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성-위해성 비율을 평가합니다. 임상 약력학 NSAID 처방 시 위장병 발병 위험

현대 의약품에 대한 WHO 요구 사항(WHO, 2004)에 따르면 환자에 대한 유효성, 안전성, 접근성 및 수용성은 의약품의 위험/이익 비율을 평가하고 궁극적으로 약물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입니다. 약물을 의학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예상되는 치료 효과와 함께 부작용(AR)이 발생하고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AP 빅토로프, E.V. Matveeva, V.I. Maltsev, 우크라이나 보건부 주립 약리학 센터

;약물치료 중 환자에게 임상적 병리학적 변화가 등록되거나 실험실 및 도구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감지되는 경우 이러한 변화가 기저 질환으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PR 약물 개발의 증상인지에 대한 의문이 항상 제기됩니다.

저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의 의학적 사용 사례를 사용하여 유익성, 위험성, 위험성/혜택 비율을 평가하는 문제를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약리학 그룹의 약물의 다양한 의학적 특성으로 인해 지구상의 3분의 1 주민이 NSAID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장 자주 처방되는 범주에 속하게 되었습니다. 알려진 바와 같이, NSAID는 항염증제, 해열제, 진통제 및 항혈전제와 같은 다양한 치료 효과를 특징으로 합니다. 이는 아라키돈산을 프로스타글란딘(PG)으로 전환시키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 효소의 활성 억제와 관련된 일반적인 작용 메커니즘 때문입니다(그림 1).

현재 여러 COX 이소형의 존재가 알려져 있습니다. COX-1 – 체질적이며 정상적인 조건에서 혈관, 위, 신장 세포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COX-2는 유도성이 있으며 염증 동안 말초 조직에서 형성됩니다. NSAID의 주요 약력학적 치료 효과의 존재를 결정하는 것은 COX-2 활성의 억제입니다(그림 2).

동시에 위점막의 COX 억제와 PG 합성 억제는 혈액 공급을 방해하고 상피 박리를 가속화시켜 위액의 산성도와 소화 활동을 증가시킵니다. PG는 또한 사구체 여과, 레닌 분비 및 수분과 전해질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G 합성의 억제는 다양한 신장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신장 병리가 동반된 개인의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이러한 작용 메커니즘으로 인해 트롬복산의 합성도 변경되어 혈액 응고 시스템과 프로스타사이클린의 변화가 발생합니다. 프로스타사이클린 형성의 억제는 특히 노인 및 노인 환자의 경우 심혈관계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COX 활성의 감소는 아라키돈산 대사를 리폭시게나제 경로로 전환시켜 류코트리엔의 과다생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그림 3). 후자는 NSAID를 투여받은 일부 환자에서 즉각적인 과민증으로 인한 기관지 경련 및 기타 부작용의 발생을 설명합니다.

따라서 NSAID는 뚜렷한 치료 효과와 부작용을 모두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NSAID의 사용 사례를 통해 약물의 의학적 사용에 있어 위험, 이점 및 이들의 관계를 평가하는 원칙적인 접근 방식의 가능성을 입증할 수 있습니다.

약물 사용시 이점 평가

약물 사용의 이점을 결정하는 기준:

  1. 치료(회복) 정도,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 개선, 약물이 사용된 질병의 증상 중증도 감소
  2. 약물 투여에 대한 신체 반응의 강도;
  3. 약물의 작용 기간.

우리는 고열, 통증 및 염증 증상의 치료에 NSAID를 사용하는 예를 사용하여 약물 사용의 이점을 평가할 것을 제안합니다.

고열을 줄이거 나 제거하려면 아세틸 살리실산, 이부프로펜 및 파라세타몰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약물을 사용하면 10-15분 후 4-6시간 이내에 체온 상승이 감소하고 환자의 건강이 크게 향상됩니다. 물론 약물 사용에 대한 이 환자의 반응은 긍정적으로 평가되므로 고열 증후군 치료에 이러한 NSAID를 널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선진국에서는 인구의 70% 이상이 급성 및 만성 두통을 호소하고 있으며, 성인 인구의 약 20%, 노인 및 노년층의 최대 60~80%가 통증으로 인해 활동적인 생활 방식을 영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골관절염을 변형시킴으로써. 임상 실습에서 근골격계 질환은 동맥 고혈압 다음으로 빈도가 두 번째로 높으며 전체 의사 방문의 27%를 차지합니다. 류마티스성 기원의 관절 손상과 관련된 통증은 대부분 만성적이며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년, 때로는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선택적 NSAID(멜록시캄, 테녹시캄, 셀레콕시브 등)와 비선택적 NSAID(디클로페낙 나트륨, 인도메타신, 니메술리드 등)가 널리 사용됩니다. 이를 사용하면 관절통의 중증도 감소 또는 제거, 아침 강직의 강도 및 지속 시간, 영향을 받은 관절의 이동성 향상이 동반됩니다. 따라서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 그의 활동 및 삶의 질의 개선은 궁극적으로 NSAID의 유익한 효과로 간주됩니다.

모든 약물의 처방은 의학적 사용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는 사실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환자를 도우려는 최선의 의도에 따라 의사는 이러한 지시 사항을 무시하고 자신의 임상 경험에만 의존하여 약물을 처방해서는 안됩니다. 후자는 예상되는 치료 효과가 부족할뿐만 아니라 건강에 위험한 상황, 때로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동시에, 약물의 이점 부족에 대한 모든 불만은 근거가 없으며 약물의 이점 또는 그 부족에 대한 평가는 객관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없습니다.

치료 효과를 기대하고 약물의 이점을 평가하기 위해 약물을 처방할 때, 의사는 약물 지침에 아직 포함되지 않았거나 전문 의학 간행물에 이미 보고된 내용을 포함하여 새로 확인된 약물이상반응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규제 당국 및 제약 회사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이 정보를 통해 귀하는 약물의 효과와 의료 사용의 이점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한 위험을 고려하여 보다 균형 잡힌 방식으로 약물 처방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약물 사용시 위험 평가

위험 평가는 약물 사용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환자의 위험을 식별, 확인, 특성화 및 정량화하는 데 필요한 단계별 프로세스입니다.

약물의 위험 평가는 포괄적이어야 합니다. 이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약물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불리한 순간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의사가 약을 처방할 때는 이미 확인된 위험을 고려해야 합니다. 약물의 약력학적 효과를 특정 위험 요인과 비교해야만 의사는 약물 사용 시 위험 정도에 대한 객관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우선, 약물을 처방할 때 PR 발생 위험군에 속하는 환자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것들은:

  • 어린이(특히 미숙아 및 신생아), 노인 및 노년층(여권에 따른 연령이 생물학적 연령과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님), 임산부
  • 간 및 신장 손상 환자, 즉 약물이나 그 대사산물의 생체변환과 배설이 일어나는 기관;
  • 복잡한 병력(알레르기 등)이 있는 환자;
  • 장기간 약물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
  • 동시에 4가지 이상의 약물을 투여받는 환자(약력학 및 약동학 과정의 발달이 예상치 못한 경우)
  • 동일한 이상반응을 일으키는 약물을 투여받는 환자.

약물의 위험성을 평가할 때, 약물의 작용 기전, 약력학, 약동학, 잠재적인 이상반응, 금기사항, 투여경로, 용법,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투여대상 환자의 연령 등을 고려해야 한다. 약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약품 설명서에 포함된 정보를 무시하면 약품 사용의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여 처방의 이점과 편의성에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PR을 평가할 때 의사는 다음을 수행해야 합니다.

  • 처방약의 특징적인 이상반응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 PR 약물의 가능한 개발을 제공합니다.
  • PR의 임상적 발현의 시작에 적시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를 질병의 증상과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 PR 약물의 진행을 방지하려고 노력하십시오.
  • 새로운 의원성 질환의 출현을 예방합니다.
  • 다약제 사용을 피하세요.
  • 가능하다면 약력학 및 약동학 매개변수가 동일한 약물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 필요한 경우 대체 요법을 사용하여 특정 약물 처방을 거부하십시오.

우리는 NSAID 처방의 예를 사용하여 약물의 위험을 평가할 것을 제안합니다.

  1. 입증된 위험 요소:
    • 65세 이상;
    • 위장(GIT) 병리 병력(위 또는 십이지장 궤양, 위장 출혈);
    • NSAID를 고용량으로 복용하거나 여러 NSAID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환자에게 두 가지 다른 NSAID를 동시에 처방하는 것은 치료 효과의 증가가 거의 달성되지 않고 부작용이 강화되기 때문에 비합리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 NSAID와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동시 사용;
    • 항응고제 및 항혈소판제를 사용한 복합 요법;
    • 치료 기간 – PR이 발생할 위험은 약물 복용 첫 달에 가장 높습니다. 미래에는 아마도 적응 메커니즘이 포함되어 위장 점막이 NSAID의 손상 효과를 견딜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될 것입니다. 우크라이나 보건부 국립약리센터에 따르면,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우크라이나에서. NSAID 치료 첫 달에 ADR은 97.5%의 사례에서 발생했고, NSAID 치료가 1개월 이상 지속된 경우에는 2.5%의 사례에서만 발생했습니다.
  2. NSAID의 특징적인 ADR(위장병변, 이독성, 간독성, 신독성, 과민반응).
  3. 가능한 위험 요인:
    • NSAID의 장기간 사용이 필요한 결합 조직 질환(류마티스 관절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의 존재;
    • NSAID에 대한 여성의 민감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크라이나 보건부의 주립 약리 센터에 따르면 1996-2006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NSAID의 의학적 사용으로 인해 ADR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거의 2배 더 자주 발생했습니다(각각 65.2% 및 34.8%).
    • 흡연;
    • 알코올 남용/소비;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따라서 흡연, 알코올 남용과 같은 나쁜 습관이 없고 위장병이 동반되지 않은 65세 미만의 남성이 NSAID 중 하나로 단독 요법을 받는 경우 이 약물을 사용할 위험이 최소화됩니다.

약물 사용의 위험은 의사에 의해서만 평가되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의약품의 일반적인 위험 평가는 의약품 제조업체(또는 그 대리인)와 규제 당국이 수행합니다. 다음을 포함한 모든 정보 소스가 고려됩니다.

  • ADR에 대한 자발적 보고로부터 얻은 데이터;
  • 약품 제조업체(또는 그 대리인)가 자금을 지원하거나 지원하지 않을 수 있는 실험 및 임상 연구의 결과로 얻은 부작용에 대한 정보
  •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실험실 실험;
  • 문헌 데이터;
  • 선천적 기형/기형 등록;
  • 판매량 및 약물 사용에 대한 정보.

또한, 위험성을 평가할 때에는 이상반응과 의심약물 사이의 인과관계 유무, 이상반응의 중증도 및 빈도, 특정 위험인자의 유무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의약품 사용 시 위험/이익 비율의 전반적인 평가에 영향을 미치거나 미칠 수 있는 의약품의 부작용에 대한 가능한 위험 요인이 확인된 경우, 의약품 제조업체(또는 그 대리인)는 다음을 수행할 의무가 있습니다. 안전성 프로필을 연구하기 위한 적절한 연구.

우크라이나 보건부 산하 국가 약리학 센터는 이미 그러한 연구를 수행한 경험을 축적했으며 그 중 일부 결과는 아래에서 논의됩니다. 현재 다양한 약물의 안전성 프로필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그러한 시험은 해당 시험에 포함된 환자에게 허용할 수 없는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 한 위험의 성격과 발생 빈도를 조사합니다.

문제가 발생합니다. 부작용의 위험 정도와 약물 사용과 관련된 위험을 정량화하는 것이 가능합니까? 오늘날 약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고정된 지표는 없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개별 약물에 대해 일반적인 위험 평가를 통해 특정 빈도로 예상되는 하나 이상의 ADR 발생에 대한 데이터가 있습니다. 약물 사용 시 위험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는 부작용 발생률이며, 이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ADR의 빈도를 평가하는 특정 기준이 있으며, 이를 통해 ADR의 위험 정도와 약물 사용 시 위험을 어느 정도 평가할 수 있습니다. WHO 전문가들은 선천적 결함의 빈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 기준을 확인합니다.

  • 10% 이상– PR은 다음과 같이 간주됩니다. 매우 자주;
  • 1-10% 이내– PR은 다음과 같이 간주됩니다. 잦은;
  • 0,1-1% – PR은 다음과 같이 간주됩니다. 드문;
  • 0,01-0,1% – PR은 다음과 같이 간주됩니다. 희귀한;
  • 0.01% 미만– PR은 다음과 같이 간주됩니다. 희귀한 .

약물이 어떤 범주로 분류되는지에 따라 약물의 의학적 사용에 대한 위험 정도가 허용 가능 또는 허용 불가능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 중 발생하는 이상반응이 빈번하거나 매우 빈번한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약물 사용의 위험 정도는 허용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위험/이익 비율도 허용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는 의약품 제조업체(또는 그 대리인)가 의약품 시장에서 의약품을 철수하고 이에 대해 규제 당국과 의료계에 통보해야 합니다.

전 세계에 충격을 준 특정 약물 사용의 비극적 결과의 예로 탈리도마이드(1957-1961) 및 디에틸스틸베스트롤(1971)과 같은 약물을 언급할 수 있습니다. 임산부에게 탈리도마이드를 투여하면 태아 독성이 발생하고 디에틸스틸베스트롤은 태아에 발암성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탈리도마이드 사용의 결과로 약 11,000명의 영아가 음성비대증(근위 사지의 비정상적인 발달; 그리스어 phoke - 물개 및 멜로스 - 사지)을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임산부가 디에틸스틸베스트롤을 사용하면 나중에 태어난 여아에게 질의 악성 신생물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해당 약물의 사용 적응증을 수정하고 대상 그룹을 변경하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약물 등록에 대한 현대적인 요구 사항을 통해 우크라이나를 포함한 제약 시장에서 해당 약물의 출현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전임상 및 임상 연구는 매우 빈번하거나 빈번한 ADR을 유발하는 약물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후자는 광범위한 의료 행위에서 약물의 추가 사용과 관련하여 인류의 대규모 비극을 피하기 위해 그러한 연구 수행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의학적 사용 중 부작용 발생이 드물거나, 드물거나 흔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는 의약품은 안전한 것으로 간주되며, 처방에 따른 위험도도 허용 가능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드물고 빈번하지 않은 ADR이라도 의약품 생산 중단 및 판매 철회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이 있습니다. 브롬페낙(1997-1998)이라는 약물의 사용이 그 예입니다. 따라서 이 약을 복용한 250만 명 중 20명의 환자가 심각한 이상반응을 경험했습니다. 4명의 환자는 간손상으로 사망했고, 9명의 환자는 간이식을 받았는데, 이는 브롬페낙 생산 중단과 의약품 시장 철수의 계기가 됐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이상반응 발생률이 0~0.005%인 약물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 안전한 약물로 분류된다.

