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비동 부정맥. 심장 차단: 완전 및 부분, 다양한 국소화 - 원인, 징후, 치료 심실 차단

방실 차단- 이러한 유형의 전도 장애의 경우 심방과 심실 경계에서 자극이 차단됩니다. 이전에는 방실 결절을 통한 자극 전도가 중단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확립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나 봉쇄 중에 충동 전도의 지연은 두 곳에서 발생합니다.

  • 1) 심방과 방실 결절의 교차점(덜 중요함);
  • 2) 방실 결절과 His 묶음의 교차점(더 중요함).

따라서 방실 차단에 대해 말할 때 충동 전도의 둔화 또는 방실 접합부의 차단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병인학 및 병인.방실 전도 장애의 일반적인 원인 중 하나는 관상 동맥 심장 질환입니다. M. Ya. Ruda 및 A. P. Zysko(1977), V. L. Doshchitsyn(1979)에 따르면 심근경색 환자의 10-15%에서 다양한 정도의 방실 차단이 발견됩니다. 방실 전도가 느려지는 이유는 류마티스 성 심장염, 다양한 원인의 심근염, 심근, 죽상 동맥 경화증 및 경색 후 심장 경화증, 고칼륨 혈증 일 수도 있습니다.

심장 수술 후 10%의 사례에서 방실 차단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C. XV. et al., 1963).

때로는 다양한 항 부정맥제 (퀴니딘, 베타 차단제, 노보 카인 아미드 등)를 복용하여 심장 배당체 중독으로 인해 다양한 정도의 방실 차단이 발생합니다.

때때로 선천성 심장 결함과 결합된 선천성 완전 방실 심장 차단 사례가 설명되었습니다(B. Landtman, 1964).

매우 드물게 심장 종양이 방실 차단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때때로 방실 차단(보통 불완전)은 미주 신경 긴장의 증가로 인해 발생합니다. 미주신경 자극(경동맥동, 안구에 대한 압력)은 방실 전도의 일시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방실 차단의 발생에서 미주 신경의 역할은 E. B. Babsky 및 L. S. Ulyaninsky(1960)의 실험 연구에서도 확인되었습니다. 이 요인은 실질적으로 건강한 사람과 운동선수에게 방실 차단이 발생하는 데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방실 차단의 기전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방실 차단의 병인을 설명하기 위해 감소 전도, "숨겨진" 전도, 다중 전도 경로 등 다양한 이론이 제시되었습니다.

I. A. Chernogorov (1948, 1962) 및 I. I. Isakov (1953)는 방실 전도 장애를 심근의 기능적 불안정성 감소와 연관시킵니다. 동시에 불안정성이 감소된 부위에 도달하는 자극의 파동은 파라바이오틱 상태를 심화시킵니다.

구별하다 3도 방실 차단.

1도 방실 차단 - 이는 ECG의 P-Q 간격이 0.2초 이상 지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완전한 봉쇄입니다. P-Q 간격이 급격히 연장되거나 봉쇄가 빈맥과 결합되는 경우 P파는 이전 복합체의 T파와 합쳐지며, 이는 때때로 방실 접합부의 리듬으로 잘못 오인됩니다.

2도 방실 차단 - 이것은 심실 복합체의 주기적인 손실을 특징으로 하는 불완전한 봉쇄입니다. 봉쇄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 Samoilov-Wenckenbach 유형 또는 Mobitz-I 유형은 ECG의 P-Q 간격이 점진적으로 길어지고 그에 따른 심실 복합체의 다소 규칙적인 손실이 특징입니다.

2) Mobitz 유형 II는 P-Q 간격이 정상적이거나 지속적으로 연장되고 심실 복합체의 주기적인 손실이 특징입니다.

2도 방실 블록인 Mobitz-I 유형은 His 묶음의 근위 부분인 Mobitz-P 유형의 손상으로 관찰되며 가지 수준에서 심장 전도 시스템의 원위 부분이 손상됩니다. 그분의 묶음. 따라서 ECG에서 복합체는 일반적으로 넓어지고 변형됩니다.

3도 방실 차단은 단일 부비동 자극이 심실로 전달되지 않는 완전한 방실 차단이며, 부비동 또는 심방 및 심실의 두 가지 자율 리듬이 있습니다. 심방과 심실 복합체는 올바른 리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입니다.

완전한 방실 차단 세 가지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방실 결절(결절 블록, 근위 블록) 손상, His 묶음의 트렁크(몸통 블록) 손상 및 His 묶음의 세 가지 모두(3다발 또는 삼근막) 손상 블록, 원위 블록).

