관지염은 기저막 손상 여부에 관계없이 상피 괴사에 기초합니다. 세포 침윤은 백혈구 또는 림프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지배됩니다 (그림 1a). 림프구는 바이러스 감염 중에 우세한 경향이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파라인플루엔자 및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작용으로 진정한 위막 피브린이 나타나며 이물질과 함께 세기관지 표면을 덮습니다. 또한, 피브린은 모세혈관 주변의 기저막 아래에 축적됩니다.

PMB는 이후 세기관지 내강이 폐쇄되면서 만성 폐쇄성 기관지염으로 전환됩니다. 또한, PMB는 고농도의 SO2, NO2, O3를 흡입할 때 발생합니다(Wang B. et al., 1999, Adamson I.Y., et al., 1999). 멘델스존 증후군에서도 동일한 유형의 세기관지염이 발생합니다. 세기관지 기저막이 손상되면 폐쇄성 세기관지염이 발생하여 폐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육아종성 세기관지염 - 상피의 포획 및 다양한 수준의 관강 협착증 형성과 함께 기관지 벽에 결핵성 및 유육종 육아종이 발생합니다.

기관지염 폐쇄증

괴사 과정이 세기관지 벽 전체를 포함하거나 벽 괴사의 병소, 즉 범기관지염 또는 중기관지염이 발생합니다(Esipova I.K., 1975, Popper N.N., 2000). 이러한 국소 괴사의 조직은 섬유질 조직이 폴립 형태로 내강으로 성장하게 합니다(그림 1c). 더욱이, 이러한 폴립에는 대식세포(종종 "색소침착"), 림프구, 섬유아세포 및 근섬유아세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폐렴을 조직화하는 기관지염 폐쇄증

이는 말단 기관지에서 시작하여 이후 호흡 기관지, 폐포관 및 주머니로 이동합니다. 폐포 손상은 마지막에 발생하며, 이 과정은 폐포간 격막에서 시작되지 않습니다. 세기관지염의 이 변종은 육아 조직이 세기관지와 폐포로 내부 성장하는 것이 특징입니다(그림 1b). Masson체는 폐포에 나타나고, 거품성 대식세포는 폐포의 일부에 축적되며 간질성 섬유증(국소 결절 형태)의 징후가 발견됩니다. 동시에, 호흡기 조직의 건축학은 꽤 오랫동안 보존됩니다. BOOP는 장기간 폐렴의 특발성 증상일 수 있으며 약물, 콜라겐 및 자가면역 질환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호흡기 세기관지염

RB는 7~9세에 흡연을 시작한 35세 이하의 흡연자(Niewhner D. et al., 1974)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RB의 형태학적 기초는 상피와 벽의 괴사가 없을 때 호흡 세기관지로 성장하는 육아 조직입니다(그림 1e). "색소화된" 폐포 대식세포는 내강으로 성장하는 육아 조직에 축적됩니다.

여포성 세기관지염

여포성 세기관지염은 어린이에게서 자주 발생하며(Kinane B.T. et al., 1996), 림프여포가 형성될 때까지 세기관지 벽의 림프조직 증식이 특징입니다(그림 1d). 세기관지 벽의 림프성 침윤이 폐쇄의 주요 원인입니다. S.A. Yousem 등(1985)에 따르면, FB는 다른 기관지염의 구성요소일 수 있습니다.

미만성 범기관지염

미만성 범기관지염(DPB)은 태평양 지역의 질병입니다. 이는 인간 백혈구 항원 HLA-BW-54 또는 염색체 6의 다른 HLA 유전자와 관련된 면역 반응의 발달을 특징으로 합니다(Iwata M. et al., 1994, Sugiyama Y. et al., 1990). 세균 감염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세기관지염이 있는 모든 환자에서 발생합니다. DLP에서는 양쪽 폐가 고르지 않게 영향을 받습니다. 조직학적으로 세기관지 벽에는 림프구, 형질세포, 단핵구/대식세포가 침윤되어 있습니다.

결론

기관지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증식성 기관지염과 협착성 기관지염에서는 임상 양상, 외부 호흡 기능 데이터, HRCT, 병리조직학이 다릅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세기관지염 과정의 급성(삼출성) 및 만성(생산성 경화성) 변종은 구별되며, 이는 별도의 형태와 단일 과정의 단계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만성 세기관지염 발병의 기초는 acinus zone의 전신 섬유증입니다.

문학:

1. Avdeeva O.E., Avdeev S.N., Chuchalin A.G. 폐쇄성 기관지염에 대한 현대적 생각 / 책 내용: A.G. Chuchalin. 만성 폐쇄성 폐질환.- M.: ZAO Binom, St. Petersburg: Nevsky Dialect, 1998.- P.462-478.

2. Esipova I.K. 병리학의 폐 - 노보시비르스크: Nauka, Sibirsk. 부서, 1975.-310 p.

3. Esipova I.K., Alekseevskikh Yu.G. 크고 작은 기관지의 구조적, 기능적 특징과 기관지에서 발생하는 염증 반응의 차이. // 아치. 병리학.- 1994, No. 4.- P.6-9.

4. Chernyaev A.L., Samsonova M.V. 기관지염 제거 / 책 내용 : A.G. Chuchalin. 만성 폐쇄성 폐질환.- M.: ZAO Binom, St. Petersburg: Nevsky Dialect, 1998.- P.381-384.