약물 사용 시 위험, 이익 및 위험/이익 비율 평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약물에는 허용 가능한 위험도와 허용할 수 없는 위험도가 있습니다.

  • 높은 사망률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할 때, 치료와 관련된 이익이 약물 사용의 위험보다 크다는 것이 입증되면 심각한 부작용의 위험이 높아도 허용될 수 있습니다.
  • 만성 질환 또는 장애 관련 질병 예방에 사용되는 약물의 경우, 환자의 예후 또는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되면 사용 시 일정 수준의 위험이 허용될 수 있습니다.
  • 약물 사용의 주요 이점이 심각한 질병 (응급 상황) 치료에서 증상의 심각도를 줄이는 데 나타나는 경우 또는 환자 자신의 이익뿐만 아니라 이익을 위해 치료가 수행되는 경우 사회 (예방 접종).

약물 사용 시 위험/이익 비율 평가와 관련된 문제를 결정할 때 의사는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NSAID를 처방할 때 다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1. 각각의 특정 경우에 최적의 효과와 작용 기간을 가진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급성 염증의 경우에는 진통 효과가 뚜렷한 NSAID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급성 치통이나 두통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면 메타미졸나트륨이나 아세틸살리실산을 1회 복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통증을 동반하는 결합 조직의 염증성 질환에 대한 장기 약물요법의 경우, 선택 약물은 디클로페낙 나트륨, 니메술리드, 멜록시캄입니다.
  2. 위장병의 존재. 위장관에서 PR이 발생할 위험이 큰 경우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NSAID와 동시에 약물을 처방하거나 선택적 COX-2 억제제를 사용해야합니다.
  3. 위장관의 ADR 위험은 NSAID를 사용하는 첫 달에 최대이며, NPV 복용 용량이나 기간을 늘리면 ADR 발생 가능성도 높아집니다(그림 4).
  4. NSAID를 처방할 때 모든 위험 요소: 수반되는 질병, 여러 약물의 병용 필요성(가능한 경우 환자의 연령, CR이 유사할 수 있음). 후자는 65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출혈로 인한 위십이지장 궤양의 최대 70%가 치명적이라는 사실 때문에 특히 중요합니다. 위험 요소의 수가 증가하면 NSAID 치료 중 심각한 위장관 합병증의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합니다(그림 5).
  5. 다양한 NSAID를 복용할 때 PR이 발생할 위험은 동일하지 않으므로 대체 약물 처방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선택적 NSAID는 비선택적 NSAID와 달리 위장관, 관절 연골, 신장, 간 및 기관지의 상태와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동시에, 선택적 COX-2 억제제를 사용하는 경우, 특히 심혈관계 병리가 동반된 노인 및 노인 환자의 경우 혈전증의 위험이 더 커집니다. 고용량의 메타미졸 나트륨을 장기간 사용하면 무과립구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의 내용은 일부 NSAID의 복용량 요법, 연령 그룹 및 사용 기간을 명확하게 하는 결정을 내리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6. 약물을 사용하는 방법. NSAID 투여 방법이 ADR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절대적인 보장이라는 오해가 있습니다. 예외는 NSAID의 로컬 사용으로, 이는 상대적으로 PR 개발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NSAID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로 인해 전신 병리학적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의사는 대체 국소 치료법(도포제, 연고, 연고)의 형태로 NSAID를 처방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우크라이나 보건부의 주립 약리 센터에 따르면 1996-2006년 동안. NSAID를 비경구적으로 사용하면 41.6%의 사례에서 PR의 발생이 관찰되었고, 경구 사용의 경우 55.7%에서 NSAID의 국소 사용으로 인해 0.6%의 사례에서 PR이 발생했습니다.
  7. 준수, 즉 의사는 처방약의 부작용, 가능한 결과에 대해 환자에게 알리고 환자가 그를 올바르게 이해했는지 확인할 의무가 있습니다.
  8. 약물 상호작용의 결과.

예상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배치"되는 "척도"가 약물 사용으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의 "척도"보다 크다면 그 사용은 최적이고 정당하며 ​​안전할 것입니다. 반대로 그러한 약을 처방하는 것이 부적절한 경우.

약물 사용 시 위험/이익 비율 개선

위험/이익 비율을 최적화하는 데 있어 주도적인 역할은 의약품 제조업체에 있습니다. "... 등록 인증서 보유자 또는 그의 대리인은 개별 의약품에 대해 가능한 가장 낮은 위험/이익 비율을 달성하고 위험한 결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 약의 의학적 사용은 이 약을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처방으로 인한 이익을 초과하지 않습니다. 약물의 위험/이익 프로필은 단독으로 고려할 수 없으며, 동일한 질병을 치료하는 다른 방법의 유사한 특성과 비교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전임상 및 임상 시험 단계와 약물의 의학적 사용 중 위험/이익 비율은 이익을 높이거나 위험 요소를 최소화하여 위험을 줄임으로써 개선될 수 있습니다.

  • 전임상 단계 - 결정 금기사항, 용량 요법 개발 등;
  • 임상 시험 중 - 위험에 처한 환자 식별 또는 치료 중 통제 강화, 기타 위험 요인 식별
  • 약물의 의학적 사용 – 약물 안전성에 대한 등록 후 모니터링.

약물의 위험/이득 프로필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제안할 때(예를 들어, 해당 약물로 이익을 얻을 가능성이 가장 높거나 대체 치료법이 없는 환자 그룹으로만 약물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일상적인 사용 조건에서 그러한 조치의 타당성을 고려합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합리적인 약물치료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 외에도 위험/이익 비율을 평가하는 것은 의료용으로 승인된 약물의 안전성을 모니터링하는 데 있어 제조업체(또는 그 대리인), 의사 및 규제 당국 간의 효과적인 상호 작용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사용. 의약품 안전성에 대한 등록 후 모니터링 데이터(의사로부터 받은 정보, 의약품 안전성 연구 결과)와 그에 기초하여 도출된 결론을 고려하여 의약품 제조업체(또는 그 대리인)는 자발적으로 또는 다음의 결정에 따라 결정합니다. 규제 당국은 현행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약물의 의학적 사용 지침과 적응증, 복용량 요법에 관한 권장 사항, 금기 사항 및 예방 조치에 관한 환자 전단지를 적절하게 변경합니다.
  • 광고 자료를 변경합니다.
  • 의료 사용 지침에 포함된 약물 사용의 안전성에 관한 최신 정보를 의사에게 제공합니다(예: 정보 편지를 보내거나 게시판, 전문 저널 등에 정보를 게시하는 방법).

우크라이나에서는 등록 후 기간에 의약품의 안전성을 모니터링한 결과, 의약품의 의학적 사용에 있어서 위험/이익 비율을 개선한 경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2003-2005년 동안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합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니트로푸란 계열 약물에 대한 안전성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의료 사용 지침이 적절하게 변경되었습니다. 첫째, 이 약리학군의 모든 약물은 처방군으로 분류되어 처방전을 가지고 약국에서 조제되어야 합니다. 둘째, 니트로푸란 사용에는 연령 제한이 있습니다. 어린이는 3세 이상의 어린이에게만 니트로푸란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셋째, 푸라실린 정제 형태의 경구 사용은 금지됩니다.

2005~2006년 우크라이나에서 실시된 rofecoxib의 안전성 연구 결과는 의료 사용 지침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1. 일일 최대 복용량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2. 사용 금기 사항에는 심혈관계 위험 증가(이전 심장마비, 뇌졸중, 죽상경화증의 진행성 임상 형태)가 포함됩니다. 65세 이상.

2006년에는 우크라이나에서도 치오리다진에 대한 안전성 연구가 실시되었습니다. 그 결과는 티오리다진을 함유한 약물의 투여 요법 및 사용 적응증과 관련된 지침을 변경하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규제 당국, 의약품 제조업체 자체(또는 그 대리인) 및 문헌 데이터가 받은 의약품의 안전성에 대한 등록 후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메타미졸 나트륨 및 겐타마이신 의약품의 의학적 사용 지침이 변경 및 추가되었습니다. .

따라서 메타미졸 나트륨과 그 결합 형태를 포함하는 약물의 의학적 사용에 대한 지침의 새 판에는 다음이 표시됩니다.

a) 정제 형태로 처방되는 어린이의 연령 제한 - 최대 12세

b) PR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환자 그룹(알레르기 병력, 혈액 질환, 간 및 신장 기능 장애);

c) 이들 약물의 지속적인 사용 기간은 모든 연령층에서 3일을 넘지 않습니다(성인의 평균 치료 용량은 0.5 -1.0g).

황산겐타마이신 제제의 경우 의료 사용 지침이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a) 이 약을 처방받는 아동의 연령을 최대 3세로 제한합니다. 3세 미만 어린이의 경우 겐타마이신은 건강상의 이유로 6.0-7.5mg/kg/일, 8시간마다 2.0-2.5mg/kg의 용량으로 독점적으로 처방됩니다.

b) "금기 사항" 섹션이 추가되었습니다. "심각한 신장 및 청력 손상, 겐타마이신 또는 기타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생제에 대한 미생물의 민감성 증가";

c) 겐타마이신을 복용하는 동안 신장 및 청력 기능에 대한 예방 조치 및 모니터링이 표시됩니다.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약물의 복용량은 최대 허용치(12mg/ml)를 초과하지 않는 혈중 겐타마이신 농도를 보장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상태에서 이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피";

d) 섹션에서 "응용 프로그램 기능"탈수증과 노인 및 노년층의 경우 이독성이 증가하므로 환자에게 충분한 양의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사실에 주목합니다. 내성이 나타나면 항생제를 중단하고 다른 적절한 치료법을 처방해야 합니다.

생산하는 약물의 안전성을 적절하게 모니터링하는 제약 회사 활동의 최신 사례 중 하나는 오셀타미비르 약물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 상황입니다. 이 약은 인플루엔자를 치료하고 예방하는 데 사용됩니다. 오셀타미비르 임상시험 중 이상반응은 오심, 구토였으며, 현기증, 두통 등의 신경학적 증상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주로 일본에서 수집된 시판 후 감시 데이터에 따르면 특히 어린이의 경우 의식 장애(섬망) 및 자해가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확인된 ADR이 약물유전학적 특징과 연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006년 11월 해당 약물 제조업체는 오셀타미비르 사용으로 인한 신경정신 장애의 잠재적 위험에 관한 의료용 사용 지침/전단지의 변경 사항을 보건 당국에 통보하고 해당 데이터를 공식 웹사이트에 게시했습니다.

약물 안전에 대한 등록 후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우크라이나 보건부는 결정에 따라 우크라이나에서 다음 약물의 생산 및 의료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페나세틴; 혈액증; 에틸렌디아민을 안정제로 사용한 아미노필린; 카바카바를 함유한 제제.

절대적으로 안전한 약물은 없다는 주장은 최신 약물을 포함한 모든 약물에 적용됩니다. 위험/이익 기준에 따라 다양한 프로필의 환자 치료를 위한 약물을 선택하면 의사는 종종 고대 그리스 신화의 영웅이 직면한 딜레마, 즉 끔찍한 괴물인 실라와 사이에서 헤엄치는 방법을 해결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주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harybdis는 환자의 적절한 삶의 질을 보장합니다.

위의 내용은 신체, 환경, 약물의 특성 요인의 영향을 고려하여 환자를 치료할 때 의사가 약물을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가능한 성격에 대한 지식 수준을 높일 것입니다. 위험/이익 비율을 평가할 때 약물 사용으로 인한 이점이 우선시됩니다.

참고문헌 목록은 편집실에 있습니다.

이 장을 공부한 결과, 학생은 다음을 수행해야 합니다.

알다

  • 약물의 작용 메커니즘;
  • 약물 부작용, 약물 상호 작용의 진단, 교정 및 예방 원칙;
  • 아동 신체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특성과 이것이 약물의 약동학 및 약력학에 미치는 영향

가능하다

  • 원치 않는 약물 반응을 예방합니다.
  • 약물과 음식, 알코올의 상호 작용을 예측합니다.
  • 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위험 요인을 예방합니다.
  • 특정 질병 치료를 위한 약물 조합을 평가합니다(위험, 잠재적 위험, 무관심, 합산, 강화, 길항 작용).
  • 합리적이고 비합리적이며 위험한 약물 조합을 식별합니다.
  • 약동학과 약력학 사이의 관계를 찾아보세요.

기술이 있다

  • 약물 유해 반응 발생에 대한 위험 요소를 식별합니다.
  • 진단, 응급처치, 약물의 독성 효과 치료의 기본 원칙 적용;
  • 약물 상호작용 유형 예측;
  •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약물의 가능한 약력학적 상호작용(직접 및 간접)의 사용;
  • 어린이를 위한 약물의 복용량을 계산합니다.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 금단 증후군

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유전공학 방법을 사용하여 차세대 약물의 생산이 보장되었습니다. 의약 물질의 합성 및 정제 방법이 개선되고 있으며, 효과 지속 시간이 조절된 새로운 제형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약물의 특정 활성을 증가시키는 과정이 항상 안전성의 증가를 동반하는 것은 아닙니다. 반대로, 약물 합병증의 수와 심각도는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WHO 전문가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 주민의 약 1%가 약물 치료의 합병증으로 사망합니다. 미국 의사들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네 번째 환자 중 네 번째 환자가 약물 합병증으로 인해 입원했습니다. 다양한 약물을 투여받는 환자의 4~29%에서 약물이상반응이 관찰됩니다. 이들 환자 중 절반에서는 이상반응으로 인해 치료가 중단되고, 3분의 1에서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동시에 투여되는 약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부작용의 빈도가 증가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여러 약물의 사용과 장기간의 치료 과정이 필요한 병리학(악성 신생물, 심장 질환, 정신 질환, 일부 감염)에서 관찰됩니다. 무면허 및 오프라벨 의약품을 사용하면 부작용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약물의 가장 흔한 부작용: 독성 효과, 부작용, 알레르기 반응, 가능한 알레르기 반응. WHO 정의에 따르면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ADR)에는 질병의 치료, 진단 및 예방을 위해 약물을 사용할 때 신체에 해롭고 바람직하지 않은 약물에 대한 모든 반응이 포함됩니다. WHO의 제안에 따라 APD를 설명하기 위한 통일된 용어가 제안되었습니다.