결절 차단의 경우 심박조율기는 방실 접합부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서맥이 가장 덜 뚜렷합니다. 뇌간 봉쇄의 경우 리듬의 근원이 더 낮기 때문에 서맥이 더 두드러집니다. 마지막으로, 3개의 근막 봉쇄로 인해 심실 리듬이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며 서맥이 가장 두드러집니다.

완전한 방실 차단은 지속적일 수도 있고, 영구적일 수도 있고, 일시적이거나 간헐적(간헐적)일 수도 있습니다. 방실 차단의 임상상은 기저 질환과 차단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심장 박동 장애가 없는 한 자각 증상은 대개 나타나지 않습니다. 2도 방실 차단의 경우 환자는 심장 활동 중단, 때로는 약간의 현기증을 호소합니다.

3도 방실 차단(완전) 심실 수축이 분당 40회 미만으로 감소하면 현기증, 눈이 어두워지고 단기간의 의식 상실이 관찰됩니다. 리듬의 급격한 감소를 배경으로 Morgagni-Adams-Stokes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만성 대뇌 저산소증의 결과로 정신 장애가 부적절하게 상승된 기분과 운동 지체의 독특한 조합 형태로 관찰됩니다.

심장 타진시 심장 둔화의 경계 크기는 기저 질환에 따라 결정됩니다.

1도 방실 차단 환자의 심장을 청진할 때 P-Q 간격의 상당한 연장으로 인해 수축기 전 3부 리듬이 때때로 들립니다(심방 수축의 둔한 추가 톤). 청진 시 2도 차단 동안 긴 정지(심실 수축 상실)로 인해 올바른 박동이 중단됩니다. 완전(III도) 방실 차단의 경우 드물게 규칙적인 심장 박동과 첫 번째 음의 변화하는 음파가 들립니다. 일반적으로 상단 위의 첫 번째 톤은 둔하지만 때때로 음파가 강화되고 소위 Strazhesko 대포 톤이 나타납니다. N.D. Strazhesko(1908)는 심방과 심실의 동시 수축으로 이 현상을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V.F. Zelenin(1956)과 L.I. Fogelson(1958)은 심전도 연구에 기초하여 심방 수축이 심실 수축보다 다소 앞서고 방실 판막의 폐쇄 단계가 서로 접근할 때 "대포 톤"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때때로 심방음은 심실음과 함께 일시적인 3성부 리듬을 형성합니다.

방실 차단(결절(근위 또는 상부), 뇌간 및 삼엽막(원위 또는 하부)을 임상적으로 구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심박수를 기준으로 리듬의 출처가 어디인지 추측할 수 있습니다. 적당히 표현된 서맥이 있는 경우 - 높음(즉, 근위부), 뚜렷한 서맥이 있는 경우(낮음, 즉 원위부)입니다.

불완전한 방실 차단이 완전해질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다양한 정도의 차단이 교대로 발생하면 지속적인 완전 방실 차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른 부정맥의 추가는 방실 차단의 임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방실 차단은 심실 수축기외 수축과 결합되며 심방 세동 또는 조동(프레드릭 증후군)과 결합되는 경우는 적습니다.

근본적인 질병에 합류하는 완전한 방실 차단은 보상 부전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방실 차단의 예후나는 호의적이다. II 및 III도 봉쇄의 경우 예후는 기저 질환, 심실 수축 빈도 및 심근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완전한 방실 차단의 경우 예후는 항상 좋지 않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공심장박동기 이식이 점차 시행되면서 점점 더 유리해지고 있다.

방실 차단 예방- 이것은 우선 기저 질환에 대한 적극적이고 적절하며 포괄적인 치료입니다. 봉쇄 발생을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1도 방실 차단은 2도 차단으로 발전할 수 있고, 2도 차단은 3도 차단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생명을 위협하는 완전(III도) 방실 차단을 예방하려면 Mobitz-I 유형의 II도 차단과 Mobitz-II 유형의 II도 차단을 제거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이는 약물로는 달성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환자에게는 예방 목적으로 전극을 삽입해야 하며, 완전 차단이 발생한 경우 임시 심장 자극을 즉시 시작해야 합니다.

내부 질환 진료소의 응급 상황. Gritsyuk A.I., 1985

질병 및 상태

I44.0 1도 방실 차단

1도 방실 차단

메뉴

일반 정보 증상 치료 의약품 전문의 기관 질문과 답변

일반 정보

1도 방실(AV) 차단 - AV 전도가 느려집니다. 0.45-2%의 사람들, 60세 이상 - 4.5-14.4%, 70세 이후 - 40%에서 관찰됩니다.

