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염 수술 : 징후 및 결과. 급성 췌장염

급성 췌장염의 외과 적 치료는 췌장 조직에 괴사의 병소가 나타나는 상황에서 필요합니다. 종종 조직 괴사는 감염을 동반합니다.

외과 적 개입의 필요성에 관계없이 어떤 의사가 췌장염을 치료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은 외과 의사라는 단어입니다. 합병증을 신속하게 인식하고 환자 관리를 위한 올바른 전술을 선택할 수 있는 사람은 바로 그 사람입니다.

급성 췌장염 수술 두 가지 버전으로 수행되었습니다.

  • 의사가 복벽과 요추 부위를 절개하여 췌장에 접근하는 개복술;
  • 환자의 복벽에 구멍을 뚫어 수행되는 최소 침습적 방법(복강경 검사, 천자-배액 중재).

농양, 감염된 낭종 및 가성낭종, 광범위하게 감염된 췌장 괴사, 후복막 조직의 담, 복막염 등 췌장 괴사의 화농성 합병증이 발견되면 개복술을 시행합니다.

그들은 최소 침습적, 보존적 방법, 출혈을 이용한 치료 중에 명확한 부정적 역학이 존재하더라도 광범위한 개입에 의존합니다.

복강경 검사 및 후속 배액을 통한 천자는 무균 형태의 질병 및 감염된 체액 형성의 내용물에서 삼출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개복술의 준비 단계로 최소 침습적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을 위해 환자를 준비하는 주요 활동은 금식입니다. 췌장염에 대한 응급처치이기도 합니다.

환자의 위와 장에 음식이 없으면 장 내용물로 인한 복강 감염 및 마취 중 구토 흡인과 관련된 합병증의 위험이 크게 감소합니다.

수술 당일:

  • 환자는 음식을 섭취하지 않습니다.
  • 환자에게 클렌징 관장을 실시합니다.
  • 환자에게 사전 투약을 실시합니다.

전처방은 환자가 마취에 들어가기 쉽게 하고 수술에 대한 두려움을 억제하며 분비선의 분비를 감소시키고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하는 약물 투여로 구성됩니다.

이를 위해 수면제, 진정제, 항히스타민제, 항콜린제, 신경이완제, 진통제가 사용됩니다.

급성 췌장염의 수술적 치료는 대개 기관내 마취와 근육 이완을 병행하여 시행됩니다. 환자는 수술 중 기계적 환기를 받고 있습니다.

급성 췌장염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수술 중재

  1. 원위 절제술콩팥. 다양한 양의 췌장의 꼬리와 몸체를 제거하는 작업이 포함됩니다. 췌장 손상이 제한적이고 전체 기관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됩니다.
  2. 소계 절제술꼬리, 몸통, 췌장 머리의 대부분을 제거하는 작업으로 구성됩니다. 십이지장에 인접한 부위만 보존됩니다. 수술은 글랜드가 완전히 손상된 경우에만 허용됩니다. 이 기관은 짝이 없기 때문에 수술 후 췌장 이식을 통해서만 기능을 완전히 회복할 수 있습니다.
  3. 괴사절제술초음파 및 투시법 제어하에 수행됩니다. 확인된 췌장의 체액 형성에 구멍을 뚫고 배액관을 사용하여 그 내용물을 제거합니다. 다음으로, 더 큰 구경의 배수구가 구멍에 삽입되고 헹굼 및 진공 추출이 수행됩니다. 치료의 마지막 단계에서 대구경 배수구는 소구경 배수구로 교체되어 충치와 수술 후 상처의 점진적인 치유를 보장하면서 유체 유출을 유지합니다.

급성 췌장염의 수술적 치료의 합병증

수술 후 가장 위험한 합병증 이다:

  • 다발성 장기 부전;
  • 췌장성 쇼크;
  • 패혈성 쇼크.

나중에 췌장 수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성낭종;
  • 췌장 누공;
  • 당뇨병 및 외분비 기능부전;
  • 소화불량 현상.

췌장 수술 후 환자의 영양 및 처방

수술 후 처음 2일 동안 환자는 금식합니다. 그런 다음 차, 으깬 채식 수프, 삶은 죽, 찐 단백질 오믈렛, 크래커, 코티지 치즈가 점차 식단에 도입됩니다. 이것은 첫 주 동안 췌장 수술 후 먹을 수 있는 전부입니다.