  • 1. 부작용– 정상 용량으로 사용 시 약리학적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약품의 의도하지 않은 효과.
  • 2. 약물유해반응(ADR)– 인간 생리적 기능의 예방, 치료, 진단 또는 변형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 용량의 의약품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해하고 예상치 못한 영향.
  • 3.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약물 치료 중에 발생하며 약물 사용과 반드시 ​​인과관계가 있는 것은 아닌 모든 부작용.

약물의 약리학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효과)의 예는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3.1.

1971년에 L. Klugg는 약물 투여에 대한 다음과 같은 병리학적 반응 그룹을 확인했습니다.

  • 1)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고 환자의 입원 기간을 늘리지 않는 경미한 약물 반응
  • 2) 특별한 치료와 장기간의 입원이 필요한 중등도의 반응;
  • 3)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반응;
  • 4) 치명적인 반응.

심각하고 치명적인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위장 출혈 및 소화성 궤양의 기타 합병증(글루코코르티코이드, NSAID, 항응고제 사용 시)
  • 기타 출혈(세포 증식억제제 사용 시);
  • 재생 불량성 빈혈 및 무과립구증 (클로람페니콜, 세포 증식 억제제, 금 제제, 피라졸론의 NSAID 유도체 처방 포함);
  • 간 손상(항결핵제 및 향정신성 약물, 세포증식억제제, 테트라사이클린);
  • 항균 약물(특히 페니실린 그룹) 및 노보카인에 대한 아나필락시스 쇼크;
  • 신장 손상(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사용 시);
  • 면역억제(세포증식억제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쌀. 3.1.

원인병원성 원리에 따른 분류(V. G. Kukes, 2004)

  • 1. 독성 반응.
  • 1.1. 약물 농도의 절대적인 증가(약물 과다 복용).
  • 1.2. 약물의 약동학 또는 약력학(표적 세포)의 유전적 변화로 인해 약물 농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것입니다.
  • 1.3. 장기 및 시스템의 병리학에 수반되는 약동학의 비유전적 변화, 동시에 처방될 때 여러 약물의 상호작용, 표적 분자의 민감도 손상으로 인한 약력학의 비유전적 변화.
  • 1.4. 약물 농도에 큰 변화가 없는 장기간 반응(기형 유발 및 발암성).
  • 2.1. 직접적인 약력학적 부작용(헤파린은 출혈을 유발하고, β-차단제는 기관지 경련을 유발하고, 부신 호르몬은 면역 결핍을 유발하고, 아트로핀은 구강 건조를 유발합니다).
  • 2.2. 간접적인 약력학적 부작용 - 중복 감염 및 이상균증; 금단 증후군; 마약 중독.
  • 3. 진정한 알레르기 반응.
  • 4. 유사 알레르기 반응.
  • 5. 특이성 - 약물의 첫 번째 투여에 대해 유전적으로 결정된 왜곡된 약리학적 반응입니다.
  • 6. 심인성 이상반응.
  • 7. 의원성 부작용.

매우 빈번한 PLR은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의 10% 이상에서 발생합니다. 빈번한 PLR은 환자의 1-10%에서 발생하고, 덜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 환자의 0.1-1%에서, 드물게 – 0.01–0.1%에서, 매우 드물게 – 0.01% 미만에서 발생합니다.

약물의 부작용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신뢰할 수 있음 - 약물 복용 중에 발생하고, 중단 후 사라지고, 재투여 시 다시 나타납니다.
  • 가능 - 복용 중 발생하고 중단 후 사라지지만 약이 다시 처방되지 않으므로 처방과 복용 중 발생한 증상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 못 미더운:
    • a) 치료 중에 나타나고, 치료 중에 사라지며,
    • b) 치료 중에 발생하지만 무작위성을 배제하기는 어렵습니다.

많은 과학자들이 아래 주어진 체계적 원리에 따라 PD 약물을 배포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 1. 다발성 장기 장애: 아나필락시스, 혈관부종, 혈관염, 약물 유발 SLE, 악성 신경이완 증후군 및 악성 고열, 발열, 혈관부종, 혈청병.
  • 2. 내분비 장애 : 애디슨병과 유사한 증후군, 유즙분비(때때로 무월경), 여성형 유방, 사정 장애, 지속발기증, 성욕 및 효능 장애, 정자 형성 및 난자 형성 억제, 갑상선 기능 장애, 가역적 부신 부전, 질암.
  • 3. 대사 장애 : 고빌리루빈혈증, 고칼슘혈증, 고혈당증 및 저혈당증, 고칼륨혈증 및 저칼륨혈증, 고요산혈증, 저나트륨혈증(염분 고갈로 인한 혈액 희석으로 인해), 대사성 산증, 포르피린증 악화.
  • 4. 피부 병변 : 두드러기, 탈모증, 습진, 접촉성 피부염, 피부 괴사, 여드름, 출혈성 발진, 색소침착과다, 다모증. 다형성 홍반 또는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라이엘 증후군, 손톱 손상, 레이노 증후군 가능성이 있습니다. 발진(편평 태선과 유사), 결절성 홍반, 박리성 피부염(홍피증), 지속성 약물 발진(고정성 독성 피부증), 태선 발진, 광피부염, 광독성 및 광알레르기 반응, 자반증, 비특이적 발진(기타 유형), 표피 독성 괴사(수포성).
  • 5. 혈액학적 장애 : 무과립구증(표 3.1), 응고 장애 또는 저트롬빈혈증, 호산구 증가증, 용혈성 빈혈(글루코스-6-인산탈수소효소 결핍 포함), 백혈구 증가증, 림프절병증, 거대적아구성 빈혈, 범혈구감소증(재생 불량성 빈혈), 단독 적혈구 계통 무형성증, 혈소판 감소증. 적혈구 생성을 방해하는 약물이 표에 나와 있습니다. 3.2.

표 3.1

무과립구증을 가장 자주 유발하는 약물 그룹

약리학 그룹

메타미졸, 페닐부타존,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 아세트살리실산, 파라세타몰

페니실라민

항염증 기초의약품

클로르프로마진, 이미프라민

항우울제

카르바마제핀, 발프로산

항경련제

메브하이드롤린(디아졸린)

항히스타민제

시메티딘, 라니티딘

항분비제(Η1-히스타민 차단제)

세팔로스포린, 설폰아미드, 클로람페니콜(레보마이세틴), 그리세오풀비아, 암포테리신

항균 및 항진균제

이뇨제

클로르프로파미드

캡토프릴, 에날라프릴

ACE 억제제

티클로피딘

경구용 항응고제

표 3.2

적혈구 생성을 방해하는 약물

  • 6. 심혈관 질환 : 협심증, 부정맥, 방실차단, 흉통(비허혈성), 심근병증. 체내 체액 정체 또는 울혈성 심부전, 동맥 저혈압, 동맥 고혈압, 심낭염 및 심낭 삼출, 혈전색전증. 클래스 1a 및 3의 항부정맥제는 봉쇄 및 부정맥의 발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삼환계 항우울제, 디곡신, 프로카인아미드 – 심근 허혈; 메틸크산틴 및 디피리다몰 - 도용 증후군(심근의 허혈성 부위에 대한 혈액 공급 저하). 간 질환 환자에게 시토크롬 P450 3A4 억제제(에리스로마이신, 클라리스로마이신, 케토코나졸, 퀴니딘)와 항히스타민제를 동시에 투여하면 간격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 질문 – 티. 간격 연장 질문 – 티 약물 복용에 대한 반응으로 0.3~0.6cm/s씩 증가하면 주의가 필요합니다. 0.6cm/s 이상의 증가는 "피루엣" 유형의 다형성 심실성 빈맥이 발생할 절대적 위험으로 간주됩니다.
  • 7. 호흡기 기능 장애 기관지경련, 폐침윤, 기침, 폐고혈압, 기도폐색, 폐부종, 코점막 부종, 호흡억제. 콜린유사제, β-차단제, 금염, 아세틸시스테인, 교감신경억제제, NSAID는 기관지 폐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ACE 억제제와 크로모글리산은 생체 아민의 대사를 방해하고 기침을 유발합니다. 항생제, 설폰아미드, 니트로푸란을 사용하면 호산구성 침윤이 발생합니다. 아미오다론이 처방되면 그 대사산물이 폐포 대식세포의 리소좀 지질과 결합하여 폐포에 침착된 인지질의 대사를 방해합니다. 결과적으로 아미오다론 폐가 발달합니다.
  • 8. 위장 장애 : 담석, 담즙의 비후 및 정체, 담즙울체성 간염, 독성 간 손상, 담즙울체성 황달, 미만성 간세포 부전. 변비 또는 장폐색, 설사 또는 대장염, 장 궤양, 메스꺼움 또는 구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강 내 변화(잇몸 증식, 타액선 염증, 미각 왜곡, 구강 점막 궤양, 누런 치아), 흡수 장애 증후군, 췌장염, 위 및 장 궤양, 위장 출혈도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부작용은 위장관 운동 장애 및 소화 불량으로 나타나며 때로는 복통과 설사가 발생합니다. NSAID와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처방하면 위병증, 장 점막 궤양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에는 위장 출혈이 발생합니다.

NSAID를 처방할 때 위장병이 발생할 위험은 표에 나와 있습니다. 3.3.

표 3.3

NSAID를 처방하면 위장병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엽산 길항제는 뮤신의 보호 특성을 감소시켜 소장을 손상시킵니다. 세포증식억제제도 비슷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심장선택적 차단제를 포함한 베타 차단제는 다양한 빈도로 소화불량 장애를 유발합니다. 항생제는 장의 생물권 증을 방해하여 dysbiosis를 유발합니다. 간독성 반응을 일으키는 약물은 표에 나와 있습니다. 3.4.

표 3.4

간독성 반응을 일으키는 약물

담즙정체

아미노전이효소 변화

알로푸리놀

아세틸살리실산

β-락탐 항생제

디클로페낙

카르바마제핀

케토코나졸

오플록사신

파파베린

파록세틴

혈액제제

항경련제

리팜피신

스피로노락톤

테오필린

테트라사이클린

삼환계 항우울제

플루옥세틴

딜티아젬

에날라프릴

리시노프릴

아목시실린/클라불라네이트

암포테리신

벤조디아제핀

아자티오프린

메타미졸나트륨

카르바마제핀

인도메타신

캡토프릴

니코틴산 유도체

세포증식억제제

리팜피신

심바스타틴

금염

프로카인아마이드

티클로피딘

삼환계 항우울제

신경이완제

알로푸리놀

트리메토프림

아미오다론

아세틸 살리실산

알루미늄 제제

아자티오프린

β-락타마제 억제제

MAO 억제제

신경이완제

니코틴산

ACE 억제제

레티오노이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항경련제

리팜피신

발프로산

금염

인다파미드

세팔로스포린

경구용 혈당강하제

에리스로마이신

혈전용해제

항결핵제

9. 신장 및 비뇨기계 손상; 출혈성 방광염, 방광 기능 장애(신경성 방광 기능 장애, 요실금), 간질성 신장염, 결석 형성, 결정뇨증, 다뇨증(또는 신성 요붕증)을 동반한 신장 집중 능력 장애, 신증후군, 폐쇄성 요로병증(신외, 신내), 급성 세뇨관 괴사 신장 , 신장 기능 장애 (신부전), 신세뇨관 산증. 신독성 약물: 알로푸리놀, 아미오다론, 5-아미노살리실산, 암피실린, 암포테리신 B, 아세틸시스테인, 아시클로비르, 부타디온, 반코마이신, 겐타마이신, 저분자량 덱스트란, 페니토인, 황산철, 이소니아지드, 캡토프릴, 레보마이세틴, 나프록센, 노보카인아미드, 파라세 타몰, 벤질페니실린, 경구피임약, 금 제제, 비스무트 제제, 요오드 제제, 방사선 조영제, 리팜피신, 살리실산염, 설폰아미드, 티아지드, 푸로세미드 등

결석 형성을 유발하는 약물 중에서 결석 형성 메커니즘에 따라 여러 그룹이 구별됩니다.

  • 1) 대사산물이 물에 잘 녹지 않는 약물: 설파디메진, 설파세트아미드;
  • 2) 침전되는 소변 내 내인성 대사 산물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약물: 6-머캅토퓨린, 트리암테렌;
  • 3) 소변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약물: 푸로세미드, 티아지드, 에타크린산, 비타민 D.

결석 형성을 예방하려면 이러한 약물을 충분한 물과 함께 복용해야 합니다.

  • 10. 신경 장애; 두통, 떨림, 경련(간질 발작), 추체외로 장애. 무균성 수막염, 신경근 차단, 뇌졸중(출혈성, 허혈성), 중증 근무력증 악화. 말초 신경병증, 가성뇌종양(또는 두개내 고혈압).
  • 11. 시각 장애: 안구 통증, 녹내장, 백내장, 색각 장애, 각막 부종, 각막 혼탁, 시신경염, 망막증.
  • 12. 청각 장애 : 전정 장애, 청각 장애(청력 상실).
  • 13. 근골격계의 병리학 : 통풍, 뼈 손상(골다공증, 골연화증, 근육병증 또는 근육통), 횡문근융해증, 힘줄 및 인대 파열. 뼈 및 연골 조직의 약물 질환(이소니아지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클로로퀸). 약물 유발성 홍반성 루푸스 증후군(안레신, 이소니코틴산 히드라지드 유도체, 페니실린,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테트라사이클린, 디페닌, 프로카인아미드, 티오우라실 유도체).
  • 14. 정신 질환 (경미한 수면 장애부터 심각한 정신 상태까지 나타날 수 있음): 초조, 섬망 또는 혼란, 우울증, 졸음, 환각 상태, 경조증, 조증 또는 동요, 편집증 또는 정신분열증 유사 반응, 수면 장애(표 3.5).