5. Chernyaev A.L., Chuchalin A.G. 세기관지염의 병리학적 해부학 및 분류 // 폐학. -2002.-2호.-P.6-11.

6. 아담슨 I.Y., 빈센트 R., 비야르나손 S.G. 오존 및 도시 미립자 흡입 후 쥐 폐의 세포 손상 및 간질 염증 // Am. J.레스피라. 세포 몰. Biol.- 1999.- Vol.20.- P.1067-1072.

7. 버크 C.M., 테오도르 J., 도킹 K.D. 외. 인간 심장-폐 이식에서 이식 후 폐쇄성 세기관지염 및 기타 후기 폐 후유증 // Chest.- 1984.- V.86.- P.824-829.

8. Epler G.R., Colby T.V., McDoud T.C. 등 기관지염 폐쇄성 폐렴 조직화.- N.Engl.J.Med.-1985.-v 312.- h.152-158.

9. 콜비 T.V. 세기관지염. 병리학적 고려 사항.//Am. J. 클린. Pathol.- 1998.- Vol.109.- P.101-109.

10. 이와타 M., 사토 A., 콜비 T.V. 미만성 범기관지염./ In: GR Epler (ed) 세기관지 질환. Raven Press, 뉴욕, 1994.- pp. 153-179.

11. Kinane T.B., Mansell A.L., Zwerdling R.G., Lapey A., Shannon D.C. 소아 집단의 여포성 세기관지염 / In: GR Epler (ed) 세기관지 질환. Raven Press, 뉴욕, 1994.- pp. 409-413.

12. 킹 T.E.Y. 세기관지염 // 간질성 폐질환 (ed. Oliveri D., de Bois R.M.) .-ER 논문 44.-2000.-v 5.-p.244-266.

13. Lok S.S., Adisesh A., 피커링 C.A. 외. 폐쇄성 세기관지염 증후군(BOS)이 있는 폐 이식 수혜자의 산화질소(NO) // Eur. Respir.J.- 1997, V.10.- Suppl. 25.-A0246.

14. McDonough K.A., Kress Y. 폐 상피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결핵균 // 감염의 독성 관련 표현형입니다. Immun.- 1995.- Vol.63.- P.4802-4811.

15. Mistchenko A.S., Robaldo J.F., Rosman F.C., Koch E.R., Kajon A.E. 새로운 게놈 유형과 관련된 치명적인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 J. Med. Virol.- 1998.- Vol.54.- P.233-236.

16. Muller N., Muller R. 기관지 질환: CT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 // 방사선학.- 1995.- V.196.- P.3-12.

17. Niewhner D., Kleinerman J., Rice D 젊은 담배 흡연자의 말초 기도의 병리학적 변화 // N. Engl. J. Med.- 1974.- Vol.291.- P.755-758.

18. 페이롤 S., 코디에 J.F., 그리먼드 J.A. 특발성 폐포내 섬유증

19. 기관지염 폐쇄증 - 폐렴 조직. 세포 매트릭스 패턴.- Am.J.Pathol. - 1990.-v.137. p.155-170.

20. 포퍼 H.H. 기관지염, 업데이트 // Virchows Arch. - 2000, v.437.- P.471-481.

21. Popper H.H., Juttner F.M., Pinter H. 위액 흡인 증후군(Mendelson). 돼지의 발병 및 치료 측면 // Virchows Arch. - 1986. - Vol. 409. - P. 105-117.

22. Sugiyama Y., Kudoh S., Maeda H., Suzaki H., Takaku F. 미만성 범기관지염 환자의 HLA 항원 분석 // Am. 신부님. 레스피라. 디스. -1990.- Vol.141.-P.1459-1462

23. Verleden G.M., Rochete F., Van Raemdonck D. 외. 폐 이식 환자의 호기 NO를 측정하는 역할이 있습니까? //유르. 레스피라. J.- 1997.- V.10.- Suppl.25.- A0245.

24. Wang B., Peng Z., Zhang X., Xu Y., Wang H., Allen G., Wang L., Xu X. 충칭의 비흡연 성인의 미립자 물질, 이산화황 및 폐 기능, 중국 // 국제. J.Occup. 환경. 건강.- 1999.- Vol.5.- P.14-19.

25. 웨이벨 T.R. 폐의 형태 측정.-Academic Press.-New-York.-1963.-258 p.

26. Yousem S.A., 콜비 T.V., 캐링턴 C.B. 여포성 기관지염 기관지염 // 흠. Pathol.- 1985.- Vol.16.- P.700-706.

27. Zompatory M., Poletti V., Rimoudi M. 외.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 촬영에 중점을 둔 작은 기도 질환의 영상 // Monalldy Arch. 흉부분열.- 1997.- V.52.- P.242-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