앞으로 환자들은 소화기 질환에 대한 일반적인 식단을 고수합니다. 환자의 신체 활동은 수술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지금까지 급성 췌장염의 다양한 수술적 치료 방법에 대한 적응증과 금기 사항을 결정하는 데 의견 차이가 있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급성 췌장염의 외과 적 치료는 수많은 외과의 포럼에서 논의되었습니다. 국제 위장병 외과 학회의 I 세계 회의 (1971), 전 러시아 과학 의학 외과 의사 학회 이사회 VI 총회 (1972), 전 러시아 외과 의사 회의 (1973), V 불가리아 외과 의사 회의 (1974), V 전 러시아 외과 의사 회의 (1978), VIII 벨로루시 외과 의사 회의 (1979), 총회 소련 의학 아카데미 응급 수술에 관한 전체 연합 문제위원회 (1980) 등
토론 결과, 부종성 형태의 급성 췌장염 치료 문제에 대해 외과 의사들이 만장일치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존적 치료가 선택 방법으로 인식되었습니다. 파괴적인 형태의 처리에 관한 합의는 없습니다. 대부분의 외과 의사는 특별한 적응증, 가장 흔히 췌장성 복막염, 농양 또는 췌장 가성낭종에 대해 외과적 치료를 수행합니다. 치료 전술을 결정하는 데 있어 주요 불일치는 췌장성 복막염으로 인해 복잡한 급성 췌장염 형태를 진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가장 중요한 모순은 급성 췌장염의 외과 적 치료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일부 외과의사 [Shapkin V.S. et al., 1975; Vinogradov V.V. et al., 1979] 급성 췌장염을 치료하는 외과적 방법은 용납될 수 없다고 믿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은 췌장 위의 복막을 절개하지 않고 대망 활액낭의 탐폰 삽입 및 배액에 대한 개입을 제한합니다[Lobachev S.V., 1953; Polivanov I., 1963; Gomzyakov G.I. 외, 1969; Eletskaya O.I. 1971; 매티그, 클라우스, 1967]. 소위 폐쇄 수술의 지지자들은 선 캡슐 해부의 부정적인 영향에 주목합니다 [Shalimov A. A., 1970; 모로즈 I.M., 1974; Toskin K.D. 등, 1976; Muresan et al., 1962], 췌장 주위 노보카인 차단 및 대망췌장 고정술로 수술을 보완합니다[Toskin K.D., 1966, 1970, 1976; Avdey L.V. 등, 1974; Fitsenko A.Ya 등, 1979 등]. 많은 저자들이 큰 췌장관의 배액, 담도의 감압 수술과 결합된 폐쇄 방법을 제안했습니다[Ivanova V.M., Shaak T.V.g. 1965년; Gluskina V.M., 1972; Glenn, Frey, 1964] 그리고 심지어 유두괄약근절개술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최근에는; 질병의 급성기에 췌장 절제술에 대한 보고가 증가했습니다. 췌장 절제술, 췌장 소계 절제술, 심지어 췌장 전체 절제술을 통한 급성 췌장염의 근본적인 외과적 치료에 대한 아이디어는 오래 전에 나타났습니다. 1895년 Korte, 1927년 Hoffman, 1949년 S.G. Rukosuev는 췌장 괴사를 위해 췌장 절제술을 시행했습니다. 췌장 괴사에 대한 최초의 성공적인 췌장절제술은 1963년 Watts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B. A. Korolev et al.은 유리한 결과를 얻은 상당수의 유사한 작업을 보고했습니다. (1972), Filin V.I.(1979), Shalimov A.A.(1981), Hollender et al. (1970), Alexanderet al. (1977), Royet al. (1977) 및 기타.
그러나 대부분의 외과 의사들은 췌장 괴사에 대한 췌장절제술의 필요성과 적응증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지 않습니다 [Chaplinsky V.V., Gnatyshak A.I., -1972; 비노그라도프 V.V. 등, 1974; Akzhigitov G.N., 1974; 글레이저, 1975; Latasteet al., 1977,. 등]. "급진적인" 수술 전술을 포기하는 주된 이유는 췌장 괴사의 유병률에 대한 수술 중 진단의 어려움, 수술 기술의 복잡성, 나머지 췌장 부분의 괴사를 예방할 수 없음, 높은 수술 후 사망률, 수술 후 내분비 및 외분비 췌장 부전.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에서 급성 췌장염의 외과 적 치료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폐쇄 수술, 즉 대망 점액낭 배액 후 복막 관류 및 대망 췌장 고정술입니다.
이름을 딴 교수 외과 클리닉에서. S.I. Spasokukotsky II MORGMI는 1936년부터 1979년까지 다양한 형태의 급성 췌장염 및 합병증에 대해 275건의 수술을 수행했으며 전체 수술 후 사망률은 32%였습니다. 분석 기간 동안 병원의 급성 췌장염 치료 전략이 바뀌었습니다. 1966년까지 파괴적인 형태의 급성 췌장염 환자 대부분은 수술을 받았습니다. 이 기간 동안 상당수의 환자가 부종성 및 부종성 출혈성 급성 췌장염으로 수술을 받았습니다. 이는 진단의 필요성만큼 높은 수술 활동으로 설명되지 않습니다. 질병의 임상상이 불분명하고 복막염 증상이 있을 때 수술이 수행되었습니다. 개방형 수술이 수행되었습니다: 선 조직 위의 복막을 절개하고 절개된 위대장 인대를 통해 소망막의 구멍을 탐폰으로 채우는 수술입니다.
이 기간 동안 환자의 절반 이상이 췌장괴사로 수술을 받았고, 수술 후 합병증이 가장 많고 수술 후 사망률도 40.4%로 가장 높았다.
급성 췌장염에 대한 적극적인 수술 치료의 불만족스러운 결과와 임상 및 생화학적 진단의 개선, 새로운 효과적인 보수 치료 방법, 특히 억제제 치료법의 임상 실습 도입으로 인해 우리는 주로 보수 치료로 전환해야 했습니다. 치료. 또한, 수술 후 합병증이 많이 발생하여 췌장 괴사 수술 방법을 변경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당시의 의견에 따르면 실질의 파괴적인 과정을 예방하고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췌장 캡슐의 해부는 췌장 간질의 소엽 구조로 인해 효과가 없으며 실질 및 실질에만 손상을 초래한다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혈관, 출혈 및 누공 형성. 거즈 면봉을 췌장에 바르면 대망 점액낭, 후복막 조직 및 복강이 감염됩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우리는 삼출물 및 췌장 주변 노보카인 차단을 제거한 후 대조구를 통해 배액을 제거하면서 대망 활액낭을 배액하는 폐쇄 수술 방법을 개발하고 구현하게 되었습니다. 1965년부터 클리닉에서는 장막췌장고정술(omento-pancreatopexy)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췌장의 전면을 대망막 가닥으로 감싸서 유착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과정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대망막의 풍부한 혈관은 췌장에 향상된 혈액 공급을 제공하고 괴사 부위의 조직화 및 캡슐화를 가속화합니다. 우리는 대망췌장고정술(omento-pancreatopexy)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것이 소형 및 대형 초점 형태의 췌장 괴사에 대한 외과적 치료에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췌장성 복막염으로 인한 췌장 괴사의 경우, 1971년부터 우리는 수술 후 항효소제, 항생제가 포함된 등장성 용액의 복강 내 주입 및 복막 삼출물의 동시 능동적 배출을 위해 미세세척 장치 및 복강 내 배액 장치를 도입하여 대망췌장고정술을 보완해 왔습니다. 복막투석 종류에 따른 과잉 주입액.
대망췌장고정술 기술. 수술은 상중간 개복술로 시행됩니다. 위대장 인대를 건너고 췌장과 담도를 교정한 후 횡행 결장의 장간막 뿌리, 십이지장 후부 및 췌장 후 섬유의 세 지점에서 억제제를 추가하여 췌장 주위 노보카인 봉쇄를 수행합니다. 십이지장의 말굽, 몸과 샘 꼬리 부분의 섬유가 침투합니다. 소망막의 구멍을 통해 미세세척 장치가 분비선의 전면으로 이동됩니다. 대망췌장고정술은 위췌장인대를 절개한 후 시행됩니다. 대망막의 충분히 이동 가능한 가닥은 위대장 인대의 구멍을 통과하고 별도의 봉합사를 사용하여 췌장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서 봉쇄 후 쉽게 볼 수 있는 복막층에 고정됩니다. 위대장인대의 구멍은 별도의 장선봉합사로 봉합됩니다. 억제제의 복강 내 주입을 수행하기 위해 마이크로세척기는 쇄골 중앙선을 따라 늑골 아치 가장자리에 투관침을 사용하여 설치됩니다. 오른쪽은 대망공 방향으로, 왼쪽은 횡경막의 왼쪽 돔 방향으로 설치됩니다. 복막 삼출물과 과잉 주입 용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가 양쪽 장골 부위에 설치됩니다.
췌장의 복부화. 췌장 괴사의 경우 췌장의 전면과 후면 모두 똑같이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효소와 분해산물이 후복막강의 섬유, 대장과 소장의 장간막으로 쉽게 들어가고 때로는 골반에 도달하여 괴사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급속한 중독이 발생하게 된다. 복막염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한 복강 배액, 대망췌장고정술은 이러한 조건에서 선의 후방 표면의 과정의 경계를 제공하지 않으며 효소 및 분해 생성물이 후복막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지 않습니다. [Starodubtseva L.N., 1978; Mayat V.S. 등, 1979].
V. A. Kozlov (1977)는 후 복막 공간에서 복강으로 선을 제거하는 수술을 개발하여 임상에서 사용했습니다. 저자는 이 수술을 '췌장 복부화'라고 불렀다.
23건의 복부선 수술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는 선 조직의 격리 및 용해가 감지되지 않고 치료의 희망이 있는 지방 췌장 괴사와 그 혼합형에 대해 적응증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작동(그림 43, a, b, c)