현재 현재의 지식 수준은 제안을 기반으로 한 분류와 더 일치합니다.

O. L. Wade 및 L. Bailey, M. Rawlins 및 W. Thompson은 나중에 R. D. Royer에 의해 수정되었습니다. 이 분류는 WHO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종종 "알파벳순"( 에이 비 씨 디이 ), 전 세계 PD 약물 연구를 위한 국가 및 지역 센터의 작업과 국제 약물 모니터링을 위한 WHO 프로그램에서 사용됩니다. 본 프로그램에 따르면 CPD는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 A를 입력하세요. 가장 일반적입니다(NDR의 90%). 용량 관련 이상반응(약리학적 부작용, 독성 부작용, 2차 효과). 약물의 약력학 또는 분자 자체의 독성과 관련됩니다. 약물의 농도 및/또는 표적 분자의 민감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측 가능하고 용량 의존적인 작용. NLR 유형 기반 세포막 손상, 세포 호흡 중단, 단백질 합성 억제, 세포주기 기능 중단 등과 같은 "비특이적" 메커니즘이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약물 분자의 독성이 특정 장기와 관련하여 선택적이며(유기 독성), 다른 경우에는 여러 장기 손상이 발생합니다. 빈도와 중증도는 유전적 요인(약물유전학), 난소 및 연령, 기저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약물의 사용 기간과 투여 방법에 따라 다릅니다. 치료 범위 이상으로 혈장 약물 농도가 증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B를 입력하세요. 면역 알레르기 기원의 부작용. 이는 알레르기 반응(면역 메커니즘)으로 발생합니다. 예측할 수 없고 용량과 관계없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약물 중단이 필요합니다. 병원성으로는 아나필락시스 반응, 세포 독성 반응, 면역 복합 반응, 지연형 과민증이 구별됩니다.

표 3.5

정신 장애를 일으키는 약물

정신 질환

불명증

카페인, 페나민 및 기타 정신자극제, 설피리드, 할로페리돌, β-차단제, 아토르바스타틴

졸음 증가

수면제, 진정제, 항간질제, 신경이완제, 아데메티오핀, 알로푸리놀, 알프라졸람, 암로디핀, β-차단제, 아토르바스타틴

과민성, 흥분성 증가

카페인, 항간질제, 톨페리손, 설피리드, 진정제, 아미노필린, 아테놀롤

급성 정신병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

움직임의 조정 장애

아미노글리코사이드, 아만타딘, 트리메토프림, 알프라졸람

정신적 우울증

아나필락시스 반응은 IgE 생산, 비만 세포의 탈과립화 및 매개체(히스타민, 세로토닌, 류코트리엔)의 방출과 관련이 있습니다. 항생제, 설폰아미드, NSAID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아나필락시스 쇼크, Quincke 부종, 두드러기, 기관지 경련, 피부 발진, 결막염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세포독성 반응은 보체 시스템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술폰아미드, 피라졸론 유도체, 페노티아진, 바르비투르산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용혈성 빈혈, 무과립구증, 혈소판 감소증으로 나타납니다.

면역복합반응은 IgG와 면역복합체의 형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다양한 조직 손상(관절염, 신장염, 혈관염, 심근염, 간염)이 동반됩니다. 노보카인아미드 등을 사용하면 루푸스 유사 증후군이 나타납니다.

지연형 과민증은 피부중독증 또는 독성 표피 괴사용해(라이엘 증후군)로 나타납니다. 동의어는 클로르프로틱센과 같은 약물을 복용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화상 피부 증후군이며 성홍열, 수포 형성 및 영향을 받은 피부 부위의 거부로 나타납니다. 심한 경우에는 피부가 최대 80%까지 손실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증상은 예를 들어 독시사이클린을 사용할 때 스티븐스-존슨 증후군(피부염)입니다. 교차 알레르기를 고려하여 알레르기 병력을 포함한 철저한 약리학적 병력이 이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처음 두 유형의 반응을 비교한 내용이 표에 나와 있습니다. 3.6.

표 3.6

NLR 유형의 비교 특성 그리고 유형 안에

  • C를 입력하세요. 용인. 호르몬 생산 억제. 누적 효과.
  • D형 발암성 및 돌연변이성 PD. 기형발생 PD. "탈리도마이드" 비극 – 임산부에게 진정제로 탈리도마이드를 사용하는 사건(1960년대).

WHO는 태아에 대한 약물의 위험도(최기형성, 배아독성, 태아독성)에 따라 6가지 범주를 사용합니다. A, B, C, D, E, X.

카테고리 B: 실험 연구에서는 기형 유발 효과가 밝혀지지 않았거나 어머니가 이 그룹에 포함된 약물(인슐린, 아스피린, 메트로니다졸)을 복용한 어린이에게서 동물에서 관찰된 합병증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카테고리 C: 이 약물의 기형 유발 또는 태아 독성 효과가 동물에서 발견되었으나 대조 시험이 수행되지 않았거나 약물의 효과가 연구되지 않았습니다(이소니아지드, 플루오로퀴놀론, 겐타마이신, 항파킨슨병 약물, 항우울제).

카테고리 E: 금단증후군은 약물 섭취를 중단하거나 감소할 때 발생하는 신체의 반응으로, 환자 상태의 악화(약물이 제거하려고 했던 증상이나 상태의 발생, 때로는 질적으로 새로운 증상의 출현)로 나타납니다. 또는 이전에 환자에게 존재하지 않았던 상태). 예: 항고혈압제 중단 후 혈압 상승; 항협심증 약물 중단 후 협심증 증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갑작스러운 중단 후 금단 증후군. 내인성 호르몬 방출 조절 장애와 관련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장기간 사용 중 금단 증후군의 기전은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3.2.

쌀. 3.2.

카테고리 X: 이 그룹의 약물의 기형 유발 효과는 입증되었으며 임신 전과 임신 중에는 사용이 금기입니다 (이소트레티노인, 카르바마제핀, 스트렙토마이신). 모유수유 중에 사용이 금지되는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프로플록사신(관절병증);
  • 클로람페니콜(골수 억제);
  • 방사성 요오드(갑상선 파괴);
  • 금 제제(발진, 신장염, 간염);
  • 사이클로포스파미드(호중구감소증);
  • 요오드 함유 약물;
  • 아미오다론(갑상선 질환);
  • 안드로겐;
  • 에르고타민(구토, 설사);
  • 완하제(설사).

또한 일부 약물(브로모크립틴, 티아지드 이뇨제, 복합 경구 피임약)은 수유를 억제하므로 수유부에게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탈퇴 상태 (금단 증후군)은 정신 활성 물질 중독의 중간 및 최종 단계 구조의 일부입니다. 금단 상태는 일반적으로 이 물질을 장기간 및/또는 고용량으로 반복적으로 사용한 후 물질을 완전히 중단하거나 복용량을 줄일 때 발생하는 다양한 조합 및 심각도의 증상 그룹입니다. 금단의 시작과 과정은 시간적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금단 직전의 물질 유형과 복용량에 해당합니다. 금단 증후군은 발작으로 인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신체 장애는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신 장애(예: 불안, 우울증, 스파 장애)도 금단 증상에 흔히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물질을 계속 사용하면 금단 증상이 완화된다고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알코올 금단 증후군에는 알코올을 마시고 싶은 욕구가 포함됩니다. 혀, 눈꺼풀 또는 뻗은 팔의 떨림이 특징적입니다. 발한; 메스꺼움이나 구토. 빈맥 또는 동맥 고혈압, 정신 운동 동요, 두통 및 불면증이 나타납니다. 불쾌감이나 허약감이 전형적입니다. 일시적인 시각적, 촉각적, 청각적 환각 또는 환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발작; 우울증 및 불쾌 장애.

금단 증상(금단 증후군)에 대한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일반적으로 장기간 및/또는 고용량으로 물질을 사용한 후 최근 물질 사용을 중단하거나 감소했다는 명확한 증거가 있어야 합니다.
  • 2. 증상 및 징후는 특정 물질의 금단 증상과 일치합니다.
  • 3. 증상 및 징후는 물질 사용과 관련되지 않은 의학적 장애로 인한 것이 아니며 다른 정신 또는 행동 장애로 더 잘 설명될 수 없습니다.

금단 상태의 진단은 적절한 5자리 코드로 명확해야 합니다. 금단 증후군은 국제 질병 분류 10차 개정판(ICD-10)의 클래스 V(정신 및 행동 장애, F10 – F19)에 해당합니다. 금단 증상은 알코올, 아편유사제, 칸나비노이드, 진정제 또는 수면제, 코카인 및 기타 각성제(카페인 포함)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금단증후군은 담배, 휘발성 용매, 환각제 사용, 여러 약물의 동시 사용 및 기타 향정신성 물질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러시아 연방의 통제 대상인 마약, 향정신성 물질 및 그 전구체의 공식 목록(목록 I, II, III)에 포함된 향정신성 물질에 대한 의존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약물 중독 진단이 내려집니다. 1998년 6월 30일자 러시아 연방 정부 No. 681 ). 약물 중독에는 아편유사제(F11), 칸나비노이드(F12), 코카인(F14) 중독이 포함됩니다. 사용된 향정신성 물질의 확인은 환자 자신의 진술, 소변, 혈액 등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기반으로 수행됩니다. 또는 기타 데이터(환자의 약물 상태, 임상 징후 및 증상, 정보를 제공받은 제3자로부터의 보고서). 이러한 데이터는 항상 둘 이상의 소스에서 얻는 것이 좋습니다. 객관적(실험실) 테스트는 현재 또는 최근의 약물 사용에 대한 가장 확실한 증거를 제공하지만 과거 사용이나 현재 사용 수준과 관련시키는 능력은 제한적입니다.

많은 질병이 조직 민감도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가 표에 나와 있습니다. 3.7.

표 "3.7

조직 민감도

질병

체액 보유 증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인도메타신, 페닐부타존, 프로프라놀롤

호흡기

실패

호흡억제, 혼수상태

수면제, 진정제, 마약성 진통제

기관지

기관지 경련

β-차단제, 아스피린

감염성

단핵구증

발진 확대 빈도 증가

암피실린

전립선염 및 전립선 선종

급성 요폐

이뇨제, 삼환계 항우울제

질병

조혈, 출혈 억제

클로람페니콜, 항응고제

갑상선 기능 저하증

제거 속도를 늦추어 민감도 증가

심장배당체

부형제 함량이 원래 약물과 다른 값싼 제네릭을 사용하면 ADR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질 수도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병원에서 ADR은 항생제(모든 부작용의 최대 25~30%), 화학요법제, 진통제, 향정신성 약물, 강심배당체, 이뇨제 당뇨병 치료제 및 칼륨 제제 처방과 가장 흔히 연관됩니다.

외래 진료에서 ADR은 다음 약물에 의해 가장 자주 발생합니다.

  • 심장배당체;
  • GK 호르몬;
  • 항고혈압제;
  • 항응고제;
  • 일부 이뇨제;
  • 항생제;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 경구 피임약.

NPD 진단 방법.

  • 1. 약물 이력. ADR 진단에는 약물 및 식이보충제(BAS) 복용 사실을 확립하고 ADR과 약물 또는 식이보충제 복용 사실 간의 연관성을 확립하여 약물 이력을 수집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2000년 1월 2일자 연방법 No. 29-FZ "식품의 품질 및 안전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식이보충제는 식품으로 분류되며 "...천연(천연과 동일한) 생물학적 활성 물질"로 정의됩니다. 음식과 동시에 섭취하거나 구성에 도입하는 것입니다." 2001년 3월 26일자 러시아 보건부의 명령 No. 89에 따르면 "새로운 식품, 향수 및 화장품의 재료 및 제품, 구강 위생용 제품 및 제품, 담배 제품의 국가 등록에 관한"식이 보조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별도의 그룹에 할당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출처에 따라 분류됩니다. 필수 지질(어유), 천연 미네랄(요오드), 약용 식물이 함유된 건강보조식품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2. 개발된 APD와 합격 사실 간의 연관성을 확립합니다. 약물 복용 시간과 이상 반응 발생 시간을 확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ADR 유형과 약물의 약리학적 작용의 일치성을 확인하고, 인구 집단에서 의심되는 ADR의 발생 빈도와 의심되는 약물의 ADR 등록 빈도를 결정합니다. 실험실 연구.
  • 3. 환자 혈장 내 약물 농도 측정. 의심되는 약물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유발검사를 실시합니다. (의심되는 약물은 중단하고 2~3일 후 재처방합니다.) 고분자량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반응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양성 결과는 IgE 항체의 존재를 확인합니다. 음성 결과는 특정 IgE 항체가 없거나 시약의 비특이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장기 손상의 경우 필요한 범위의 실험실 검사가 수행됩니다(예: 신장 손상의 경우 소변 분석, 생화학 혈액 검사 등). 항핵 항체(약물 유발성 루푸스), 소변 내 히스타민 대사 산물(과민성 반응), 트립타제 측정(비만세포 활성화 지표), 림프구 형질전환 테스트 등 면역생물학적 메커니즘 활성화 지표에 대한 일련의 연구가 수행됩니다.
  • 4. 도구적 연구. ADR의 임상 증상에 따라 추가적인 도구 연구가 수행됩니다 (심전도 검사, 심장 초음파 검사, 뇌파 검사, 위십이지장 내시경 검사, 폐활량 측정, 방사선 촬영 등).
  • 5. 시간 경과에 따른 환자의 임상 상태. 환자의 객관적인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매일 웰빙을 평가합니다.