국제 질병 분류 ICD-10에 따른 코드:

  • I44.0
  • 기능적 - 부교감 신경계의 긴장도를 증가시킵니다.
  • 기질성 - 류마티스성 심장염, 심장경화증, 허혈성 심장질환, 점액수종, 미만성 결합조직질환, 후하방심근경색의 첫 시간
  • 약물 - 약물(b - 아드레날린성 차단제, 심장 배당체, 칼슘 채널 차단제, 삼환계 항우울제[TAD])의 부작용으로 발생합니다.

1도 방실 차단의 원인

병인:

  • 79%의 환자에서 전도 지연은 전도 시스템의 두 개 이상의 부분에서 발생합니다(방실 결절의 주요 부분은 환자의 83%에서 결절입니다).
  • 한 영역의 전도 지연 - 21%(AV 노드 - 11%, 심방 - 3%, His-Purkinje 시스템 - 7%)
  • AV 전도의 둔화는 일반적으로 혈역학적 장애로 이어지지 않지만 P-Q 간격이 크게 연장되면 방실 수축의 동기화가 중단되고 심실 충전에 대한 심방 기여도가 감소하여 심실 충만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심부전.

1도 방실 차단의 증상

1도 방실 차단 진단

ECG - 식별:

  • P-Q 간격이 성인의 경우 0.20초 이상, 어린이의 경우 0.18초 이상 연장됩니다.
  • 각 P파는 QRS 복합체에 해당합니다.
  • 1도 근위 AV 차단은 일반적으로 확장되지 않은 QRS 복합체를 동반합니다.
  • 1도 원위 AV 차단은 QRS 복합체가 0.12초 이상 확장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치료
  • 1차 영양 기원의 AV 차단의 경우, 기저 질환의 치료 및 미주 신경 자극(위장 질환)과 관련된 병리학적 반사의 감소가 지시됩니다.
  • AB - 임상 증상이 없는 유기 기원의 1차 차단 - 특별한 치료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심방과 심실 수축의 동기화 장애와 관련된 임상 증상이 있는 경우 DDD, VDD, VAT 모드에서 이중 챔버 심장박동기(심박동기) 이식이 표시됩니다.

동의어. 1도 방실 차단.

  • I44.0 1도 방실 차단

현대 심장학은 심혈관계의 많은 병리를 알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질병은 본질적으로 독립적이며 일부는 주요 심장 결함에 불쾌한 추가로 나타납니다.

아마도 마지막 중 하나는 심실과 심방 사이의 충동 전도 장애의 형태로 나타나는 방실 차단입니다. 오늘 우리는 이 질병의 발병 메커니즘, 진단 및 치료의 원리에 대해 더 자세히 이야기하겠습니다. 흥미로운? 그렇다면 아래 자료를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방실 차단은 기관의 심방과 심실 사이의 충동 상호 작용이 손상된 심장의 병리학입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전기생리학적 전도도가 달라지기 시작하여 결과적으로 심장 근육의 특정 부분의 수축이 잘못 발생합니다.

사람의 모든 심장 질환은 방실 차단의 잠재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이러한 종류의 병리 현상은 대부분 허혈성 질환 환자에게서 진단됩니다.

덜 일반적으로 장애의 원인은 심장 장치 구조의 외과 적 개입으로 인한 합병증입니다.

그런데 공식 통계에 따르면 나이가 들수록 방실 차단의 위험이 눈에 띄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어쨌든 이는 통계 데이터일 뿐이며, 이 질병의 발생에 관해 과학적으로 확인된 구체적인 정보는 아직 제공되지 않습니다.

방실 차단의 증상도 눈에 띄지 않습니다. 종종 이 질병은 심혈관계의 다른 병리와 함께 발생하므로 그 과정에는 심장 환자의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 호흡곤란
  •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
  • 가슴 통증
  • 현기증

나타나는 증상만으로 방실차단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최소한 심장 전문의로부터 기본 검사 목록을 받아야 합니다.