상부 정중선 개복술로 수행됩니다. 몸의 아래쪽과 위쪽 가장자리와 샘의 꼬리를 따라 샘 주변 조직에 노보카인 용액을 도입한 후 정수리 복막을 절개합니다. 선의 몸체와 꼬리는 복막 후 공간에서 완전히 무혈로 뭉툭하게 분리됩니다. 장막 플랩의 자유 끝은 샘 아래로 가져오고 샘은 그로 싸여 있습니다. 측면 구멍이 있는 배액관을 샘과 대망 사이에 배치하고, 이는 왼쪽 요추 부위의 별도 절개를 통해 제거합니다. 적응증에 따르면 후 복막 공간은 담관뿐만 아니라 항생제를 투여하기 위해 추가로 배액됩니다. Kocher에 따르면 장막은 동원 후 췌장 머리 아래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목 부분의 샘만 후복막 공간과 연결됩니다.
췌장의 복부화는 대망췌장고정술보다 복강으로부터의 병리학적 과정의 더 확실한 경계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효소 및 분해 생성물이 후복막 공간, 대장 및 소장의 장간막으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중단할 수 있습니다. 19예에서는 췌장이 복부화되어 환자가 회복되었고, 그 중 15예에서는 장기적으로 만성췌장염의 징후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췌장의 공급으로 인한 혈액공급이 양호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복막으로 덮이지 않은 선의 뒤쪽 표면에 대한 대망, 접촉 면적의 증가 및 혈관의 급속한 증식.
췌장의 국소 저체온증. 급성 췌장염 치료를 위한 복합적인 조치에는 복벽, 위, 결장을 통해 췌장을 냉각시키는 저체온요법이 포함됩니다. 온도가 크게 낮아지면 선 조직의 대사 과정이 억제되고, 효소 기능이 감소하며,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이 감소합니다.
V. A. Kozlov(1979)의 실험 연구에 따르면 췌장의 직접적인 국소 저체온요법이 위 저체온요법보다 몇 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국소 직접 저체온요법은 수술 중 췌장에 연결된 특수 프로브를 사용하여 수술 후 수행됩니다. 샘 수술(배액술, 대망고정술, 복부 수술 등) 후 특수 제작된 라텍스 풍선을 그 위에 놓고 이중 내강 튜브에 연결하여 왼쪽 hypochondrium의 별도 절개를 통해 꺼냅니다. 수술 후 처음 2~4일 동안은 환자의 상태와 실험실 검사 데이터를 고려하여 외부로 꺼낸 이중 내강 튜브를 통해 1일 3회, 2~4시간 동안 주기적으로 췌장을 냉각시킵니다. 환자의 상태가 호전된 후 풍선을 비우고 제거합니다. V. A. Kozlov는 이 방법의 주요 장점은 심각한 전신 저체온증 없이도 췌장의 상당한 국소 냉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저체온요법만을 시행하기 위해 특별히 수술을 권하지는 않는다.
폐쇄 수술은 췌장 괴사 환자 72명에서 시행되었으며 사망률은 29%였으며, 개방 수술은 119명 환자에서 시행되었으며 사망률은 47%였습니다. 대망췌장고정술은 췌장 괴사 환자 35명에게 시행되었으며 사망률은 25%였습니다. 췌장 괴사 환자 23명을 대상으로 복부화술을 시행하였고, 그 중 4명(17%)이 사망하였습니다.
결과 분석에 따르면 급성 췌장염에 대한 폐쇄 수술은 병리학적 과정의 무균성을 보존하고, 독성이 강한 복막 삼출물의 배출 및 비활성화를 허용하고, 분비선에 억제제를 가져오고, 췌장 및 췌장 주위 조직. 대망췌장고정술과 선의 복부화는 췌장의 괴사 및 격리 기간 동안 병리학적 과정을 제한하고 췌장성 복막염 및 후복막 담의 발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최근까지 급성 췌장염의 퇴행성 화농성 합병증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관심은 부족했습니다. 이는 그러한 합병증이 그렇게 자주 발생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의해 주로 설명됩니다. 그러한 중병 환자는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에 사망했습니다. 올바른 치료 방법을 사용하면 심각한 병리학적 과정을 중단하고 환자를 췌장 독성 및 쇼크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으므로 확산성 췌장 괴사의 불가피한 결과인 퇴행성 및 화농성 합병증의 수도 상대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췌장, 췌장 주위 및 후복막 조직의 유병률 및 파괴 특성과 감염의 추가에 따라 퇴행성 및 화농성 합병증의 형태가 결정됩니다: 선의 다낭성 변성, 괴사 후 침윤 또는 가성낭종, 후성 또는 화농성 췌장염, 농양 선의, 후복막 조직의 퇴행성 및 화농성 담, 퇴행성 및 화농성 장염. 괴사후 침윤을 제외하고 모든 형태의 퇴행성 및 화농성 합병증에 대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화농성 췌장염 환자 22명을 수술했습니다. 모두 대망 활액낭의 농양이 열리고 탐포네이드 및 배액술이 시행되었으며 4예에서는 요추절제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화농성 췌장염으로 수술한 환자의 사망률은 50%였다.
화농성 합병증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유망한 방법은 격리 절제술, 괴사 절제술, 선 절제술 및 심지어 췌장 절제술과 같은 초기 급진적 수술의 시행을 도입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의 경험에서 알 수 있듯이, 적극적인 치료가 효과가 없고 괴사 과정이 빠르게 진행되는 10%의 환자에게 그러한 개입이 정확하게 수행되어야 합니다.
가장 어려운 문제는 광범위하고 총 괴사가 돌이킬 수 없는 과정을 수반하는 급성 췌장염을 적시에 진단하는 것입니다. 현대 진단 방법(효소 활성 결정, 복강경 검사, 선택적 혈관 조영술 등), 특정 환자의 임상상 및 질병 경과에 대한 철저한 연구, 집중 치료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이러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적시에 심각한 형태의 질병.
우리는 췌장 괴사에 대한 13건의 응급 급진적 중재 경험이 있습니다: 격리 절제술 2건, 괴사 절제술 3건, 비장 절제술을 이용한 췌장 체체 꼬리 절제술 8건. 수술 직후 4명의 환자가 사망했습니다.
이러한 작업의 기술은 전문 문헌에 설명되어 있으므로 자세히 설명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구현의 일부 기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격리절제술(죽은 조직 내에서 괴사된 분비선 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수지쇄설증에 의해 무뚝뚝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출혈을 동반하지 않습니다.
괴사절제술(혈액 공급 조직 내 선의 괴사 부분 제거)은 급격하게 수행됩니다. 선 조직은 괴사의 경계를 따라 절개되고 출혈 혈관은 조심스럽게 결찰됩니다.
췌장 절제술 - 변하지 않은 췌장 조직 내에서 가로 교차점이 있는 기관의 일부를 제거하는 경우(그림 44) 비장절제술이 동반되거나 동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더 자주, 췌장의 체체 꼬리 절제술은 비장 제거와 결합됩니다. 일반적으로 후 복막, 췌장 주위 조직의 침윤으로 인한 췌장 괴사의 경우 비장 정맥의 혈전증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비장을 보존하는 것은 혈관 척추경을 선 조직에서 분리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수술을 복잡하게 만듭니다.
괴사성 선의 분리는 일반적으로 선에 공급되는 모든 작은 혈관의 혈전증과 둔기 및 급성 분리 모두에서 출혈이 없기 때문에 어렵지 않습니다. 선 그루터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됩니다. UKL 또는 UO 장치를 사용하여 수동 봉합과 기계적 봉합을 모두 사용했습니다. 선 그루터기의 봉합선 밀봉은 의료용 접착제(MK-6, MK-7 등)를 사용하여 보장됩니다.
췌관(Wirsung duct)의 캐뉼러 삽입 및 외부 배액은 수술 중 췌장조영술로 확인된 원위 췌관 폐쇄의 경우에만 사용되었습니다(그림 45).


비장 정맥에 혈전이 있는 경우, 문맥계로 혈전색전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분비선의 분리 및 절제는 주의 깊게 수행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경우 키예프 임상 및 실험 수술 연구소에서 사용되는 비장 정맥의 혈전 제거술이 표시됩니다 (그림 46). 이 작업의 세부 사항은 그림에 나와 있습니다.


급진적 수술 중 특히 중요한 것은 췌장 바닥과 복강 일부의 배수입니다.
췌장염 치료를 특별히 개발하는 클리닉의 집단적 경험에서 알 수 있듯이 수술 결과는 삼출물의 확실한 배출과 수술 부위의 지속적인 세척 가능성에 크게 좌우됩니다. V. S. Zemskov는 췌장 절제 후 복강 내 배수구의 가장 합리적인 위치를 제안했습니다(그림 47).


췌장 괴사에 대한 폐쇄 수술과 같은 급진적 수술은 일반적으로 담도의 감압(담낭절개술, 총담관의 외부 배액)으로 완료됩니다. 단단하게 감긴 복벽을 봉합하면 수술이 완료됩니다.
췌장 괴사에 대한 췌장 십이지장 절제술은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A. A. Shalimov(1979)는 십이지장벽 파괴를 동반한 췌장 전체 괴사 환자 2명을 대상으로 성공적으로 시행했습니다.

급성췌장염은 병원병원에서만 치료합니다. 이 질병은 환자에게 장애뿐만 아니라 사망까지 위협합니다. 따라서 집에서 어떤 치료에 대해서도 이야기 할 수 없습니다. 급성 췌장염이 처음 의심되면 환자는 외과 병원이나 중환자실로 이송되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그는 약물 치료를 받게 될 것이며 파괴적인 췌장염으로 인해 환자는 수술대에 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췌장염의 약물 치료

급성췌장염 환자에게 가장 먼저 처방하는 것은 추위와 배고픔, 휴식이다.이 공식은 수세기 동안 의사들에 의해 사용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도 관련성을 잃지 않았습니다. 환자는 움직이거나 식사를 할 수 없으며, 배에 얼음을 대야 합니다. 이러한 비약물 조치는 췌장의 활동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기관을 파괴하는 소화 효소의 분비가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손상 부위가 감소합니다.

급성 췌장염 환자의 약물 치료 전술은 환자의 중증도, 병리학적 과정의 유병률, 감염 과정의 유무 및 중증도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부종성 형태의 급성 췌장염의 경우 예후가 더 좋으며 치료는 종종 약물 처방으로 제한됩니다. 파괴적인 형태의 췌장염의 경우 어떤 경우에는 환자에게 외과 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초기 단계의 급성 췌장염에 대한 약물 치료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통증 완화;
  • 탈수증 퇴치;
  • 중독과 싸우다;
  • 미세 순환 장애 교정;
  • 세균 감염 예방;
  • 췌장 기능 저하.

통증을 없애기 위해 진경제 (papaverine, drotaverine)와 항염증제 (dexketoprofen, diclofenac)가 처방됩니다. 진경제는 여러 가지 목적으로 필요합니다. 첫째, 통증을 줄여줍니다. 둘째, 담도와 오디 괄약근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담즙이 췌장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됩니다. 셋째, 위와 십이지장의 압력이 감소합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주로 통증 완화를 목적으로 처방됩니다. 그러나 부종 방지 효과도 있어 염증이 있는 췌장의 부종을 줄여줍니다. 파괴적인 형태의 췌장염의 특징인 뚜렷한 통증 증후군의 경우 의사는 환자에게 마약성 진통제(예: 모르핀)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탈수증과의 싸움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환자에게 정맥 내 주입 용액을 주입합니다.일반적으로 탈수의 결과는 제어할 수 없는 구토입니다. 이는 췌장의 급성 염증의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염화물 형태의 칼륨은 일반적으로 용액에 첨가됩니다. 왜냐하면 이 미네랄의 결핍은 탈수에 자주 동반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펜톡시필린과 같은 미세순환 교정제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순환혈액량의 보상과 병행하여 해독요법을 실시합니다. 이를 위해 솔루션 외에도 환자에게는 이뇨제가 투여됩니다.때로는 혈액 정화 절차가 처방됩니다. 예를 들어, 흡혈. 그러나 최근 급성 췌장염 과정에 대한 입증된 효과가 부족하여 그 타당성이 의문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의사들은 이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믿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을 계속 사용합니다.