NDR 연구 단계:

  • 전임상(실험) 연구 - 신약의 급성 및 만성 독성과 특정 독성에 대한 연구입니다.
  • 임상 시험;
  • 등록 후 연구;
  • 즉흥적인 메시지.

다음은 자발적 보고 방법으로 식별된 PPR의 몇 가지 예입니다.

  • β-차단제 – 복시;
  • 신나리진 – 추체외로 장애;
  • 에날라프릴 – 혈관부종;
  • 페닐부타존 – 무과립구증;
  • astemizole - 부정맥.

의약품 유통의 주체는 연방 집행 기관에 보고할 의무가 있으며, 이 기관의 권한에는 의료 분야의 국가 통제 및 감독 시행과 모든 약물 부작용 사례 및 상호 작용의 특성에 대한 영토 기관이 포함됩니다. 제공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다른 의약품과 의약품 사용 지침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정보를 보고하지 않거나 은폐한 경우 전문 활동의 성격으로 인해 이를 알게 된 사람은 러시아 연방 법률에 따라 징계, 행정 또는 형사 책임을 집니다.

러시아에는 20개의 지역 보안 모니터링 센터가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모든 지역이 아님). 연방 의약품 안전 모니터링 센터는 모스크바에 위치해 있습니다. NLR 국제 센터는 웁살라(스웨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약물의 부작용 / ed. A. T. 부르벨로. 2008년 상트페테르부르크.
  • 걸어 건너기에 대한 . L. 비리 L.약물에 대한 부작용. 2π| 에드. 1976년 런던.
  • 롤린스 M., 톰슨 U." 약물 부작용의 메커니즘 // Davies D. (ed.). 약물 부작용 교과서. N. Y.: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P. 18–45.
  • 로이어 R.J. ADR의 작용 메커니즘: 개요 // 약물 역학 및 약물 Saf. 1997. 6. 공급. 3. P. 843-850.

A.N. 미로노프, V.A. 메르쿨로프, I.V. 사카에바, N.D. Bunyatyan, V.K. 레파킨, B.K. 로마노프, A.P. 페레버제프, 러시아 보건부의 FSBI "NTsESMP"

약물치료의 잠재적 이점과 그에 따른 위험에 대한 평가는 약물 수명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수행되어야 합니다. 이 기사에서는 유익성-위해성 비율을 분석하기 위해 현재 존재하는 정량적, 반정량적, 정성적 방법 중 일부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고, 여러 국가의 규제 당국과 제약회사 모두에서 성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방법을 찾으려고 시도합니다. 및 약물의 임상 시험을 수행하는 조직.

1960년 탈리도마이드 비극 이후, 약물요법과 관련된 예상 이익과 잠재적 위험(특히 예상치 못한, 심각하고 드문)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문제는 의료 전문가에게 특히 심각해졌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약물 순환의 모든 단계에서 약물요법의 잠재적 이점과 위험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방법과 모델을 찾는 데 많은 작업이 필요했습니다. 이 작업 과정에서 약물에 대한 부작용에 대한 글로벌(VigiBase, 1968) 및 로컬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었고, 부작용(AR)의 용어 사전 WHO-ART(1968)가 형성되었으며, WHO 국제 모니터링 프로그램 약물이 시행되고(1968), 이상반응에 대한 정의가 현상과 이상반응으로 주어졌으나(1969), 이 분야에서 진정한 돌파구는 지난 10-15년 동안에 이루어졌습니다.

1998년에 국제의학기구협의회(CIOMS)는 "유통 중인 약물의 유익성과 위해성 사이의 균형: 안전성 신호 평가"라는 제목의 실무 그룹 보고서(CIOMS 실무 그룹 IV 보고서)를 준비했습니다. 시판 약물의 위험 균형: 안전 신호 평가).

이 문서는 당시 이용 가능한 지식의 체계화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약물 치료의 잠재적 위험과 이점을 평가하는 분야의 추가 연구에 매우 중요했습니다. 본 보고서에서는 약물 사용으로 인한 “이득”이라는 용어를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효과)”로 정의하고, “위험”은 “부정적인 사건(해로움)이 발생할 가능성”으로 정의합니다.
CIOMS 전문가들은 예상되는 이익이 긍정적인 효과의 가능성을 반영하는 수치적 표현을 가질 수 있으며, 위험을 설명할 때 위험의 심각도, 지속 기간,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시간 간격을 표시할 필요가 있음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이러한 정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스웨덴 웁살라 모니터링 센터(UMC)에서 발행한 약물 감시에 사용되는 용어집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익"과 "위험"의 개념에 대한 다른 확장된 정의가 있습니다. 따라서 영어 문헌에서는 다음과 같은 해석을 찾을 수 있습니다.

혜택- 이는 "개인 또는 개인 그룹의 약물 사용으로 인한 개인의 건강, 삶의 질 향상 또는 경제적 지표의 긍정적인 변화"입니다.
위험“특정 상황에서 병리학적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특정 의료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특정 인구 집단의 개인의 건강에 초래된 피해의 심각성과 바람직하지 않거나 불리한 결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유럽 ​​연합 지침 DIR 2001/83/EC Art 1(28a) 및 DIR 2001/83/EC Art 1(28)에 따라 유익성-위험 비율을 평가하는 것은 "긍정적인 치료 효과와 관련 가능한 위험의 비교"를 의미합니다. 이는 "의료 활동에서 약물 사용의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기반의 결론을 준비"하는 데 필요합니다.

이 분석의 주요 원칙은 비교 가능한 값의 사용, 위험 및 이점(객관성), 절차의 "투명성", 재현성 및 보편성에 관한 모든 관련 정보의 수집 및 평가입니다.

약물 순환의 모든 단계에서 유익성-위해성 비율을 분석하는 과정은 그림 1에 개략적으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분석 결과에 따라 가능한 결정 중 하나가 내려집니다. 모든 것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둡니다.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약물 목록에 약물을 추가합니다(소위 "감시 및 대기" 전술). 추가 임상 연구를 수행합니다. 의료 사용 지침을 변경합니다. 약물 사용을 제한하십시오. 등록증을 정지한다. 약물의 순환을 중단하십시오.

분석의 객관성을 달성하고 의사결정을 촉진하기 위해 저자는 유익성-위해성 비율을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정량적, 반정량적, 정성적)을 제안했습니다. CIOMS 실무 그룹 IV의 보고서는 "삼중항 방법"(Edwards R. et al., 1996)과 TURBO 모델이라는 두 가지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예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처음으로 설명되었으며 사용하기 쉽고 경제적으로 이용 가능하지만 정보 내용이 낮기 때문에 적용이 제한되어 규제 기관이나 신청자가 실제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15년이 지난 오늘날, 제약회사와 규제 기관(주요 이해관계자)이 사용하는 유익성-위해성 비율을 평가하는 방법의 종류가 크게 확장되어 현재 수십 개가 되었습니다. Guo 등의 문헌 검토. , 유익성-위해성 비율을 평가하기 위한 최소한 12개의 정량적 방법을 식별했습니다.

1. 위험 및 이익 평가를 위한 정량적 프레임워크(QFRBA).
2. 무익익 분석(BLRA).
3. 증상 및 독성이 없는 품질 조정 시간(Q-TWiST).
4. 치료에 필요한 수(NNT) 및 피해에 필요한 수(NNH).
5. 치료에 필요한 상대값 조정 수(RV-NNT).
6. 최소 임상 효능(MCE).
7. INHB(증분 순 건강 혜택).
8. 위험-이익 기준(RBP) 및 위험-이익 허용 임계값(RBAT).
9. 확률적 시뮬레이션 방법(PSM) 및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CS).
10. 다기준 의사결정 분석(MCDA).
11. 위험-이익 윤곽선(RBC).
12. 명시적 선호 방법(SPM) 또는 최대 허용 위험(MAR).

그러나 이 분석에는 PrOACT, PhRMA BRAT(Benefit Risk Action Team), CMR CASS 연구 등과 같은 정성적 및 반정량적 방법이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각각의 방법에는 장단점이 있지만 전문가가 부과한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유익성-위해성 분석 수행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전문가 의견은 여전히 ​​약물 사용 시 “이익 대 위험”을 평가하는 기초로 남아 있습니다. 정량적 방법이 정성적 방법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 것 같지 않습니다."

2013년에 J. Leong et al. 다양한 국가(규제 당국 및 제약 회사)의 약물 유통 대상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유익한 방법을 식별하고 보편적 모델의 생성 및 사용 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국제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이익-위험 비율을 평가하기 위해 " 이 연구에는 11개 규제 당국(EMA, 벨기에 국가 기관, 덴마크, 아일랜드, 네덜란드, 스웨덴, MHRA, 미국 FDA, TGA, 캐나다 보건부, 싱가포르 보건 과학 당국)과 20개 제약 회사(Abbott, AstraZeneca, Bayer, Biogen, Bristol-Myers Squibb, Celgen, Daiichi Sankyo, Eisai, Eli Lilly, GSK 등).

현재 어떤 규제 기관이나 제약 회사도 유익성-위해성 비율을 평가하기 위해 정량적 방법만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1개 규제기관 중 5개 규제기관은 정성적 평가 방법을 사용하고 나머지 6개 규제기관은 반정량적 평가 방법을 사용합니다. 제약회사(각각 10개, 9개)에서도 비슷한 비율이 나타났습니다. 정성적 방법만을 사용하는 규제 기관 5곳 중 2곳과 기업 10곳 중 8곳은 정량적 또는 반정량적 방법을 도입할 계획이 없습니다.

규제 당국과 제약 회사 모두 유익성-위해성 비율을 평가하기 위한 보편적인 모델(만약 생성된 경우)을 사용하는 데 동의하고 이 모델에는 고품질 문서가 포함되어야 하고, 약물 유통 주체 간의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최대한 투명하게.", 재현 가능하고 객관적입니다.

보편적 모델의 개발, 구현 및 사용에 대한 주요 장벽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습니다. 모델의 목표와 방법에 대한 합의 부족; 국가 간 문화적 차이; 질병 치료에 대한 접근법의 차이; 제한된 자원; 모델 자체의 한계와 단점.

따라서 유익성-위해성 비율을 평가하기 위해 현재까지 제안된 수많은 방법 중 그 어느 것도 보편적이거나 표준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없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추가 연구를 수행하고 특정 방법의 사용을 규제하는 규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는 검사의 질을 향상시키고, 가장 중요하게는 약물 치료의 안전성을 보장하면서 상황을 개선할 것입니다.

출처:
1. Leong J et al.. 의약품에 대한 보편적인 유익성-위해성 평가 프레임워크가 필요한가요? 규제 및 산업 관점. Pharmacoepidemiol 약물 Saf. 2013년 9월 22(9):1004-12.
2. 약물 감시에 사용되는 용어집. 이용 가능: http://www.who-umc.org.
3. 약물의 이익, 위험 및 비용 관리. 의약품의 위험/이익 관리에 관한 CPHA 국가 자문 패널 보고서. 캐나다 공중보건협회, 1993년 1월.
4. CIOMS 실무그룹 IV 보고서. 시판 약물의 유익성-위해성 균형: 안전 신호 평가, 제네바, 1998.
5. 유익성-위해성 방법론 프로젝트: 작업 패키지 2 보고서 EMA/549682/2010
6. Guo JJ 외. ISPOR 위험-이익 관리 실무 그룹의 약물 안전성 및 효능 보고서를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위험-이익 방법론에 대한 검토. 가치 건강. 2010년 8월;13(5):657-66.
7. 유익성에 관한 CHMP 실무 그룹 - 위험 평가 방법, 2008.