질병의 정도

방실 차단의 주요 분류는 이 질병의 정도에 따라 수행됩니다.:

  • 1도 방실 차단은 심방과 심실 사이의 자극 상호 작용의 불완전한 비동기와 관련된 질병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질병 과정을 "불완전한 봉쇄"라고합니다. 결과에서 병리학의 1도는 "P-Q"(0.2초 이상의 연장, 지속)라는 명칭으로 심장 박동 간격의 연장으로 나타납니다.
  • 2도 방실 차단은 불완전한 차단 형태로도 발생하는 병리학이지만 임펄스 상호 작용의 안정적인 방해가 아니라 심실 비동기의주기적인 손실이 특징입니다. ECG에서 질병은 1등급과 유사한 지표 형태로 나타나지만 주기성이 뚜렷합니다.
  • 3도 방실 차단은 심방과 심실이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비동기적으로 나타나는 심장 결함입니다. 이러한 심장 장치 상태를 완전 봉쇄라고도 합니다. ECG 3의 결과에서 질병의 정도는 표준과 완전히 반대되는 지표에 반영됩니다.

환자에게서 발견된 장애 유형에 따라 추가 치료 과정이 결정됩니다. 그건 그렇고, 다양한 유형의 병변이 심장의 완전히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다른 치료 접근 방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순간은 방실 차단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봉쇄의 위험

위에서 알 수 있듯이 방실 차단은 속도 저하와 관련된 심장 부분의 충동 상호 작용을 위반하는 것입니다. 이 모드에서 기관의 기능은 당연히 좋은 것이 아닙니다.

이는 이러한 상태가 심장 박동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후자는 차례로 심장 장치의 부정맥 장애 및 그에 수반되는 질병을 유발합니다.

종종 장기적으로 심각하게 진행되거나 치료되지 않은 봉쇄는 다음과 같은 심장 병리의 발병을 유발합니다.

  1. 이전에 언급된 부정맥
  2. 혈전색전증
  3. 심장 마비 및 기타 심근 질환
  4. 허혈성 뇌졸중

많은 심장병 전문의 환자들에게 다행스럽게도 방실 차단으로 인한 합병증은 빠르게 진행되는 질병이 아니라 장기간의 장애 과정과 치료 부족의 결과입니다. 즉,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은 매우 간단합니다. 유능한 치료를 조직하고 건강한 생활 방식 유지에 대한 전문가의 기본 조언을 따르십시오.

진단

방실 차단은 증상에 기초하여 간접적으로도 진단할 수 없다는 것이 이전에 언급되었습니다.

질병의 발견을 보장하려면 여러 가지 전문 심장 검사를 한 번에 수행해야 합니다. 후자의 목록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일반적인 ECG는 방실 차단을 포함한 많은 심장 차단을 진단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고 가장 유익한 방법입니다. 극히 소수의 경우에만 이러한 유형의 검사로 문제의 질병을 식별하지 못합니다. ECG 결과에서 방실 차단 징후는 소위 낙하 복합체의 "P-QRS" 간격에서 추적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충동의 잘못된 통과를 나타냅니다.
  • 일일 ECG 모니터링은 다른 검사 방법으로 명확한 결과가 나오지 않는 드문 경우에 사용되는 진단 방법입니다. 구현의 본질은 일일 모니터링이 장기간에 걸쳐 수행되고 표준 검사가 단 몇 분에 걸쳐 수행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일반 ECG와 완전히 유사합니다.
  • 스트레스가 있는 ECG - 이 연구 방법은 차단을 식별하는 목적이 아니라 이미 감지된 질병의 환자 측 신체 활동에 대한 내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접근법을 통해 종종 합병증의 위험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 , 엑스레이 및 - 막힘의 근본 원인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검사 유형입니다. 즉, 진단 데이터는 봉쇄 자체가 아니라 충동 상호 작용의 중단을 초래한 심장 병리를 결정하는 데에만 필요합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심장 전문의는 환자에게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으며 그 후에는 치료의 추가 방향, 긴급성 및 치료의 뉘앙스를 이미 결정할 수 있습니다. ECG 및 기타 심장 진단 결과를 해독하는 것은 쉽고 책임감이 강한 문제가 아니므로 의사의 참여 없이는 수행해서는 안됩니다.

치료 및 예후

방실 차단의 치료 과정은 환자마다 크게 다르며, 이는 우선 병리학의 특이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종종 임상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1등급 질병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심장 전문의는 환자에게 올바른 생활 방식을 취하고 체계적인 검사를 받도록 조언합니다. 그러나 더 심각한 유형의 질병은 치료해야 합니다.

종종 그들의 치료는 다음 단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1. 심장 기능의 약물 최적화.
  2. 영양과 생활 방식의 정상화.
  3. 장애의 근본 원인을 의학적 또는 외과적으로 제거합니다.
  4. 환자의 건강을 유지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방실 차단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구제 수단을 사용합니다. 무슨 뜻이에요? 이는 특수 심장 박동기의 도움으로 환자의 심장 기능이 평생 동안 정상화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강제 심장박동은 일시적일 수도 있고 영구적일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모두 특정 사례의 특성에 따라 다릅니다.