급성 췌장염 치료에서 췌장 기능의 억제는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는 항상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그 효과에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소마토스타틴과 그 합성 유사체는 점점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들은 췌장의 활동을 크게 감소시켜 소화 효소의 분비를 감소시킵니다.

박테리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대부분의 의사는 광범위한 항생제를 처방합니다. 부종성 급성 췌장염에도 사용됩니다. 췌장 괴사가 발생하면 환자에게는 예비 항균제로 분류되는 카바페넴 계열 약물을 포함하여 가장 강력한 항생제가 투여됩니다.

췌장염의 수술적 치료

급성 췌장염 환자는 수술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업에 대한 표시:

  • 급격한 악화;
  • 질병의 파괴적인 형태;
  • 2일 이내에 보수 치료 결과가 부족함;
  • 중독 증후군의 악화.

병리학 적 과정의 영향을받는 췌장 구조에서 체액 형성이 우세한 경우 배수구 설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수술이 수행됩니다. 이를 통해 액체로 채워진 공동이 세척됩니다. 배수 시스템을 통해 췌장의 죽은 부위를 소독합니다. 그들은 방부제로 세척됩니다. 그러나 배수 장치는 평균적으로 이틀 이상 작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지 않으면 더 큰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복강을 열고 개복수술을 하는 것이 최후의 수단입니다. 개복술에 대한 적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량 출혈;
  2. 복막염 - 복막 염증;
  3. 광범위한 췌장 괴사;
  4. 농양 또는 천공;
  5. 수반되는 파괴성 담낭염.

개복 수술에서 외과 의사는 일반적으로 췌장의 일부를 제거합니다. 더욱이, 수술 전이나 수술 중에 건강한 조직과 죽은 조직을 확실하게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의사는 병리학적 과정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기 부분까지 제거합니다. 환자의 경우 이는 외분비 및 때로는 내분비 췌장 부전을 초래합니다.

이는 그 사람이 남은 생애 동안 소화 불량과 당뇨병으로 고통받을 것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의 경우 급성췌장염의 치료는 외과에서만 끝나지 않습니다. 퇴원 후에도 집에서 계속됩니다. 환자는 식사와 함께 복용하는 대체 요법을 처방받습니다. 당뇨병의 경우 내분비학자의 감독하에 혈당 수치를 정상화합니다.

췌장염의 전통적인 치료

급성 췌장염의 경우 어떠한 경우에도 수술실 입원을 연기해서는 안됩니다. 며칠은 말할 것도 없고 잃어버린 시간마다 환자의 생존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그러나 가정에서 급성 췌장염을 대체 치료할 수 있는 다양한 처방이 인터넷에 널리 유통되고 있으며 이를 표준 약물 치료의 대안으로 활용하려는 사람들도 있다. 따라서 인터넷에서 급성 췌장염이 치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분쇄된 부조화 꽃;
  • 어린 아스펜 껍질;
  • 뽕나무 차;
  • 파슬리 달임;
  • 다른 방법으로는 덜 어리석은 방법이 아닙니다.

당신이 전통 의학의 팬이고 집에서 췌장염으로 고통받는 친척을 약초와 기타 말도 안되는 방법으로 치료하려는 경우 그는 매우 운이 좋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허브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집중 치료가 필요하고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의사보다 전통적인 치료사와 약초 사가 더 똑똑하다고 생각한다면 급성 췌장염 약을 구입할 때 삽을 구입할 수도 있습니다. 긴급 의료가 없으면 사람이 며칠 안에 사망하기 때문에 필요합니다.

표준 의학 용어로 가정에서 민간요법으로 급성 췌장염을 치료하는 것은 효과가 없으며, 그러한 치료 전술을 선택할 경우 예후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치사율은 100%에 가깝습니다.모든 사람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저절로 사라지는 질병만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생명이 위험할 때는 집에서 치료할 수 없습니다. 편견을 버리고 환자를 의료기관으로 긴급 이송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목! 당사 웹사이트의 기사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자가 치료에 의지하지 마십시오. 특히 췌장 질환의 경우 위험합니다. 꼭 의사와 상담하세요! 저희 웹사이트를 통해 의사와 온라인 예약을 하시거나 카탈로그에서 의사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5. 급성 췌장염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적응증

급성 췌장염 수술 적응증의 주요 문제는 췌장 부종과 괴사출혈성 파괴성 췌장염을 확실하게 구별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부종의 경우 수술적 치료는 필요하지 않으며 집중적인 보존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 전 췌장염의 병기를 인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오류율은 60%에 육박합니다. 현재 파괴성 췌장염에 대한 구체적인 검사는 없습니다. 메트말부민 측정과 관련된 이 분야의 희망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아직까지 췌장의 병리학적 변화 정도에 따라 수술 적응증을 설정할 수 있는 기준은 없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는 여러 가지 간접적인 표시를 사용하게 됩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1) 응급 수술이 필요한 급성 복부 그룹의 일부 질병과 급성 췌장염을 확실하게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2) 보수 치료의 효과가 없습니다.

비효율성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점진적인 혈압 강하;

b) 순환 혈액량을 회복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c) 억제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효소 수준이 증가합니다.

d) 지속적인 쇼크 및 핍뇨증;

e) 140mg% 이상의 당뇨병.

치료의 효과를 평가할 때, 질병이 발생하기 전의 여러 장기의 상태는 다를 수 있으며, 개별 증상에 따라 평가할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심한 중독과 괴사 변화의 점진적인 증가로 발생하는 췌장염의 형태를 식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런 환자들은 단기적이지만 집중적인 수술 전 준비를 한 후 둘째 날 수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술 방법의 선택은 췌장의 파괴 과정의 정도와 범위에 따라 결정되며, 병변의 크기는 수술 중에만 최종적으로 결정됩니다. 위대장인대를 광범위하게 절개한 후, 위산샘의 전면을 검사합니다. 담도, 위 및 십이지장에 대한 감사가 수행됩니다. 췌장 부종의 경우 Kocher에 따르면 십이지장 동원과 함께 샘의 광범위한 동원이 표시됩니다. 장간막 혈관이 나오는 곳부터 비장의 아래쪽 극까지 아래쪽 가장자리의 복막 후층을 열어 몸통과 꼬리를 검사합니다. 이 경우 췌장 뒤쪽 누출과 췌장 뒤쪽 표면의 혈종이 비워집니다.

삼출물에 포함된 췌장 효소가 췌장 주위 섬유를 손상시키고, 단백질의 존재가 감염 발병에 유리한 환경이기 때문에 삼출물의 배출이 필요합니다.

수술은 복부 측벽에 두 개의 배수구가 있는 대망 활액낭의 배액으로 끝납니다. 이를 통해 수술 후 항생제와 효소 억제제가 포함된 차가운 저음액 또는 등장액으로 유동 분수 세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미만성 소초점 괴사출혈성 췌장염의 경우 괴사의 병소를 추가로 제거합니다. 선의 말단 부분의 깊은 괴사 변화는 꼬리와 몸체의 절제를 나타냅니다. 췌장 절제술은 격리, 부식성 출혈, 중공 장기 천공 등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샘의 가장 영향을 받은 부분을 제거하면 효소 및 조직 분해 생성물에 의한 중독이 줄어듭니다.