  • 1. 신체의 생리적 장애를 목표로 교정하는 치료의 개념. 약물 사용의 이점과 위험. 사용 이유. 안전성 평가.
  • 2. 과학으로서의 약리학의 본질. 현대 약리학의 섹션 및 영역. 약리학의 기본 용어 및 개념 - 약리학 적 활동, 작용, 화학 물질의 효과.
  • 3. 약물의 화학적 성질. 약물의 치료효과를 제공하는 요인으로는 약리작용과 위약효과가 있습니다.
  • 5. 약물의 체내 투여경로와 그 특성. 전신 약물 제거.
  • 6. 생물학적 장벽 및 그 변종을 통한 약물의 이동. 신체의 약물 수송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 7. 가변 이온화를 갖는 막을 통한 약물 전달(Henderson-Hasselbalch 이온화 방정식). 이전 관리의 원칙.
  • 8. 약물의 체내 이동. 지질의 물 확산과 확산(픽의 법칙). 활성 운송.
  • 9. 약동학의 중심 가정은 혈액 내 약물 농도이며, 이는 치료 효과를 조절하는 주요 매개변수입니다. 이 가정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 10. 약물의 생물학적 이용 가능성 - 정의, 본질, 정량적 표현, 결정 요인. 생체 이용률의 개념
  • 11. 신체 내 약물 분포. 구획, 리간드. 분포의 주요 결정 요인.
  • 배포 구획:
  • 약물의 분자 리간드:
  • 12. 제거 상수, 그 본질, 차원, 기타 약동학적 매개변수와의 관계.
  • 13. 약물의 반감기, 그 본질, 차원, 기타 약동학적 매개변수와의 관계.
  • 반감기는 가장 중요한 약동학적 매개변수로 다음과 같습니다.
  • 14. 투여량 요법을 조절하기 위한 주요 약동학적 매개변수로서의 제거율. 그것의 본질, 차원 및 다른 약동학 지표와의 관계.
  • 15. 복용량. 복용량의 종류. 약물 투여 단위. 약물 투여 목적, 투여 방법 및 옵션, 투여 간격.
  • 16. 일정한 속도로 약물을 투여합니다. 혈액 내 약물 농도의 동역학. 혈액 내 약물의 고정 농도(Css), 약물 도달 시간, 약물 계산 및 관리.
  • 18. 입문(로딩) 용량. 치료 적 의미, 약동학 매개 변수 계산, 사용 조건 및 제한 사항.
  • 19. 유지 용량, 치료 의미 및 최적 용량 요법에 대한 계산.
  • 20. 약물의 약동학에 있어서 개인, 연령, 성별의 차이. 분포 값의 개별 약물 용량 계산을 위한 조정.
  • 21. 약물, 메커니즘, 정량적 및 질적 특성의 신장 제거.
  • 22. 약물의 신장 제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약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청소율의 의존성.
  • 23. 약물의 간 제거, 결정 요인 및 한계. 약물의 장간주기.
  • 24. 간 및 신장 질환에 대한 약물 치료의 교정. 일반적인 접근 방식. 약물의 총 청소율을 조절하면서 복용량 요법을 수정합니다.
  • 25. 잔류 신장 기능을 조절하면서 간 손상에 대한 약물 치료 및 복용량 요법을 교정합니다.
  • 26. 약물의 제거율을 변화시키는 요인. 개별 약물 치료 전략.
  • 27. 약물의 생체변환, 생물학적 의미, 약물 활성에 대한 주요 초점 및 영향. 신체 내 약물의 대사 변형의 주요 단계.
  • 29. 신체에서 약물을 제거하는 경로 및 메커니즘. 약물 배설 조절 가능성.
  • 약물 제거 과정 관리 가능성:
  • 30. 약리학에서 수용체의 개념, 수용체의 분자적 성질, 약물 작용의 신호 메커니즘(막횡단 신호 전달 유형 및 2차 전달자).
  • 31. 의약 물질의 물리 화학적 작용 메커니즘.
  • 32. 정량 약리학의 용어 및 개념: 효과, 유효성, 활성, 작용제(전체, 부분), 길항제. 활성 개념과 약물 효과의 임상적 차이.
  • 35. 약물의 작용 유형. 반복 투여 시 약물 효과의 변화.
  • 36. 신체의 연령, 성별 및 개인 특성에 대한 약물 효과의 의존성. 일주기리듬의 의미.
  • 약물 효과가 다양한 이유:
  • 38. 약물 안전성 평가. 치료 지수 및 표준 안전 마진.
  • 39. 약물의 약동학적 상호작용
  • 1) 흡입 단계에서.
  • 2) 배포 및 입금 시:
  • 3) 신진대사 중
  • 40. 약물의 약력학적 상호작용. 적대감, 시너지 효과, 그 유형. 길항작용의 유형에 따른 약물 효과(활성, 효과) 변화의 성격.
  • 41. 약물의 부작용 및 독성 효과. 약물의 기형 유발, 배아 독성, 돌연변이 유발 효과.
  • 45. 마약 중독, 마약 중독 및 알코올 중독과의 싸움의 의학적, 사회적 측면. 약물 남용의 개념.
  • 43. Kharkevich의 교과서, p.69
  • 44. 약물요법의 종류. 약물요법의 의무론적 문제.
  • 45. 약물 중독 치료 및 예방의 기본 원칙. 해독제 요법.
  • II. 흡수되지 않은 물질의 체내 흡수 및 제거 지연:
  • III. 흡수된 귀리를 몸에서 제거
  • IV. 기능 장애의 증상 치료.
  • 46. ​​​​레시피와 그 구조. 처방전 작성에 대한 일반 규칙. 약물 처방 및 조제 규칙에 대한 주 규정.
  • 47. 독성, 마약 및 유력한 약물 처방 규칙.
  • 2) 예방약이 부족한 경우

    3) 건강상의 이유로

    4) 지식과 경험 수준에 따른 명백한 필요성

    5)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욕구

    약물 처방 시 이점:

    1) 질병의 원인을 교정 또는 제거

    2)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질병의 증상 완화

    3) 천연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유기체에 의해 충분한 양으로 생산되지 않는 의약 물질로 대체

    4) 질병예방 실시(백신 등)

    위험– 노출로 인해 피해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 위험 그룹의 크기에 대한 불리한(혐오적인) 사건 수의 비율과 같습니다.

    a) 용납할 수 없음(해로움 > 이익)

    b) 허용 가능(혜택 > 피해)

    c) 중요하지 않음 (10 5 – 안전 수준)

    d) 의식이 있는

    의약품 안전성 평가는 의약품을 합성하는 화학실험실 수준에서 시작됩니다. 의약품 안전성에 대한 전임상 평가는 보건부, FDA 등이 수행한다. 약물이 이 단계를 성공적으로 통과하면 4단계로 구성된 임상 평가가 시작됩니다. 1단계 - 20~25세의 건강한 지원자에 대한 내약성 평가, 2단계 - 특정 질병을 앓고 있는 100명 미만의 아픈 지원자에 대한 평가, 3단계 - 대규모 그룹(최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다기관 임상 시험, 4단계 - 공식 승인 후 5년간 약물 모니터링. 약물이 이 모든 단계를 성공적으로 통과하면 안전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2. 과학으로서의 약리학의 본질. 현대 약리학의 섹션 및 영역. 약리학의 기본 용어 및 개념 - 약리학 적 활동, 작용, 화학 물질의 효과.

    약리학– 모든 측면에서 의학의 과학 – 치료의 이론적 기초:

    a) 화학 물질과 생명체의 상호 작용 과학

    b) 화학 물질의 도움으로 신체의 중요한 과정을 제어하는 ​​과학.

    현대 약리학 분야:

    1) 약력학– 연구 a) 인체에 대한 약물의 효과, b) 동시에 처방될 때 신체 내 다양한 ​​약물의 상호 작용, c) 약물 효과에 대한 연령 및 다양한 질병의 영향

    2) 약동학–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을 연구합니다(즉, 환자의 신체가 약물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3) 약물유전학– 약물에 대한 신체의 약리학적 반응 형성에서 유전적 요인의 역할을 연구합니다.

    4) 약리경제학– 사용 결과와 약품 비용을 평가하여 후속 실제 사용에 대한 결정을 내립니다.

    5) 약물역학–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약물의 사용을 보장하기 위해 인구 또는 대규모 집단 수준에서 약물 사용과 그 효과를 연구합니다.

    약리학적(생물학적) 활동– 생물계(인체)에 변화를 일으키는 물질의 성질. 약리학적 물질 = 생물학적 활성 물질(BAS)

    약리학적 효과– 물체와 표적에 대한 약물의 영향

    약리학적 효과– 신체 내 물질 작용의 결과(생리적, 생화학적 과정, 형태학적 구조의 변형) – 생물계(세포, 조직, 기관) 상태의 양적 변화이지만 질적 변화는 아닙니다.

    약물 효과– 이 경우 신체에 필요한 특정 약리학적 효과를 유발하는 약물의 능력. "실질적인 증거"를 기반으로 평가 - 이러한 유형의 약물 연구에 대한 적절한 과학적 훈련과 경험을 갖춘 전문가가 수행한 적절하고 잘 통제된 연구 및 임상 시험(FDA)

위험 관리 프로세스는 상호 연결되고 반복되는 3단계로 구성됩니다.

  • 알려진 측면과 알려지지 않은 측면을 포함하여 의약품의 안전성 프로파일 특성화
  • 위험을 특성화하고 새로운 위험을 식별할 뿐만 아니라 의약품의 안전성 프로필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약물감시 활동을 계획합니다.
  • 위험의 결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활동을 계획 및 구현하고 이러한 활동의 ​​효율성을 평가합니다.

6.2 구조 및 프로세스

6.2.1 위험 관리 원칙

위해성 관리 과정의 일차 목표는 특정 의약품(또는 의약품 조합)의 유익성이 각 환자 및 대상 모집단 전체에 대한 위해성보다 더 클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의약품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 이는 혜택을 늘리거나 위험을 줄임으로써 달성할 수 있습니다. 위험 관리 프로세스는 주기적이며 위험과 이익을 식별 및 분석하고, 최적화 가능성을 결정하여 이익-위험 비율을 평가하고, 위험을 특성화 및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 및 계획하고, 위험을 특성화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구현하는 반복 단계로 구성됩니다. 취해진 조치의 효과를 모니터링하면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6.2.2 조직 내 위험 관리에 대한 책임

의약품 위해성 관리 계획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과정의 주요 참가자는 등록 증명서 보유자와 의약품 유통 과정 규제를 담당하는 회원국의 권한 있는 기관입니다.

6.2.2.1 판매 허가 보유자

출시된 의약품과 관련된 위험 관리 과정과 관련하여 판매 허가 보유자는 다음을 담당합니다.

a) 회원국 법률의 요구사항에 따라 의약품 사용과 관련된 위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보장하고 얻은 결과를 회원국의 관련 승인 기관에 제출합니다.

b) 의약품 판매 허가 보유자가 제공한 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등 의약품 사용과 관련된 위험을 최소화하고 최대한의 이익을 얻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합니다. 적시에 새로운 정보를 받는대로 제공합니다.

6.2.2.2 회원국의 승인된 기관

위험 관리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회원국의 권한 있는 기관의 책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a) 판매 허가 보유자, 의료 및 약학 전문가, 환자가 제출하고 (필요한 경우) 기타 정보 출처에서 얻은 확인된 이상반응 보고서의 평가를 포함하여 의약품의 유익성과 위해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b) 의약품과 관련하여 판매 허가 보유자가 제공한 모든 정보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을 포함하여 의약품과 관련된 위험을 최소화하고 가능한 최대 이익이 달성되도록 보장하기 위한 적절한 규제 조치를 취합니다.

c) 국가 차원에서 위험 최소화 조치의 이행을 보장합니다.

d) 새로운 정보가 있을 때 이해관계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이러한 교환에는 환자, 의료 및 제약 전문가, 환자 그룹, 과학계 등에 적절한 형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e) 오리지널 및 제네릭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모두와 관련하여 모든 등록 인증서 보유자가 적절한 위해성 최소화 조치(식별된 경우)를 취하도록 보장합니다.

f) 원래 의약품에 대한 정보 변경 통지를 포함하여 의약품과 관련된 안전 활동에 대한 통지를 포함하여 회원국의 기타 승인 기관에 정보 제공.

6.2.3 위험관리계획의 목표

다음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a) 의약품의 안전성 프로파일을 결정하고 특성화한다.

b) 의약품의 안전성 프로파일을 추가로 특성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명시합니다.

c) 이러한 조치의 유효성 평가를 포함하여 의약품 사용과 관련된 위험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의 채택을 문서화합니다.

d) 의약품 등록 중에 도입된 사용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등록 후 의무 이행을 문서화합니다.

6.2.3.2. 본 규칙의 6.2.3.1항에 명시된 요건을 충족하려면 RMP에 포함된 정보에 다음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a) 의약품의 안전성 프로파일에 관해 알려진 정보와 알려지지 않은 정보에 대한 설명

b) 임상 시험 중 대상 모집단에서 입증된 의약품의 유효성이 일상 의료 행위에서 달성될 것이라는 신뢰도 표시 및 등록 후 기간에 유효성 연구의 필요성을 문서화합니다.

c) 위험 최소화 조치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계획된 방법의 표시.

6.2.3.3. RMP는 동적으로 변화하는 독립적인 문서로서 의약품의 전체 수명주기 동안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PSAR이 필요한 의약품의 경우 RMP 모듈의 일부(일부)가 PSAR 생성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6.2.4. PUR 구조

RMP에는 7개의 정보 부분이 포함됩니다.

파트 I - 의약품에 대한 개요 정보

파트 II - 안전 사양:

모듈 CI - 대상 집단에 대한 적응증의 역학;

모듈 CII - 전임상 부분;

모듈 CVII - 식별된 위험과 잠재적 위험; 모듈 CVIII - 안전 문제에 관한 일반화된 정보;

파트 III – 약물감시 계획

파트 IV - 등록 후 효능 연구 계획

파트 V -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위험 최소화 조치의 효율성 평가 포함) 파트 VI - RMP 요약 파트 VII - 부록.

RMP가 여러 의약품에 대해 편찬된 경우, 각 의약품에 대해 별도의 부분을 제공해야 합니다.

6.2.5. PUR의 각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

6.2.5.1. RMP 파트 I - 의약품에 대한 개요 정보

이 부분에는 RMP에 관한 행정 정보와 RMP가 작성되는 의약품에 대한 개요 정보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 부분에는 다음 정보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a) 활성 물질에 관한 정보:

  • 의약품(의약품)의 활성 제약 성분(활성 물질);
  • 약물치료군(ATC 코드(ATC));
  • 판매 허가 보유자의 이름 세계 최초 등록 날짜 및 국가(해당하는 경우)
  • 의료 사용이 시작된 날짜 및 주(해당되는 경우)
  • RMP에 포함된 약물의 수

b) RMP에 관한 관리 정보:

  • 현재 RMP 내 데이터 수집 종료 날짜 RMP 제출 날짜 및 버전 번호
  • 해당 부품 또는 모듈이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되고 제시된 RMP의 날짜 및 버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RMP의 모든 부품 및 모듈 목록

c) RMP에 포함된 각 의약품에 대한 정보:

  • 회원국의 상호;
  • 의약품에 대한 간략한 설명(화학물질 분류,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간략한 설명, 구성에 관한 중요한 정보(예: 생물학적 의약품의 활성 성분의 유래, 백신 관련 보조제) 포함)
  • 적응증(승인 및 제안(해당되는 경우)) 복용량 요법(승인 및 제안(해당되는 경우))
  • 투여 형태 및 투여량(승인 및 제안(해당되는 경우))
  • 국가별 글로벌 규제 상태(등록 날짜 또는 등록 거부 날짜, 시장 출시 날짜, 현재 등록 상태, 설명 의견).

6.2.5.2. 파트 II RMP - 안전 사양

이 부분의 목적은 약물의 안전성 프로필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하고 알려진 안전성 정보를 식별하며 안전성이 잘 확립되지 않은 안전성 프로필 영역을 식별하는 것입니다. 안전성 규격은 완제의약품의 중요한 확인 위험, 중요한 잠재적 위험, 중요한 누락 정보를 요약한 것이어야 합니다. RMP의 안전 사양은 약물 감시 계획 및 위험 최소화 계획의 기초를 형성합니다.