방실차단증을 치료하는 과정에서는 영양조절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심장 전문의는 이 진단을 받은 환자에게 다음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합니다.

  • 첫째, 정크푸드(패스트푸드, 과자가 많은 음식, 지방이 많은 음식, 짠 음식)를 포기하세요.
  • 둘째, 단백질, 식물성 지방, 복합 탄수화물(삶은 고기, 시리얼, 견과류 등)의 섭취를 늘리세요.
  • 셋째, 소량의 식사를 규칙적인 간격으로 섭취하십시오.

ECG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비디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방실 차단 환자의 신체 활동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금지됩니다. 정상적인 수면의 필요성, 스트레스 부족 및 이와 유사한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아마도 가치가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물론 심장 전문의의 체계적인 연구를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마도 이것이 오늘 주제의 전부일 것입니다. 제시된 자료가 귀하에게 유용하고 귀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하세요!

심실전 차단.이러한 유형의 전도가 중단되면 심방과 심실 경계에서 자극이 차단됩니다. 이전에는 방실 결절을 통한 자극 전도가 중단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밝혀진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나 봉쇄 중에 충동 전도는 두 곳에서 지연됩니다.

1) 심방과 방실 결절의 교차점(덜 중요함)
2) 방실 결절과 His 묶음의 교차점(더 중요함). 따라서 방실 차단에 대해 말할 때 충동 전도의 둔화 또는 방실 접합부의 차단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병인학 및 병인.방실 전도 장애의 일반적인 원인 중 하나는 허혈성입니다. 질병마음. 다양한 정도의 방실 차단이 10-15%에서 감지됩니다. 아픈심근 경색증. 방실 전도가 느려지는 이유는 류마티스 성 심장염, 다양한 원인의 심근염, 심근, 죽상 동맥 경화증 및 경색 후 심장 경화증, 고칼륨 혈증 일 수도 있습니다. 심장 수술 후 10%의 사례에서 방실 차단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때로는 다양한 항 부정맥제 (퀴니딘, 베타 차단제, 노보 카인 아미드 등)를 복용하여 심장 배당체 중독으로 인해 다양한 정도의 방실 차단이 발생합니다. 선천성 완전 방실 심장 차단의 사례가 설명되었습니다. 이 경우 봉쇄는 때때로 고립된 질병이 아니지만 선천성 심장 결함과 결합됩니다. 매우 드물게 방실 차단의 원인이 심장 종양인 경우도 있습니다.

때때로 방실 차단(보통 불완전)은 미주 신경 긴장도 증가의 결과일 수 있습니다. 미주신경 자극(경동맥동, 안구에 대한 압력)은 방실 전도에 일시적인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방실 차단의 발생에서 미주 신경의 역할은 실험 연구에서도 확인되었습니다. 이 요인은 실질적으로 건강한 사람과 운동선수에게 방실 차단이 발생하는 데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방실 차단의 메커니즘은 완전히 명확하지 않습니다. 방실 차단의 병인을 설명하기 위해 감소 전도, "숨겨진" 전도, 다중 전도 경로 등 다양한 이론이 제시되었습니다.

I. A. Chernogorov (1948, 1962) 및 I. I. Isakov (1953)는 방실 전도 장애를 심근의 기능적 불안정성 감소와 연관시킵니다. 동시에 불안정성이 감소된 부위에 도달하는 자극의 파동은 파라바이오틱 상태를 심화시킵니다.

방실 차단에는 3도가 있습니다.

1도 방실 차단- 이는 심전도의 P-Q 간격이 0.2초 이상 지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완전한 차단입니다. P-Q 간격이 급격히 연장되거나 봉쇄가 빈맥과 결합되는 경우 P파는 이전 복합체의 T파와 합쳐지며, 이는 때때로 방실 접합부의 리듬으로 잘못 오인됩니다.

2도 방실 차단- 이것은 심실 복합체의 주기적인 손실을 특징으로 하는 불완전한 봉쇄입니다. 두 가지 유형으로 제공됩니다.

1) Samoilov-Wenckebach 유형 또는 유형 I(Mobitz-I); 심전도에서 P-Q 간격이 점진적으로 길어지고 그에 따른 심실 복합체의 다소 규칙적인 손실이 특징입니다.
2) 유형 2(모비츠-P); P-Q 간격이 정상적이거나 지속적으로 연장되고 심실 복합체의 주기적인 손실이 특징입니다.