이 작업의 효과는 매우 빠르게 나타나므로 충격을 예방합니다. 파괴가 선 그루터기의 머리까지 퍼지면 봉합되지 않지만 췌장관을 결찰하지 않고 조심스럽게 복막화 및 배액하여 주변 주위에 지혈 봉합사를 적용합니다. 그루터기에서 나오는 주스의 흐름은 덕트의 감압을 보장하고 샘의 나머지 부분에서 변화의 역방향 발달을 촉진합니다. 췌관 개통 여부는 외과적 췌장조영술이나 췌관 차단을 통해 확인합니다. 십이지장으로의 주스 통과에 장애가 있는 경우 결석을 제거하거나 협착을 절단하여 통과를 회복하는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격리되거나 치밀한 침윤물이 있는 상태에서 늦게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격리절제술을 시행하는데, 이는 진행성 파괴 단계에서 괴사병소를 제거하는 것과 구별되어야 한다. 격리 절제술 동안 병변은 무혈로 제거되어 더 이상 샘의 혈관계와 관련이 없습니다. 이는 질병 발병 후 6~8일 이내에 발생합니다. 췌장염 수술에서 중요한 부분은 배액 문제입니다. 배액은 화농성 또는 효소가 풍부한 삼출물 제거, 항생제 투여, 대망 활액낭의 관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수행됩니다. 췌장층과 장망낭은 측면 복벽을 통해 배수됩니다. 배액 주변의 췌장액과 화농액의 방출이 수술 상처의 치유 상태를 악화시키고 그 안의 화농의 발달에 기여하기 때문에 별도의 절개를 통해 배액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액의 도움으로 대망 활액낭의 관류를 통해 독성 삼출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체액(식염수 +10-15°)은 배수관을 통해 주입되고, 대장의 왼쪽 모서리 근처에 있는 위대장 인대의 구멍을 통해 배수됩니다. 추가적으로, 튜브가 골반과 왼쪽 외측관에 삽입됩니다. 2~3일 후 통증이 감소하고 이뇨가 증가하며 혈역학이 개선되면 수술이 효과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췌장 뒤쪽 체액이 광범위하게 축적되고 췌장 뒤쪽 표면에 깊은 초점 변화가 있는 경우 오른쪽 및 왼쪽 요추 부위를 통한 배액이 수행됩니다. 어떤 종류의 배수든지 배수로를 가장 짧게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탐포네이드는 절제술이나 격리절제술이 모두 불가능할 때 시행됩니다. 5~6개의 탐폰을 사용하여 샘층을 느슨하게 채웁니다. 첫날에는 탐폰이 활성 배수 역할을 하며, 탐폰을 통해 독성 삼출물과 부패 생성물이 방출됩니다. 탐폰은 가장 손상된 샘 부위와 복벽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형성된 채널은 방해받지 않는 격리 거부를 위한 조건을 생성하며, 필요한 경우 출혈을 멈추거나 격리를 절제하기 위한 반복적 개입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탐폰은 완전히 점액이 되므로 6~8일에 하나씩 제거합니다. 급성 췌장염 수술의 또 다른 중요한 부분은 담도에 대한 개입입니다. 급성 췌장염은 담도의 철저한 검사를 나타냅니다. 총담관이나 유두에 조임석이 있는 경우에는 괄약근 절개술을 통해 제거해야 합니다. 방광에 작은 돌이 여러 개 있고 염증 징후가 있으면 담낭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으며 담관이 손상되지 않으면 담낭 절개술로 제한 할 수 있습니다. 급성 췌장염에서 담도의 외부 배액은 담도 고혈압을 감소시키고 정체된 췌장액을 제거하며 혈액과 소변 내 농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 수술 후 환자에게 음식을 공급하고 마비를 퇴치하려면 첫날에 위장관의 인접한 부분을 세척할 수 있는 임시 장루관 또는 위루관을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혈압 응급처치

응급실에서 고혈압 환자를 치료하는 초기 접근법은 고혈압 응급 상황을 일관되게 배제하는 것입니다.

신체의 급성 상태

ALI 및 ARDS에 대한 치료에는 기저 질환 치료와 증후군(유지) 치료가 포함됩니다. 유지요법에는 호흡기 및 심혈관계, 신장 기능 교정을 목표로 하는 조치가 포함됩니다.

급성 췌장염

* 폐(흉막삼출, 무기폐, 종격동 농양, 폐렴, ARDS); *심혈관(저혈압, 혈액량 감소, 심낭염, 저알부민혈증, 돌연사); *혈액학적(DIC 증후군, 위출혈...

급성 췌장염

급성 췌장염의 증상은 췌장의 구조적 변화의 깊이와 진행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첫 번째 단계 - 부종 단계는 상복부 부위에 갑자기 날카로운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급성 췌장염

급성 췌장염 환자의 2/3에서 위, 횡격막 및 내장의 방사선 학적 징후가 감지됩니다. 1. 십이지장 루프의 초기 부분 확장. 2. 장폐색증...

급성 췌장염

급성 췌장염의 치료에는 보존적 치료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목표는 샘 파괴의 추가 확산을 차단하고 쇼크 및 중독을 치료하는 것입니다...

어린이 회충증에 대한 치료 및 진단 중재 시행

회충증의 치료는 구충제 사용을 기반으로 합니다. 적응증에 따르면 화학요법은 항히스타민제, 효소, 항염증제의 사용과 결합됩니다.

소아 췌장염 : 원인, 진단 기준, 전술

어린이의 췌장염 증상 진단은 임상 증상과 실험실 및 기타 연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형태학적 그림의 변화는 비특이적입니다. 때때로 호중구성 백혈구증가증이 관찰됩니다.

담석증의 계획된 외과적 치료를 위한 프로그램 시행에서 간호사의 역할

1. 담낭 부피의 1/3 이상을 차지하는 크고 작은 담낭 결석의 존재. 2. 돌의 크기에 관계없이 담석 산통이 자주 발생하는 과정. 3. 담낭 장애. 4...

다리 정맥의 급성 혈전 정맥염 진단 및 병원 전 단계의 응급 치료에서 구급대 원의 역할

급성 췌장염에서 췌장 호르몬 기능 장애의 발병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이해가 없으며, 이를 교정하기 위한 통일된 알고리즘도 없습니다.

급성 또는 만성 췌장염으로 인한 당뇨병

췌장 질환으로 인한 당뇨병의 유병률에 대한 데이터는 아직 부족하지만, 발생률은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것보다 높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래된 연구에 따르면...

급성 또는 만성 췌장염으로 인한 당뇨병

이차형 당뇨병 환자는 고혈당증과 관련된 전형적인 증상을 보이지만 저혈당증 위험이 뚜렷하게 증가합니다. 인슐린이나 설포닐우레아 치료와 관련된 저혈당증이 더 흔하며...

중국어 번체 진단: 침술, 뜸, 맥박 진단

~ 골연골증 및 척추의 제한된 가동성 ~ 다양한 부위의 신경근염 및 신경통, 로스병 ~ 대사성 및 류마티스성 관절 질환, 고관절증, 통풍 ~ 혈관으로 인한 마비 및 마비...

췌장염에 대한 한약

식물 진통제 췌장염 식물 수집 만성 췌장염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악화를 예방하고 퇴치하며 통증을 완화하고 췌장의 기능 상태를 교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당연히...

페이지 8/25

“그녀는 햇볕을 쬐는 표범처럼 십이지장의 구부러진 부분에 머리를 대고 대동맥에 얇은 몸을 펼쳤고, 이는 그녀를 측정 된 움직임으로 달래고 부주의하게 꼬리를 비장의 문으로 편향시켰습니다. 이 아름답고 수줍은 포식자가 예기치 않게 돌이킬 수 없는 해를 끼칠 수 있는 것처럼 췌장도 마찬가지입니다. 교활하고 사악한 악마처럼 천상의 천사처럼 아름답습니다.”- 교수. Golubev.
해부학과 생리학.팬 - 전체, 주름 - 고기(모두 고기로 만들어짐). 췌장(PG)은 3개의 원기(복측 2개, ​​등측 1개)에서 발생합니다. 자궁 내 발달 4~5주에 십이지장 및 총담관과의 긴밀한 연결이 이미 추적될 수 있습니다. L1 - L2 수준에서 위 뒤에 위치합니다. 길이 15-23 cm, 높이 3-6 cm, 체중 70-150 g 갈고리 모양의 돌기가 있는 머리, 목(혈관이 통과하는 부위의 좁아진 부분), 몸통과 꼬리. 투명한 캡슐은 없습니다.
해부학적 특징의 임상적 중요성:

  • 발생학적으로 결정된 머리와 십이지장의 밀접한 연결;
  • 총담관의 일부가 췌장의 머리를 통과합니다(황달).
  • 후복막 위치(항상 담까지 후복막 반응);
  • 후방 태양신경총(후방 조사 및 네 발 모두의 완화);
  • 대동맥의 가장 큰 가지와 문맥의 지류와 접촉합니다(부식성 출혈).
  • 꼬리 병리 - 비장 비대증;
  • 신전근막과 췌장근막 사이에는 느슨한 섬유층이 있습니다(몸과 꼬리는 쉽게 움직입니다).
  • 중결장 뿌리는 췌장의 전면에 위치합니다(결장 마비는 췌장염 초기부터 발생합니다).