RMP의 안전 사양에는 8개 섹션이 포함됩니다. 모듈 CI - 대상 집단에 대한 적응증 역학; 모듈 CII - 전임상 부분;

모듈 CIII - 임상시험 중 약물 노출;

모듈 CIV - 임상 시험에서 연구되지 않은 모집단;

CV 모듈 - 등록 후 사용 경험 CVI 모듈 - 안전 사양에 대한 추가 요구 사항

모듈 CVII - 식별된 위험과 잠재적 위험; 모듈 CVIII - 안전 문제에 대한 일반화된 정보.

안전성 규격에는 품질 측면, 의약품의 안전성과 유효성 프로필에 미치는 영향, 방출 형태와 관련된 위험, 기타 측면을 포함하여 의약품의 특성, 개발 및 연구 프로그램에 따라 추가 요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안전 프로필을 수정하는 것입니다.

6.2.5.2.1. 모듈 CI PUR - 대상 집단에 대한 적응증 역학.

적응증의 역학은 이 모듈에서 설명하고 평가하는 주제입니다. 설명에는 대상 집단의 발생률, 유병률, 사망률, 일반적인 동반질환에 대한 추정치가 포함되어야 하며, 가능하다면 연령, 성별, 인종 및/또는 민족적 출신에 따라 계층화하여 제시되어야 합니다. 지역 간 역학의 차이도 평가하고 설명해야 합니다. 또한 표적 집단의 중요한 동반질환과 동반질환에 대한 약물의 가능한 효과에 대한 정보도 제공되어야 합니다. 모듈에는 약물의 의도된 목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됩니다(예: 약물이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것인지, 특정 질병과 관련된 특정 심각한 결과를 예방하기 위한 것인지 또는 만성 질환의 진행을 늦추기 위한 것인지). 약물의 치료 무기고에서 약물의 위치에 대한 간략한 개요도 제공되어야 합니다.

6.2.5.2.2.모듈 CII PUR - 전임상 부분.

이 RMP 모듈에는 비임상 안전성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데이터 요약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독성 연구(연구에서 얻은 주요 독성 데이터, 예를 들어 만성 독성, 생식 독성, 배아독성, 최기형성, 신독성, 간독성, 유전독성, 발암성)
  • 일반적인 약리학적 특성에 관한 데이터(예: QT 간격 연장, 신경계 등을 포함한 심혈관계에 대한 영향)
  • 약물 상호작용 반응에 관한 데이터; 기타 독성 데이터.

모듈은 중요한 독성 특성과 인간에 사용하기 위한 연구 결과의 관련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데이터의 중요성은 약물의 특성, 대상 집단의 특성, 동일한 그룹에서 약물을 사용할 때 유사한 화합물 또는 치료 접근법에 대한 경험과 관련하여 결정됩니다. 또한 품질 측면이 의약품의 안전성 프로파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 논의되어야 합니다(특히 활성 성분이나 그 불순물(예: 유전독성 불순물)에 관한 중요한 정보). 해당 의약품을 가임기 여성이 사용하도록 의도된 경우, 문서에는 생식 독성 및 태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물론 해당 환자 그룹에 대한 의약품 사용 결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기타 특수 집단에 대한 정보는 승인된 적응증 및 대상 집단, 특정 비임상 데이터의 필요성에 따라 제공되어야 합니다.

6.2.5.2.3. 모듈 CIII PUR - 임상 시험 중 약물 노출.

모듈은 임상 시험(약물을 연구한 환자 그룹)에 포함된 환자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해야 합니다. 데이터는 표나 그래프 등 분석하기 쉬운 형식으로 제시되어야 합니다. 연구 모집단의 규모는 환자 수와 환자가 약물에 노출된 기간(환자-년, 환자-월 형식)을 명시하여 자세히 설명해야 합니다. 임상시험에 포함된 모집단의 데이터는 연구 유형(맹검 무작위 시험에 포함된 모집단과 모든 임상시험에 포함된 모집단)별로 계층화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경우 인구 하위 그룹의 계층화에는 일반적으로 다음이 포함됩니다.

  • 나이와 성별;
  • 징후;
  • 복용량;
  • 인종 출신.

노출 기간은 그래픽(환자 수와 시간에 해당하는 점을 표시하여)이나 표 형식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 특정 인구 집단(임산부, 수유부, 신부전증, 간부전, 심혈관 질환 환자, 관련 유전적 다형성을 가진 집단의 하위 집단)에 대한 영향 연구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신장, 간 또는 심혈관 기능 장애의 중증도와 유전적 다형성도 표시되어야 합니다.

연령 데이터를 제시할 때 대상 인구와 관련된 카테고리를 선택해야 합니다. 소아 및 노인 환자에 대한 데이터는 허용되는 연령 범주(예: 65~74세, 75~84세, 노인 환자의 경우 >85세)에 따라 구분되어야 합니다. 기형 유발 효과가 있는 약물의 경우, 계층화는 생식 가능성에 따라 인구 집단의 여성 부분의 연령 범주를 기반으로 해야 합니다. 요약 결과는 각 표나 차트의 끝에 표시되어야 합니다(해당하는 경우).

달리 필요하지 않는 한, 임상시험 데이터는 열과 섹션별로 지표를 합산하여(정당한 경우) 집계 형식으로 표시되어야 합니다. 동일한 환자군이 1회 이상의 연구에 포함된 경우(예: 임상시험 종료 후 공개 관찰 지속), 연령, 성별, 인종별로 한 번씩 표에 포함됩니다. 환자 수에 있어서 표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설명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새로운 적응증에 대한 신청서와 함께 RMP를 제출하는 경우, 새로운 제형이나 투여 경로에 대한 데이터와 이 적응증에 특정한 임상 시험 데이터를 이 모듈의 시작 부분과 요약표에 별도로 제시해야 합니다.

6.2.5.2.4. 모듈 CIV PUR - 임상 시험에서 연구되지 않은 모집단.

이 RMP 모듈은 대상 모집단의 어떤 환자 하위 그룹이 연구되지 않았거나 임상 시험에 포함된 환자 모집단 내에서 제한된 범위로 연구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임상시험의 한계점은 대상 모집단과 관련된 포함 및 제외 기준의 타당성뿐 아니라 연구 환경(예: 병원 대 일반 진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차이 측면에서도 제시되어야 합니다. 대상 모집단의 안전성을 예측하는 능력에 대한 결론은 모든 하위 그룹에 대해 이용 가능한 임상 시험 데이터의 한계 또는 데이터 부족에 대한 정확하고 상세한 평가를 기반으로 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이상반응을 식별하는 데 있어 임상 데이터베이스의 한계에 관한 정보도 제공되어야 합니다.

  • 연구에 포함된 환자 수; 약물의 누적 효과(예: 특정 장기 독성);
  • 사용 기간(예: 발암성을 평가하는 경우)

누락된 정보가 대상 인구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경우 이 역시 CVSH PUR 모듈에 안전 문제로 포함되어야 합니다.

6.2.5.2.4.1. 고려되는 환자 모집단에는 다음이 포함되어야 합니다(단, 이에 국한되지는 않음).

  • 소아 인구 - 어린이(다양한 연령 범주를 고려하거나 (필요한 경우) 발달 관점에서 중요한 다른 그룹, 즉 특정 발달 기간을 고려하여 출생부터 18세까지)
  • 노인 환자. 65세 이상의 환자에 대한 약물 사용의 영향을 평가해야 합니다. 따라서 평가에서는 이 그룹의 가장 나이가 많은 구성원을 고려해야 합니다. 특정 모집단 하위군과 관련된 동반질환 또는 장기 기능 장애(예: 신장, 간)의 영향에 대한 평가는 여러 요인(예: 다중 동반질환 및 다성분 약물 요법)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약물의 안전성 프로필을 수정하는 효과). 이 하위군 환자에게 약물을 처방할 때 정기적인 실험실 검사의 필요성을 평가해야 합니다. 평가 시에는 노인 환자에게 특히 우려될 수 있는 이상반응(예: 현기증 또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영향)을 구체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임신 또는 수유 중인 여성. 표적 집단에 가임기 여성이 포함된 경우, 임신 및 수유 중 약물의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의약품이 특별히 임신 중에 사용하도록 의도되지 않은 경우, 해당 의약품의 임상 시험 중에 발생한 임신의 결과와 과정을 평가해야 합니다. 피임약 사용이 임상 시험에 포함되는 조건인 경우, 임신 과정 및 결과 분석에는 취해진 피임 조치가 실패한 이유(해당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덜 사용되는 경우의 의미에 대한 분석도 포함되어야 합니다. 일상적인 의료 행위의 통제된 설정;
  • 간 기능 장애 환자;
  • 신장 기능이 손상된 환자;
  • 기타 중요한 동반 질환(예: 심혈관 병리, 면역결핍 상태)이 있는 환자
  • 질병 중증도가 임상 시험에서 연구된 것과 다른 환자. 다양한 정도의 질병 중증도를 가진 환자에 대한 의약품 사용 경험이 고려되어야 하며, 특히 청구된 적응증이 특정 질병의 중증도를 가진 환자로 제한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 알려진 관련 유전자 다형성의 보유자인 환자의 하위 그룹. 약리유전학적 영향의 정도, 유전자형이 알려지지 않았거나 다른 환자에 대한 약물 사용의 영향, 표적 환자 집단에서 유전적 바이오마커 사용의 의미를 고려해야 합니다. 표적 집단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을 평가해야 하며, 알려지지 않았거나 다른 유전자형을 가진 환자에게 약물을 사용할 때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정도를 평가해야 합니다. 잠재적으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유전적 다형성이 확인되었지만 임상 개발 프로그램 중에 완전히 연구되지 않은 경우, 이는 정보 누락 및/또는 잠재적 위험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이 정보는 안전성 사양 및 약물감시 계획에도 반영되어야 합니다. 특정 사건을 안전 문제로 지정하는 것은 잠재적인 결과의 임상적 중요성을 기반으로 평가됩니다.
  • 다양한 인종 및/또는 민족적 배경을 가진 환자. 다양한 인종 및/또는 민족 배경의 환자에 대한 경험뿐만 아니라 이러한 차이가 표적 집단의 유효성, 안전성 및 약동학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합니다. 인종이나 민족의 차이가 의약품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시판 후 효능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6.2.5.2.5. CV PUR 모듈 - 등록 후 신청 경험.

이 RMP 모듈의 목적은 등록 후 사용 단계에서 약물을 처방받은 환자 수, 등록 후 의료 행위에서의 사용 특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특정 환자 그룹에 대한 처방도 포함됩니다. RMP의 CIV 모듈은 안전성 데이터가 수집되고 의약품 안전성 정보를 이용 가능한 데이터와 일치시키기 위해 규제 조치가 취해진 동안 관찰 연구에 포함된 환자 수입니다.

6.2.5.2.5.1. 모듈 CV PUR. "의약품의 안전성과 관련된 규제 조치 및 판매 허가 보유자의 조치" 섹션.

모듈의 이 섹션은 확인된 의약품 안전성 문제와 관련하여 모든 시장에서 취해진 모든 규제 조치를 나타냅니다(판매 허가 보유자의 주도로 포함). 이 목록에는 국가와 날짜를 나타내는 취해진 규제 조치의 목록과 설명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RMP를 업데이트할 때 이 부분에서는 RMP를 마지막으로 제출한 이후 취해진 조치를 채택 이유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함께 설명해야 합니다.

6.2.5.2.5.2. SU PUR 모듈. 섹션 "임상 시험 중에 획득되지 않은 등록 후 사용 결과."

다양한 시장에서의 의약품 판매 결과를 토대로 판매 허가 보유자는 등록 후 단계에서 노출된 환자 수에 대한 집계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데이터는 (가능한 경우) 연령, 성별, 적응증, 복용량 및 지리적 지역을 포함하여 적절한 범주로 계층화되어야 합니다. 약물에 따라 추가적인 계층화 변수(예: 예방접종 횟수, 투여 경로, 치료 기간)가 적용됩니다. 적용 및 대상 집단의 특성을 기반으로 노출량을 계산하는 합리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의약품의 영향에 대한 정량적이고 차별화된 평가를 수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판매된 의약품의 중량 또는 정량적 측정량을 기준으로 영향을 계산하고 이를 평균 권장 용량과 연관시키는 것은 해당 의약품이 모든 경우에 1회 용량으로 처방되고 동일한 고정 사용 경로가 있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이 방법은 대부분의 약물에 적용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복용량 요법과 사용 과정이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투여 경로가 서로 다른 의약품의 경우, 노출량 계산은 각 투여 경로별로 별도로 이루어져야 합니다(가능한 경우). 회원국 당국은 노출 데이터의 추가 계층화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예: 다양한 연령 그룹 또는 승인된 다른 적응증 내의 노출 데이터). 그러나 의약품이 다른 적응증, 다른 용량 요법에 사용되거나 계층화 기준을 충족하는 다른 요소가 있는 경우, 판매 허가 보유자는 처음에 적절한 계층화가 가능한 데이터를 제공해야 합니다(기본적으로 가능한 경우).

6.2.5.2.5.3. SU PUR 모듈. 섹션 "임상 시험에서 연구되지 않은 환자 그룹의 등록 후 경험 결과."

RMP의 모듈 CIV에서 노출이 제한적이거나 전혀 없는 것으로 식별된 특수 환자 모집단에서 의약품의 시판 후 사용이 기록된 경우, 노출된 환자 수의 추정치를 제공해야 하며 계산 방법은 관계없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해당 의약품이 승인된 적응증 또는 승인되지 않은 적응증에 따라 사용되었는지 여부. 소아 집단에 사용하는 경우 SUCH PUR 모듈의 "소아 사용에 대한 특별 고려 사항" 섹션을 참조해야 합니다. 또한 나머지 대상 집단과 비교하여 이러한 특수 환자 그룹과 관련된 의약품의 안전성 프로파일에 대한 정보도 제공되어야 합니다. 이 섹션에서는 특정 환자 그룹에서 혜택 프로필(효능 프로필)의 가능한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안전성 프로필의 특정 측면에 대해 위험이 증가 또는 감소된 것으로 보이는 특수 환자 그룹도 RMS 모듈의 특정 위험 평가의 일부로 간주되어야 하지만 이 섹션에는 위험 및 환자에 대한 표시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노출된 그룹입니다.