2도 방실 블록인 Mobitz-1 유형은 His 묶음의 근위 부분이 손상되어 관찰되며, Mobitz-II 유형은 전도 시스템의 원위 부분이 손상되어 관찰됩니다. 마음그분의 묶음 가지 수준에서. 따라서 후자의 경우 심전도상의 복합체가 일반적으로 넓어지고 변형됩니다.

III 학위- 단일 부비동 자극이 심실로 전달되지 않는 완전한 방실 차단, 부비동 또는 심방 및 심실의 두 가지 자율 리듬이 있습니다. 심방과 심실 복합체는 올바른 리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입니다.

완전한 방실 차단은 방실 결절 또는 연결(결절 차단, 근위 차단) 손상, His 묶음의 트렁크(몸통 블록) 손상 및 His 묶음의 세 가지 모두에 대한 손상(3-방실 차단)의 세 가지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발 또는 삼중막 블록, 원위 유형의 봉쇄).

결절 차단의 경우 심박조율기는 방실 접합부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서맥이 가장 덜 뚜렷합니다. 뇌간 봉쇄의 경우 리듬의 근원이 더 낮기 때문에 서맥이 더 두드러집니다. 마지막으로 3개의 근막 차단으로 인해 심실 리듬은 가장 낮은 위치에 있으며 서맥이 가장 뚜렷합니다.

완전 방실 차단은 지속적이거나 영구적일 수도 있고, 일시적이거나 간헐적(간헐적)일 수도 있습니다.

방실차단클리닉기저 질환의 성격과 봉쇄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심장 박동 장애가 없는 한 자각 증상은 대개 나타나지 않습니다. 2도 방실 차단 아픈심장 기능의 중단, 때로는 약간의 현기증을 호소합니다. 3도 방실 차단(완전)의 경우 심실 수축이 분당 40회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현기증, 눈이 어두워지고 단기적인 정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듬의 급격한 감소를 배경으로 Morgagni-Edams-Stokes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이로 인해 만성병 환자대뇌 저산소증의 경우, 부적절하게 상승된 기분과 운동 지체의 독특한 조합 형태로 정신 장애가 관찰됩니다.

타악기와 함께 마음치수 심장병 환자칙칙함은 기저 질환에 따라 결정됩니다. 청진에 대하여 마음~에 아픈 1도 방실 차단의 경우 P-Q 간격의 상당한 연장으로 인해 수축기 전 3부분 리듬(심방 수축의 추가 둔한 톤)이 때때로 들립니다. 청진 시 2도 차단 동안 긴 정지(심실 수축 상실)로 인해 올바른 박동이 중단됩니다. 완전(III도) 방실 차단의 경우 드물게 규칙적인 박동이 들립니다. 마음첫 번째 톤의 음향을 변경합니다. 일반적으로 상단 위의 첫 번째 톤은 둔하지만 때때로 음파가 강화되고 소위 Strazhesko 대포 톤이 나타납니다. N.D. Strazhesko(1908)는 심방과 심실의 동시 수축으로 이 현상을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V.F. Zelenin(1956)과 JI. I. Fogelson(1958)은 심전도 연구에 기초하여 심방 수축이 심실 수축보다 다소 앞서고 방실 판막의 폐쇄 단계가 서로 접근할 때 "대포 긴장"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때때로 심방음은 심실음과 함께 일시적인 3성부 리듬을 형성합니다.

임상적으로 방실 차단, 결절(근위 또는 상부), 뇌간 및 t-번들(원위 또는 하부)을 구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심박수로만 리듬의 원인이 어디인지 추측할 수 있습니다. 중등도의 서맥이 있는 경우 - 높음, 즉 근위부, 서맥이 뚜렷함 - 낮음, 즉 원위부.

임상 실습에서는 불완전한 방실 차단이 완료로 전환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다양한 차단 정도의 교대는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완전한 방실 차단이 확립되면서 끝날 수 있습니다.

다른 부정맥의 추가는 방실 차단의 임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방실 차단과 심실 수축기외 수축이 결합되어 있으며, 심방세동이나 조동(프레드릭 증후군)이 있는 경우는 적습니다.

완전한 방실 차단, 기저 질환에 합류하면 보상 부전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모르가니-에담스-스토크스 증후군.완전 방실 차단은 모르가니-에담스-스토크스 증후군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입원 환자의 35~70%에서 관찰됩니다. 아픈와 함께 만성병 환자완전한 방실 차단.