췌장은 혼합 분비선입니다. 내분비 부분에는 랑게르한스 섬이 포함되고, 외분비 부분은 췌장 세포가 아시니로 결합되어 구성됩니다.
외분비 기능: 에코볼릭(물 최대 1-4 l/일); 20가지 효소 및 전구효소 생산; 전해질 분비(위액 중화 및 알칼리성 환경 조성)
내분비 기능: 전분분해(α-아밀라제 - 다당류); 단백질 분해(트립시노겐은 십이지장에서 트립신으로 전환됨); 지방분해; 핵분해(리보뉴클레아제, 데옥시리보뉴클레아제).
식사 후 분비는 3시간 정도 지속됩니다. 단단하고 두껍고 지방이 많은 음식은 더 오래 유지되고 췌장은 더 오래 분비됩니다.
급성 췌장염 -췌장의 괴사 및 효소적 자기침략에 기초한 경계 유형의 췌장의 무균 염증, 후속적인 괴사 및 샘의 디스토피아 및 이차 화농성 감염의 추가(V.S. Savelyev, 1986).
25년 동안 발병률은 40배 증가했습니다. 30~50세. 수술 후 사망률은 30-60%입니다. 급성 괴사성 췌장염 환자의 사망률은 20~70%입니다.
병인 발생. 급성 췌장염은 다병인성 질환이지만 단일병원성 질환입니다. 본질은 관내 고혈압과 췌장 세포의 직접적인 손상으로 인한 관 시스템의 감압으로, 이는 선에서 효소의 조기 활성화로 이어집니다. 실험에서 덕토아세나 접합부 영역의 상피 파열은 이미 수주 40cm에서 발생합니다.
1. 기계적 요인(다양한 해부학적 구조의 기계적 손상):

  • 관내 고혈압(돌, 복벽 협착, 폴립, ERCP, 유두 국소화의 게실염)으로 인한 췌장세포의 외상;
  • 역류(십이지장 고혈압을 동반한 담도-췌장, 십이지장췌장);
  • 직접적인 외상(기계적, 화학적, 수술 중).

환자의 미세담관결석증(요로에 있는 작은 결석의 조임)에 대한 이론은 비록 증명하기는 어렵지만 논리적입니다.
2. 신경학적 요인: 스트레스, 호르몬 치료, 영양학적 병리(비만!), 임신, 고칼슘혈증, 고중성지방혈증.
3. 독성 알레르기 요인 : 감염(바이러스), 알레르기, 약물, 알코올 및 대리모, 중독, 내인성 중독.
갑자기 시작되지만 배경이 있습니다 - Mondor. 실제로 담석증과 알코올 섭취라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공격의 직접적인 자극 요인은 췌장액 생성을 유발하는 모든 것입니다: 과식(지방, 튀김), 췌장 분비의 약물 자극(프로제린, 필로카르핀, 세크레틴, 췌장시민).
병인 이론세 가지 조항을 기반으로 합니다(V.S. Savelyev, 1986).
1. 지방 분해 및 단백질 분해의 생화학적 장애의 주요 역할(사이토키나제의 영향으로 효소의 뇌내 활성화).
2. 괴사의 병소는 주로 무균입니다.
3. 췌장원성 독소혈증은 중추 및 말초 혈역학의 심각한 장애와 다발성 장기 부전을 초래합니다.
중독의 발생.
공격성의 주요 요인 - 활성화된 췌장 효소가 혈액으로 유입됩니다.
공격성의 이차적 요인 - 혈액과 조직의 kallikrein-kinin 시스템의 트립신 참여로 활성화, 유리 키닌 (bradykinin, 히스타민, 세로토닌) 방출. 이는 특징적인 통증 증후군과 증가된 혈관 투과성으로 나타납니다. 조직 항산화 보호가 감소하여 지질 과산화가 활성화됩니다.
공격성의 3차 요인 - 허혈성 독소(심근 억제 인자).
공격적인 요인과 독소는 문맥과 흉부 림프관을 통해 들어갑니다. 첫 번째 표적 기관은 간, 폐, 심장, 중추신경계, 신장입니다. 다발성 장기 부전 증후군이 형성됩니다.
감염이 무균 췌장 괴사로 전염되는 경로는 장내 세균의 이동입니다.
형태 형성 기간:
변형 기간 및 괴사 형성 (췌장 세포 손상 외에도 후 복막 공간과 복막강으로 강렬한 삼출물이 발생합니다).
초점 주위 염증 기간은 먼저 무균 상태이고 그 다음에는 패혈증 상태입니다(장에서 그리고 수술 중).
회복 기간(보통 외분비 기능과 내분비 기능이 부분적으로 회복되어 불완전함)
분류(임상적 및 형태학적):
형태: 부종성 췌장염(유산성 췌장 괴사),
지방 췌장 괴사,
출혈성 췌장 괴사 (활성화된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한 간질의 단백질 구조 손상으로 인한 과정의 일반화).
급성 췌장염은 단계적 질병입니다.

  • 췌장 산통 및 쇼크 단계;
  • 초기 내인성 중독 단계;
  • 일반적인 염증 변화 단계;
  • 국소 화농성 염증 변화의 단계.

애틀랜타(1992) 회의에서 급성 췌장염의 네 가지 주요 형태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현대적인 전술을 결정하면서 오늘날 우선적으로 사용됩니다.

  • 부종성 간질성 췌장염(75~80%: 30%는 담석이 있고 50%는 알코올이 있음);
  • 급성 괴사성(괴사성) 췌장염 - 20%;
  • 췌장 농양(감염된 괴사와 구별하기 위해);
  • 아급성 췌장 가성낭종은 3~5주에 발생합니다.