6.2.5.2.5.4. SU PUR 모듈. "사용 및 실제 사용에 대한 승인된 적응증" 섹션.

안전 사양을 업데이트하려면 의료 현장에서의 실제 사용이 ERP 모듈에서 예측된 사용, 승인된 적응증 및 금기 사항(승인된 적응증 이외의 사용)과 어떻게 다른지 구체적으로 참조해야 합니다. 이 섹션에는 다음과 같은 의약품의 사용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여 의약품 사용에 대한 연구(또는 의약품 사용 적응증에 대한 연구가 포함된 기타 관찰 연구의 결과)에서 얻은 정보가 포함됩니다. 위험 관리 이외의 목적으로 회원국의 관할 당국의 요청에 따라 수행되었습니다.

오프라벨 사용에는 다양한 연령대의 소아 환자에 대한 승인되지 않은 사용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이 임상 시험의 일부가 아닌 경우 SmPC에서 승인되지 않은 적응증에 대한 사용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회원국의 관할 당국이 승인되지 않은 적응증에 대한 의약품의 기존 사용과 관련하여 우려 사항이 있는 경우, 판매 허가 보유자는 사용된 데이터 획득 평가 방법을 명시하여 이러한 사용을 정량화해야 합니다.

6.2.5.2.5.5. SU PUR 모듈. 섹션 "역학 연구에 적용"

이 섹션에는 안전성 데이터의 수집 및 평가를 포함하는 역학 연구 목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음 정보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연구 이름, 연구 유형(예: 코호트 연구, 사례 대조 연구), 연구 모집단(주 이름 및 기타 모집단 특성 포함), 연구 기간, 각 범주의 환자 수 , 질병(해당되는 경우) ), 연구 상태(완료 또는 진행 중). 연구가 출판된 경우, RMP의 이 섹션에 참고문헌이 포함되어야 하며, RMP의 부록 번호 7에 해당 출판물이 제공됩니다.

6.2.5.2.6. SU PUR 모듈 - 안전 사양에 대한 추가 요구 사항입니다.

6.2.5.2.6.1. SU PUR 모듈. "과다복용의 잠재적 위험" 섹션.

의도적이든 우발적이든 과다복용의 위험이 있는 약물에는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그 예로는 치료 간격이 좁은 약물, 광범위한 용량 관련 독성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 및/또는 대상 집단에서 의도적인 과다 복용 위험이 높은 약물(예: 우울증)이 포함됩니다. 과다복용 위험이 안전 문제로 확인되면 RMP 모듈 V에 설명된 적절한 위험 최소화 조치의 일부로 이 안전 측면에 대한 추가 조치가 제안됩니다.

6.2.5.2.6.2. 모듈 CVI PUR. "감염원 전파의 잠재적 위험" 섹션.

판매 허가 보유자는 감염원 전파의 잠재적 위험을 평가해야 합니다. 이는 제조 공정이나 사용된 재료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백신의 경우, 살아있는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을 고려해야 합니다.

6.2.5.2.6.3. 모듈 CVI PUR. "남용 및 불법 사용의 잠재적 위험" 섹션.

이 섹션에서는 불법적인 목적을 위한 약물 남용 및 사용의 잠재적 위험을 평가해야 합니다. 불법적인 목적을 위한 의약품의 남용 및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조치(필요한 경우)의 적절성을 고려해야 합니다(예: 제형에 특수 색상 및/또는 향미제 사용, 포장 크기 제한). 및 의약품의 유통 관리).

6.2.5.2.6.4. 모듈 CVI PUR. 섹션 "약물을 처방하거나 복용할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판매 허가 보유자는 의약품 처방이나 투여 시 오류 가능성을 정기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특히, 의약품이 시장에 출시되기 전에 의약품을 처방하거나 투여할 때 발생하는 일반적인 오류 원인을 평가해야 합니다. 의약품이 시장에 출시되는 개발 및 설계 단계에서 신청자는 의약품을 처방하거나 복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의 원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명칭, 제형 특성(예: 제형 및 포장의 크기, 모양, 색상), SmPC의 정보(예: 희석, 비경구 투여 경로, 용량 계산에 관한 정보) 및 의약품 표시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라벨링과 환자 정보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요구사항을 따라야 합니다. 약물의 사용이 부적절한 투여로 인해 심각한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그러한 부적절한 투여를 방지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우려는 잠재적으로 위험한 경로를 통해 투여되는 다른 약물과 함께 해당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상적인 의료 행위의 일부일 때 특히 정당화됩니다. 이 경우 투약 오류의 위험은 안전 문제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약물의 다양한 투여 형태가 존재하는 경우, 투여량이 다른 약물과 일반적으로 동시에 처방되거나 복용되는 약물 간의 시각적(또는 물리적) 구별의 적절성을 평가합니다. 동일한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생물학적 동등성이 확인되지 않은 다른 의약품이 시판되고 있는 경우, 의학적 오류를 예방하고 위해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제안해야 합니다.

의약품을 시각 장애가 있는 인구에게 사용하도록 의도된 경우, 투약 오류 가능성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이는 위험이 확인될 때 안전 문제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어린이가 우발적으로 섭취하거나 기타 의도하지 않은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위험과 조치를 평가합니다.

임상시험을 포함해 제품 개발 과정에서 확인된 의약품 오류를 검토해야 하며, 오류 자체, 잠재적 원인, 수정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적절한 경우, 의약품 개발의 최종 단계에서 이러한 모든 위험을 어떻게 고려했는지 명시해야 합니다.

등록 후 기간 동안 의료 오류로 인한 부작용이 확인된 경우 RMP 업데이트에서 이를 해결하고 오류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해야 합니다.

의약품의 조성 및 용량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투약오류의 위험성을 안전성 문제로 고려해야 하며, 기존 의약품과 신규 의약품 간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판매 허가권자가 취할 조치는 무엇인지를 고려하여야 한다. 위험 최소화 계획의 일부로 설명됩니다. 제조된 의약품의 표시 형태, 포장 크기, 투여 경로 또는 기타 특성의 변화와 관련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의 타당성을 평가합니다.

의약품을 의료 기기(통합 여부에 관계없이)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환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모든 위험(의료 기기의 오작동)을 고려해야 합니다.

6.2.5.2.6.4. 모듈 CVI PUR. 섹션 "소아과에서의 사용의 특별한 측면."

이 섹션에서는 PUR의 CVI 모듈에서 다루지 않는 소아과에서의 약물 사용에 대한 다음 측면을 논의합니다.

a) 소아 연구 설계에서 확인된 문제. 소아 환자에게 사용할 때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후속 장기 모니터링에 대한 권장 사항이 표시됩니다. 이러한 측면이 더 이상 안전 문제가 아닌 경우 적절한 설명과 타당성이 제시되어야 합니다.

특정 장기 소아 연구에 대한 제안은 소아 적응증을 신청할 때 고려해야 합니다. 장기간의 소아 연구 데이터의 필요성에 대해 의문이 있는 경우 타당성을 제시해야 합니다.

b) 승인된 적응증 이외의 소아용 사용 가능성. 해당 의약품의 사용에 대해 승인된 적응증인 질병이 소아 집단에서도 발생하지만 소아 집단에서 사용되는 경우, 소아 집단 또는 그 일부에서 라벨 외 의약품을 사용할 위험을 평가해야 합니다. 승인되지 않았습니다. 의약품의 가능한 모든 실제 사용 방향은 SU PUR 모듈의 "등록 후 사용 경험" 섹션(본 규칙의 6.2.5.2항에 명시됨) 및 "등록 후 결과" 섹션에 반영되어야 합니다. SU PUR 모듈의 임상 시험에서 연구되지 않은 환자 그룹에 사용(이 규칙의 단락 6.2.5.3에 지정됨).

6.2.5.2.6.6. 모듈 CVI PUR. "예상 등록 후 사용" 섹션.

시판 전 RMP의 경우 또는 의료용 적응증의 중대한 변경을 신청하는 경우, 판매 허가 보유자는 예상 사용 방향, 시간 경과에 따른 의약품의 의도된 사용 및 위치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치료 무기고의 의약품.

승인된 적응증을 벗어난 약물의 잠재적 사용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6.2.5.2.7. 모듈 СVII PUR. “식별된 위험과 잠재적인 위험.”

이 ERP 모듈에는 확인된 부작용과 잠재적인 이상 반응, 다른 약물, 식품 및 기타 물질과의 확인된 상호 작용, 약리학적 계열 효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의약품 사용과 관련된 중요한 확인된 위험과 잠재적인 위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6.2.5.2.7.1. 모듈 СVII PUR. "새로 식별된 위험" 섹션.

이 섹션에는 마지막 RMP 제출 이후 확인된 보안 문제가 나열되어야 하며, 이는 RMP PMS 모듈의 해당 섹션에서 자세히 분석됩니다. 이 섹션에서는 안전 문제의 원인 요소, 이 위험 측면이 확인된 중요한 위험인지 또는 중요한 잠재적 위험인지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고, 필요한 위험 완화 조치 또는 이 위험 측면에 대한 새로운 특별 연구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6.2.5.2.7.2. 모듈 СVII PUR. "확인된 중요한 위험 및 중요한 잠재적 위험에 대한 세부정보" 섹션.

이 섹션에서는 가장 중요하게 식별된 잠재적 위험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섹션은 간략해야 하며 임상 시험에서 발생하는 이상 반응 표 및 목록에서 선택한 데이터를 나타내거나 SmPC의 "이상 반응" 섹션의 제안 또는 실제 내용을 복사해서는 안 됩니다.

중요한 위험의 정의는 개별 환자에 대한 영향, 위험의 심각도, 공중 보건에 대한 영향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SmPC의 금기 사항, 경고 및 주의 사항에 포함되어야 하거나 포함될 수 있는 모든 위험은 이 섹션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중요한 임상적 중요성과 중요한 약리학적 계열 효과가 있는 상호작용도 이 섹션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특정한 경고나 주의가 필요할 만큼 심각하지는 않지만 연구 집단의 상당 부분에서 발생하는 위험은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적절하게 치료되지 않으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예: 심각한 화학요법이나 기타 약물 치료와 관련된 메스꺼움 및 구토)는 이 섹션에 포함시키는 것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일부 의약품의 경우, 사용한 의약품의 폐기와 관련된 위험을 고려해야 합니다(예: 경피 패치). 환경에 유해한 영향이 알려진 것으로 인해(예: 수생 생물에 특히 유해하고 매립해서는 안 되는 물질) 의약품을 폐기할 때 환경적 위험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위험 보고에는 다음과 같은 세부 정보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 빈도;
  • 공중 보건 영향(심각성, 심각성, 가역성, 결과)
  • 개별 환자에 대한 영향(삶의 질에 대한 영향)
  • 위험 요인(환자 요인, 용량, 위험 기간, 추가 또는 상승 요인 포함);
  • 예방 가능성(즉, 예측 가능성, 발달을 방지하는 능력 또는 초기 단계에서 감지하는 능력)
  • 가능한 개발 메커니즘;
  • 데이터 출처와 증거 수준.

개발 빈도에 대한 데이터는 신뢰성을 고려하고 안전 데이터의 출처를 명시해야 합니다. 이 방법은 필요한 신뢰 수준으로 발생률 매개변수의 추정치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보고된 데이터로부터 발생률을 추정해서는 안 됩니다. 확인된 중요한 위험에 대해 정확한 빈도를 계산하려면, 의약품에 노출된 환자의 정확한 수와 관련 확인된 위험을 경험한 환자의 수가 포함된 체계적인 연구(예: 임상 시험 또는 역학 연구)를 기반으로 해야 합니다. 알려져 있습니다.

어떤 빈도 지표가 사용되는지, 즉 분모가 표시되는 측정 단위(예: 환자 수, 환자 일수 또는 이에 상응하는 단위(치료 과정, 처방 등))가 표시되어야 합니다. 신뢰구간도 제공되어야 합니다. "특정 기간의 환자 수"라는 측정 단위를 사용하는 경우 위험 함수가 이후 시간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해야 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불변성 가정이 충족되는 적절한 범주로 분류되어야 합니다. 이는 치료 기간이 위험 요인인 경우 특히 중요합니다. 필요한 경우 가장 큰 위험이 있는 기간을 결정해야 합니다. 식별된 위험의 빈도는 인구 전체와 관련 인구 하위 그룹에 대해 제시되어야 합니다.

확인된 중요한 위험에 대해서는 비교군에서 해당 위험이 초과된 발생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생존 방법을 사용하여 이상반응 발생 시점에 대한 데이터를 요약할 필요가 있습니다. 누적 위험 함수는 이상반응이 발생할 누적 확률에 대한 데이터를 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잠재적 위험에 대해서는 대상 모집단의 기본 빈도(유병률)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해야 합니다.

단일 의약품을 포함하는 RMP에서 특정 적응증이나 제제와 관련된 위험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안전 문제로 간주됩니다(예: 우발적인 정맥 투여는 개별 의약품과 경구 투여 형태에 대한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피하 투여용 형태).

식별된 위험과 잠재적 위험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여러 의약품을 포함하는 RMP에서는 어떤 위험이 어떤 의약품과 연관되어 있는지 보여주기 위해 위험을 분류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이 분류에는 다음 제목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a) 활성 성분과 관련된 위험. 이 범주에는 모든 약물 제제, 투여 경로 및 대상 집단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중요한 확인된 위험 또는 잠재적인 위험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약물과 관련된 대부분의 위험은 이 범주에 속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b) 특정 구성 또는 투여 경로와 관련된 위험. 두 가지 제형의 약물(예: 지속성 근육 주사제와 경구제)이 포함된 PUR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발적인 정맥 주사 투여와 관련된 추가 위험은 분명히 경구용 약물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c) 목표 모집단과 관련된 위험. 소아 집단은 성인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의약품에는 적용되지 않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 발달과 관련된 추가적인 위험을 제시할 수 있는 표적 집단의 가장 명백한 예입니다.

d) 처방전 없이 약을 조제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위험.

6.2.5.2.7.3. 모듈 СVIIМ PUR. 섹션 "다른 약물 및 식품과의 상호작용을 포함하여 확인된 상호작용 및 잠재적인 상호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