Morgagni-Edams-Stokes 발작은 소위 사전 자동 일시 정지가 발생하는 불완전한 방실 차단이 완료되는 동안 심실 무수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새로운 심박 조율기의 활동은 즉시 발생하지 않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발생합니다). ). 완전한 방실 차단으로 수축기 외 부정맥은 심실 무수축의 공격까지 심실 리듬의 수축기외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Morgagni-Edams-Stokes 발작의 발생은 심실 수축 빈도가 분당 20회 미만으로 감소하고 발작이 나타날 때 심실 전도 시스템의 자동성 활동이 점진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습니다. 산증, 고칼륨혈증, 심근의 대사 장애 및 기타 원인으로 인해 심실의 충동 형성이 억제될 수 있습니다.

모르가니-에담스-스토크스 증후군은 심실세동의 경우 완전한 방실 차단과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아픈종종 자발적으로 또는 한 번의 마사지 후에 마음전기 제세동 없이는 공격이 중지됩니다. 아픈방실 차단 없이는 아주 드물게 관찰됩니다.

때때로 Morgagni-Edams-Stokes 발작은 부비동염 증후군, 심실 형태의 발작성 빈맥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종종 동일한 환자에서 심실 무수축 기간은 심실 빈맥 또는 심실 세동 기간과 번갈아 나타납니다(Morgagni-Edams-Stokes 증후군의 혼합 형태).

따라서 Morgagni-Edams-Stokes 증후군에는 세 가지 병원성 형태가 있습니다.

1) 희소성 또는 무수축성(서맥성, 무동성);
2) 빈맥수축성(빈맥성, 동적);
3) 혼합.

Morgagni-Edams-Stokes 증후군은 특징적인 임상 양상을 가지고 있습니다.완전한 웰빙 중에 갑자기 심한 현기증, 전반적인 불안, 그리고 의식 상실이 발생합니다. 이와 함께 처음에는 사지와 몸통의 간대성 경련과 강장성 경련, 비자발적 배뇨 또는 배변이 나타납니다. 동안 공격맥박이 만져지지 않고 소리가 난다. 마음듣지 않는다 동맥 압력감지할 수 없는 경우, 얼굴이 처음에는 창백하다가 점차 청색증을 띠고 호흡이 시끄럽고 고르지 않습니다. 대개 공격저절로 또는 적절한 치료 조치를 취한 후에 사라지지만 때로는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벼운 경우에는 완전한 의식 상실이나 경련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공격은 갑작스러운 창백함, 쇠약, 사고 상실, 현기증 및 약간의 혼란을 동반하는 특별히 심각하지 않은 실신 상태로 발생합니다.

공격 횟수와 심각도는 매우 다양하며 때로는 하루에 최대 100건의 공격이 관찰됩니다.

방실 차단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심전도 검사는 이를 인지하고 그 성격과 범위를 명확히 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1도 방실 차단의 경우 모든 심전도 복합체가 정상일 수 있으며 P-Q 간격만 0.2초 이상 증가합니다.

2도 방실 차단인 Mobitz-I 유형의 경우 P-Q 간격이 점차 길어지고 3-4 복합체 후에 P가 남아 있고 QRST가 떨어지고 모든 것이 다시 반복됩니다.

Mobitz-II 유형의 2도 방실 차단의 경우 P-Q 간격이 정상이거나 연장되고 QRST 복합체가 주기적으로 떨어지고 P파가 유지됩니다.

완전(III도) 방실 차단이 있는 경우 P 콤플렉스는 자신만의 보다 빈번한 리듬으로 녹음되며, QRST 콤플렉스도 고유하지만 드문 리듬으로 녹음됩니다. 동일한 곡선의 P파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QRST 복합체보다 앞서거나 뒤따르거나 심실 복합체의 다른 부분에 층을 이루어 변형됩니다.

완전 결절(근위) 방실 차단은 약간의 서맥과 QRS 복합체의 변화가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뇌간 차단의 경우 정확함 진단심전도에는 뚜렷한 변화가 없기 때문에 His 속전도를 기반으로 확립할 수 있습니다. 원위형 완전 방실 차단(삼근막)은 QRS 복합체의 확장(0.12초 이상)과 그 변형, 그리고 상당히 뚜렷한 서맥을 특징으로 합니다.

진단.놓다 진단청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불완전한 방실 차단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1도 방실 차단은 3부 리듬을 기반으로 가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리듬은 다리 봉쇄에서도 감지되며 1도 방실 봉쇄에서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옳은 진단심전도 검사를 기반으로 진단됩니다. 동공차단의 경우 P파와 관련 QRST 복합체가 ECG에 나타나지 않으며, 2도 방실 차단의 경우 QRST 복합체의 손실이 나타납니다(P-Q의 점진적인 연장 여부에 관계 없음). P파가 남아있습니다.