또한 프로세스는 현지화와 흐름에 따라 차별화됩니다.
현지화 기준: capitate, caudal, total.
흐름에 따르면: 1) 유산(간질성 또는 부종성); 2) 천천히 진행됨(지방성 췌장괴사증); 3) 빠르게 진행되는(출혈성 췌장 괴사); 4) 번개처럼 빠르다.
진료소. 통증 -지속적인 증상. 다음과 같이 갑자기 시작됩니다. 췌장산통.첫 순간부터 그것은 극도로 강렬하고, 무섭고, 잔인합니다. 6%만이 중등도의 통증을 경험합니다. 10%에서는 통증으로 인해 쓰러지기도 합니다. 65%의 후방 조사. 기침을 하거나 심호흡을 해도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토하다 -끊임없이. 다수의. 상태를 완화하지는 않지만 통증을 증가시키기도 합니다(복부 내압 증가로 인한 관 시스템의 압력 증가로 인해). 미란성 위염이 발생하면 커피 찌꺼기를 토하게 됩니다.
구토의 다른 기전: 진행성 장 마비(5~7일) 및 췌장 머리 침윤에 의한 십이지장의 압박으로 인한 상부 장 폐쇄(8~12일 후)의 존재. 그러한 구토의 특징은 예비 메스꺼움이 없다는 것입니다.
췌장원성 독소혈증의 징후:충격, 공포, 얼굴 특징의 변화, 숨가쁨, 빈맥, 허탈, 혀 건조. 피부색의 특징적인 변화(창백, 황달, 청색증, 혈관 반점, 마블링, 말단청색증). 이러한 증상은 발병 후 처음 5일 이내에 발생하여 가장 심각해집니다.
객관적인 데이터글 랜드의 깊은 위치로 인해 지연됩니다.
주로 횡행결장의 마비로 인한 복부 팽만감. 상복부의 고통스러운 긴장. 왼쪽 또는 오른쪽 요늑골 각도에 통증이 있습니다(Mayo-Robson 증상). 지방췌장괴사의 경우 상복부와 좌측 hypochondrium에서 통증을 동반한 침윤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발병 후 3~5일). 복부 및 사지 피부의 청색증 반점(몬도르 증상), 배꼽 주변의 점상출혈, 말초 혈관 손상으로 인한 엉덩이 부위의 점상출혈(그룬왈드 증상).
환자는 촉진을 두려워합니다 - Mondor. 횡행결장의 단독 부종으로 인한 "고무" 복부.
황달의 원인 : 1) 총담관결석, 2) 췌장두부의 부종, 3) 독성간염.
심혈관, 호흡기, 간-신장 및 내분비 시스템의 실패 현상은 매우 빠르게 발생합니다.
급성췌장염의 전형적인 증상 정신병자대표적인 증상으로 볼 수 있는 뇌중독으로 인한 장애입니다. 의식 장애, 시간과 장소에 대한 방향 감각 장애로 구성된 섬망 증후군이 우세합니다. 날카로운 운동 및 언어 동요, 두려움, 불안, 환각. 회복은 신체 장애와 동시에 발생할 수 있지만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정신 장애의 중증도가 항상 샘의 파괴 정도와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배경에 의해, 종종 초기 뇌혈관 부전으로 인해 악화됩니다.
혈전출혈증후군 -급성 췌장염에서 췌장 침략의 주요 임상 및 실험실 효과. 이유: 혈액으로의 췌장 효소 회피, 심부 미세 순환 장애, 저산소증 및 산증, 보체 활성화 형태의 면역 공격, 면역 복합체 형성 증가, 상당수의 T 킬러 림프구 출현.
처음 몇 시간 동안의 심각도가 특징입니다. 본질은 확산성 과다응고 및 섬유소 형성입니다. 미세순환 장애가 악화되고 세포 교환이 더욱 어려워집니다. 매우 빠르게 응고제와 항플라스민 풀이 고갈되고 과응고 단계는 혈소판 감소증이 발생하면서 소비 응고병증으로 전환됩니다. 결과적으로 혈관 내 응고가 지혈을 억제합니다. 동시에 혈관벽 기저막의 단백질에 작용하는 프로테아제는 투과성을 크게 증가시킵니다. 즉 보편적 성격의 일반적인 출혈입니다.
혈전 출혈 증후군 클리닉 : 천자 부위의 혈관 혈전증 증가, 후속 소비 응고 병증의 발생으로 인해 천자 부위의 출혈.
혈전출혈증후군의 치료: 재구성제(레오폴리글루신, 네오론덱스) 및 분해제(디피리다몰), 미세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트렌탈, 아가푸린, 헤파린 예방 용량)의 예방적 사용. 저분자량 ​​헤파린이 유망합니다.
폐, 간 및 뇌 손상으로 인한 응고항진 단계에서 섬유소 용해 활성제(테오니콜, 컴플라민, 니코틴산)와 함께 치료 용량의 헤파린을 투여합니다.
소비 응고병증 단계에서 응고제(천연 혈장, 동결침전물, 피브리노겐) 수혈, 혈소판 덩어리, 에탐실레이트 최대 1.5g/일.
췌장염의 예후를 악화시키는 기준.
임상적: 통증 부재 또는 비정형적 국소화, 최대 38도 이상의 발열, 상복부 침윤 존재, 청색증, 피부 건조, 하지 부기, 합병증(복막염, 출혈, 폐쇄, 뇌병증, 혼수, 심혈관 부전), 존재 만성 질환 (당뇨병, 고혈압, 관상 동맥 질환, 만성 폐렴, 만성 신우 신염, 교원질증, 간염, 간경변증).
실험실 테스트: 백혈구 증가증 15·109/l 이상, 소변 디아스타제의 급격한 감소, 고혈당증 12mmol/l 이상, 저단백혈증 60g/l, 잔류 질소 42.8mmol/l 이상, 고빌리루빈혈증 30μmol/l 이상; ALT 및 AST 1.0 이상 증가, ALT 활성 6배 이상, 혈청 LDH 활성 4배, 혈액 요소 수치 17 mmol/l 이상, 칼슘 1.75 mmol/l 미만 - 수술 적응증(1 미만인 경우 5 mmol/l) 나는 절대적으로 불리한 예후입니다).
진단.
진단 과제: 1) 췌장염 확립; 2) 췌장 괴사가 진행 중인 환자의 확인; 3) 췌장 괴사의 감염 여부를 결정합니다.
임상진단이 우선입니다. 촉진에 의해 악화되는 상복부 통증, 후방 및 주변 방사선 조사, 완화되지 않는 구토로 진단이 확실하게 결정됩니다. 아밀라아제혈증과 아밀라뇨증이 확인되었습니다. 현대 생화학적 지표: CPR(120mgdL 이상), LDH(270U 이상), PMN-엘라스타제(15U 이상).
괴사성 췌장 괴사의 기준은 중독 증후군의 중증도와 복강의 증상, 즉 장 마비 증상이 있는 상부 부종입니다.
감염은 과정의 패혈증에 대한 임상적 및 준임상적 지표를 기록함으로써 확립됩니다.
초음파 진단.급성 췌장염의 직접적인 징후: 선의 모든 크기 증가, 윤곽이 흐려짐, 실질의 이질성, 에코 밀도 감소, 담도 병리 진단, 대망 활액낭의 삼출. 간접 징후: 복강 내 삼출액 존재, 위 공간 증가, 담관 확장증, 위장 마비.
파괴의 징후 : 에코 구조의 이질성 및 조용한 영역의 존재, 흐릿한 윤곽,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윤곽의 증가 증가, 복강 내 삼출의 존재.
후기 단계에서는 발생하는 낭종의 초음파 진단이 적합합니다.
CT(나선형 포함)는 85~90%의 정확도로 선과 췌장 주위 조직의 괴사를 평가합니다. 괴사의 존재 여부와 크기는 조영증강 CT를 통해 90%에서 결정됩니다.
초음파를 통한 미세침 생검으로 괴사 감염 확인(특이도 100%) ) - 수술의 주요 적응증.
췌장조영술 및 유두절개술.현대 연구에 따르면 유두절개술로 담관 결석을 제거하면 담도성 췌장염의 진행 과정에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췌장 조영술은 등쪽 관 시스템의 관 변화 또는 유출 장애를 확인하기 위해 증상 발병 후 6~12시간 이내에 수행될 수 있습니다. 붓기를 조절하기 위해 스텐트를 삽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명백한 알코올성 췌장염이 있고 담관 결석이 없는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복강경 검사다음을 밝힙니다:

  • 복막에 지방괴사증의 플라크;
  • 선에 인접한 조직의 장액성 침윤("유리체 부종"), 크고 작은 장막;
  • 복막 삼출물의 성질(장액성 또는 출혈성) 및 투명성(투명도는 1주 말부터 변화함);
  • 위를 뒤로 밀고 위대장인대를 부풀게 하는 것;
  • 확대되고 긴장된 담낭.

치료.
대부분의 환자는 경증 내지 중등도의 질병을 앓고 있으며 대개 회복됩니다. 췌장 괴사는 20-30%의 경우에서 복잡합니다. 췌장 괴사의 약물 예방은 아직 가능하지 않습니다. "췌장은 믿을 수 없는 기관이다" - Zollinger.
1894년에 코르테(Korte)는 췌장염 치료에서 수술의 우선순위에 대한 아이디어를 표현했습니다. 그러나 아마도 응급 질환이 발생했을 때 수술 치료의 반대 전략이 이렇게 자주 변경된 적은 없었을 것입니다.
췌장염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때, 괴사성 췌장염에 대해서만 이야기해야 할 때, 개방형 고전적 개입과 탐폰을 사용한 배액은 필연적으로 심각한 병원 감염으로 복강 및 후복막 공간의 감염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명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것은 러시아 병원에서는 문제가 더욱 악화됩니다. 동시에 수술로 인한 감염 영역도 필연적으로 확대됩니다. 결과적으로 수술의 해독 효과는 감염 과정의 일반화로 빠르게 대체됩니다. 또한, 질병 초기에 환자는 내독소 쇼크 상태를 경험하고 수술 공격에 더욱 취약합니다.
현시점에서는 작전이 지연된 적극적 보수 전략이 대중적 활용을 위한 우선순위로 인식되어야 한다. 순환계 및 림프계 수준의 해독, 항균 요법, 장내 세균총의 전위를 완화하기 위한 장 부전 증후군 치료, 장기 및 시스템 부전 교정을 포함한 강력한 집중 치료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 전략 옵션을 사용한 수술적 치료는 가능한 한 오랫동안 지연됩니다. 이러한 집중 치료는 종종 국소 및 전신 합병증을 방지합니다. 조직적으로는 외과의사의 역동적인 감독 하에 소생술 전문가가 환자를 입원하자마자 즉시 치료해야 합니다.
보수적 치료:

  • 중앙 순환의 회복. 부종성 형태의 경우 하루 2-4리터, 심한 형태의 경우 6-10리터이면 충분합니다. 후자의 경우 상당한 단백질 손실로 인해 추가로 5% 알부민 또는 혈장 500-1000ml를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굶주림;
  • 장기간 치료가 예상되는 경우 24시간 후 비경구 영양공급. 장내 영양은 저지방 음식으로 점차적으로 시작됩니다.
  • 통증 완화. 진경제와 말초 진통제를 병용하면 가벼운 불만이 완화됩니다. 불충분한 경우 중추적으로 작용하는 진통제(트라말)가 사용됩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약물이 처방됩니다. 장기간 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 - 경막외 마취.

포도당 노보카인 혼합물(5% 포도당 용액 400ml에 2% 노보카인 용액 25ml), 노보카인 차단제.
관내 고혈압 및 혈관 수축을 완화하기 위한 경련 완화: 니트로글리세린, 플라티필린, 노쉬파.
항구토제: 디메트프라미드, 토레칸, 메타클로프라미드(세루칼, 라글란), 위에 영구 튜브.
명백한 운동성 장애가 있는 심각한 형태의 위장에 대한 탐침입니다. 췌장의 체액 자극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위 세척(물 +4~+6°C, 2~4시간, 하루 2회).
장 자극(프로세린을 사용하지 마세요!): 노보카인 0.25% 100-200 ml + 소르비톨 20% 100-200 ml i.v.
프로테아제 억제제: = 4시간 후 수축(경증 형태의 경우 하루 40-60,000 단위, 심각한 형태의 경우 100,000 단위),
= E-AKK - 4~6시간 후 5% 용액 150ml,
= 5 FU - 1일 체중 kg당 15% mg(3-4 앰플, 750 - 1000 mg IV - 3일).
국제 임상연구에서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 처방과 췌장분비억제제 처방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 염증에서는 분비가 이미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약물(글루카곤, 소마토스타틴, 아트로핀, 칼시토닌,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위액 분비의 약물 차단, 튜브를 통한 위 내용물 제거)로 분비선을 "진정"시키려는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실험 결과, 항트립신 투여는 췌장염이 발병하기 전에 예방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만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항효소는 다른 효소(엘라스타제 및 포스포리파제)의 연속 활성화 중 트립신 활성화가 종료되면 처방됩니다.
혈액량, 중심 정맥압, 혈압 및 심박수를 조절하여 주입 해독, 저혈량증 제거 및 탈수(콜로이드 + 결정질 하루 3000-4000ml). 단백질 장애의 교정. 집중 치료에는 인공호흡, 혈액여과, 혈액투석 등도 포함됩니다.
미세 순환 개선. 새로운 연구에서는 등량혈액희석과 혈장교환술의 사용을 제안합니다.
항균 요법. 고온 및 기타 패혈증 현상이 나타나면 즉각적인 투여가 필요합니다. 더 흔히 위장관의 기회 감염균(수술 전)과 병원 감염(수술 후)이라는 두 가지 변종의 식물상이 있습니다. 조기 치료로 2차 감염을 줄일 수 있습니다. 상응하는 병원체 스펙트럼을 명백히 포괄하는 항생제를 처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IMIPENEM 및 자이라제 억제제(CIPROFLOXACIN, OFLOXACIN)가 선호됩니다. 초음파로 췌장 천자를 하는 동안 병원균을 검출하는 것은 유망합니다.
장관 내 호기성 그람 음성 미생물의 관내 사멸은 췌장의 감염을 예방합니다. 예를 들어, 콜리스틴 황산염 - 200mg, 암포테리신 - 500mg 및 노르플록사신 - 50mg을 6시간마다 경구 투여합니다.
파종성혈관내응고증후군의 치료. 혈전증을 예방하려면 예방 용량으로 헤파린을 처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면역교정, 비타민요법.

수술. 1985년 이전에는 환자들이 초기 단계에서 독성 쇼크로 사망하는 경우가 더 많았습니다.
제한적이고 무균성 괴사가 있는 환자는 보수적으로 치료해야 합니다(사망률은 2배 낮음). 췌장 괴사의 전체 감염률은 40~60%로 발병 후 약 2주 후에 발생합니다.
수술 적응증 (췌장 괴사 감염) : 1) 3-4 일 이상 집중 치료 실패; 2) 진행성 다발성 장기 부전(폐, 신장); 3) 충격; 4) 패혈증; 5) 심한 복막염; 6) 감염된 췌장 괴사(샘 괴사 중 병원균의 존재); 7) 대규모 괴사(조영제 CT에서 50% 이상); 8) 대규모 혈액 손실; 9) 폐쇄성 황달의 증가, 총담관 및 십이지장의 폐쇄; 10) 거짓 낭종; 11) 급성 폐쇄성 담낭염.
합계 또는 소계에 대해 조기 개입이 수행됩니다. 감염된회저. 용해 및 격리 기간(7-10-14일) 동안 추가 작업이 수행됩니다(단계적 괴사적 절제술).
두 옵션 모두 해독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출혈성 췌장 괴사에서 복막 삼출은 처음 4~6시간 동안 최대 중독을 일으키고 24~48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복막 삼출액을 제거한 후 복막 삼출 강도는 10-12배 감소합니다.
조기 개입 작업(긴급하지 않음!):

  • 샘 자체 및 췌장주위(후복막) 조직의 증가된 간질압을 완화하고;
  • 담도 및 췌장관의 고혈압 완화;
  • 복막염 제거;
  • 후복막 담의 완화(보통 효소);
  • 장간막 뿌리, 췌장 주위 및 십이지장 후 조직의 봉쇄.

부종성 췌장염에 대한 전통적인 개방형 수술은 불가피한 췌장 감염으로 인한 실수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현대 기술은 수술 중 단계적 세척과 개방형 관리 및 다중 위생을 통한 조심스럽고 부드러운 절제술(주로 디지털 방식)입니다. 수술 후 첫날의 헹굼액의 양은 24-48 리터입니다. 세척 효과의 기준은 세척액의 효소 존재 및 수준, 미생물학적 분석일 수 있습니다.
작업 진행:

  • 상부 정중선 개복술;
  • 복막 삼출 흡인;
  • 장막(화농성 장염), 중결장, 소장 장간막, 담낭, 총담관, 십이지장의 검사;
  • 위대장 인대의 광범위한 해부;
  • 대망 활액낭의 넓은 개방(결장의 비장 각도의 동원;
  • 뚜렷한 췌장 주위 변화로 인해 후 복막 공간은 췌장 주변뿐만 아니라 십이지장의 외부 가장자리 (Kocher에 따르면), 결장의 오름차순 및 하강 부분을 따라 정수리 복막을 절개하여 넓게 열립니다.
  • 췌장주사(노보카인 1/4% - 최대 200ml + Contrical 20-40,000단위 + 페니실린 200만 단위 + 하이드로코르티손 125mg);
  • 대망췌장고정술;
  • 왼쪽 hypochondrium을 통한 대망 부르사의 배수;
  • 급성 및 만성 결석성 담낭염 또는 담낭절개술에 대한 담낭절제술(Pikovsky에 따름)을 이용한 담낭절제술;
  • 격리 절제술, 괴사술(시작 후 10일 이내) 또는 비장 절제술을 통한 췌장 원위 절제술(꼬리 손상으로 시작 후 3~5일, 경계가 있는 경우, 비장 정맥의 혈전증, 비장 경색) ;
  • 요추 절개를 통한 투석액 유출과 함께 대망 활액낭의 유동 세척 2-3 리터;
  • 옆구리와 골반의 배수;
  • 요추 부위의 후 복막 공간 배수;
  • 십이지장 괴사에 대한 십이지장췌장절제술.

현대적인 선택은 48시간 동안 탐폰을 사용하여 후복막 배액으로 복강을 닫는 것입니다. 이후 배수로 변경됩니다. 후복막강 세척의 평균 기간은 22일이다.
처음부터 10일 이상 개입(반복 포함).목표는 죽은 췌장 조직과 후복막 조직을 적시에 제거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부위의 괴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하고 한 단계의 괴사술은 종종 불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개입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반복 개입에 대한 적응증:
1) 췌장 농양의 임상상(해독에도 불구하고 중독 증후군의 증가);
2) 부식성 출혈;
3) 진행중인 복막염 진료소.
최근 몇 년간 최소 침습 수술 기술의 발전으로 조기 개입 아이디어로의 복귀를 제공하는 대체 전략이 촉진되었습니다. 후자는 샘에서 직접 중독 원인의 조기 완화, 복막강 및 후복막 공간에서 효소 삼출 제거, 최소한의 수술 외상으로 폐쇄 배수 장치 구성, 가능성이 있는 췌장의 시각적 모니터링이라는 사실에 기초합니다. 반복은 논리적이고 효과적이다. 복강경(V.S. Savelyev et al. 1992; V.P. Sazhin et al., 1999)과 소망막, 복강 및 후복막강의 위생 및 배액을 위한 미니 접근 가능한 개입을 통해 구현이 가능해졌습니다(M.I. Prudkov). 등, 1999; V. A. Kozlov 등, 1999).
오늘날 췌장 괴사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전망은 환자가 진료소를 방문하는 첫 순간부터 시작하여 집중 치료와 최소 침습 수술 기술을 사용하여 파괴 영역과 화농성의 효과적인 배액을 조직하는 것의 조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샘, 복강 및 후복막 공간의 염증. 복강과 후복막 공간의 반복적인 위생관리가 유용합니다. 후자는 화농성 괴사 드라마가 펼쳐지는 시험장입니다. 이것은 후복막 기관이다.
후기 수술은 급성 염증 과정이 가라 앉을 때 수행됩니다 (질병 발병 후 2-3 주 이내에): 아급성 가성 낭종의 경우 췌장 관의 반흔 협착.
췌장염의 발생으로 인해 거짓 낭종이 저절로 사라질 수 있습니다. 먼저 초음파나 CT를 사용하여 낭종에 구멍을 뚫을 수 있습니다. 여러 번 천자한 후 낭종이 5~6cm 이상 채워지면 초음파 유도 하에 카테터 삽입이 필요합니다. 실패한 경우 - 수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