완전방실차단과 동서맥의 감별이 필요하다. 완전한 봉쇄는 아트로핀 주입의 영향으로 주파수가 변하지 않는 희귀 펄스인 Strazhesko의 "총음"의 주기적 출현인 첫 번째 음색의 다양한 음파를 기반으로 진단됩니다. 그러나 부비동염 증후군에 아트로핀을 주사한 후에도 맥박이 드물게 남아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따라서 최종 진단을 위해서는 심전도 검사가 필요합니다.

완전한 방실 차단의 경우 2-3 P파마다 하나의 QRST 복합체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1도의 방실 차단인 것 같습니다. 즉, 심방 및 심실 박동이 2:1 또는 3:1인 불완전한 상태입니다. 이 두 가지 차단은 인위적으로 가속된 심방 리듬(신체 활동, 아트로핀 주입)으로 심전도를 기록하여 구별할 수 있습니다. 완전한 방실 차단으로 인해 P파와 QRST파의 올바른 교대가 사라지게 됩니다. 즉, P파는 QRST와 관련하여 다른 위치를 차지하게 됩니다(앞, 병합, 뒤). 불완전한 방실 차단의 경우 P파와 QRST파는 동일한 묶음으로 유지되지만 리듬이 증가합니다.

방실 차단의 치료주로 병인적인 요인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따라서 약물 (심장 배당체, 베타 차단제 등)에 중독 된 경우에는 철수가 표시됩니다. 류머티즘, 감염성 알레르기성 심근염 또는 허혈성 질병 마음- 적절한 치료기저 질환.

아트로핀과 교감신경흥분제는 손상된 방실 전도를 회복하는 데 사용됩니다. 시설-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자극제. 아트로핀은 0.1% 용액 0.75-1ml에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됩니다. 아트로핀의 영향으로 Mobitz-1 유형의 2도 방실 차단 및 완전 (III도) 차단 사례의 25-30 %에서 일시적인 전도 회복이 관찰됩니다. Mobitz-II 유형의 2도 차단의 경우 아트로핀 투여로 인해 심방 박동수가 증가하고 차단 정도가 증가하여 심실 리듬이 느려질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형태의 아트로핀을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봉쇄.

아트로핀의 효과는 수명이 짧기 때문에 모든 에페드린, 아드레날린. 이것들 약제교감 신경계의 긴장도 증가로 전도도가 향상되고 심근 흥분성이 증가하며 심실 자동성이 증가합니다.

그러나 아드레날린과 에페드린에는 부작용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동맥압력, 심장 통증 유발, 심실 세동 발생 가능성으로 이소성 초점의 흥분성을 증가시켜 방실 차단에 사용을 크게 제한합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더 자주 사용됩니다 약제이소프로필요오아드레날린 그룹(isadrin, orciprenaline 등).

Izadrin은 혀 아래에 1/2-1 정씩 하루 3-4 회 이상 처방됩니다. 오르시프레날린 황산염은 정맥내(0.05% 용액 0.5-1ml), 근육내 또는 피하(동일한 용액 1-2ml), 경구(0.02g 1정, 1일 5-10회)로 조심스럽게 투여할 수 있습니다.

교감신경흥분성 아민(베타-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자극제)은 심근의 산소 요구량을 증가시키며, 투여 배경에 비해 수축기 외 부정맥과 심실성 빈맥이 나타나거나 더 빈번해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방실 전도 장애에 대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약물의 성공적인 사용에 대한 보고가 있습니다.

프레드니솔론은 경구로 하루 0.04-0.06-0.08g, 급성 방실 차단의 경우 정맥으로 0.06-0.12g을 처방합니다.

긍정적인 효과다양한 심근염의 배경으로 발생하는 봉쇄에 대한 프레드니솔론 및 심장마비심근경색증은 항염증 및 항부종 효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어느 정도 효과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세포내 칼륨의 손실로 인해 발생합니다.

을 위한 치료방실 차단칼륨 제거를 한번에 약제(디클로로티아지드 또는 하이포티아지드). 이들의 작용은 칼륨 이온 농도의 감소 및 그에 따른 휴지 막 전위의 증가와 관련됩니다. 약물은 하루 0.025-0.2g으로 처방됩니다.

어떤 경우에는 젖산 나트륨이 리듬과 전도성을 향상시킵니다(5-10% 용액 150-200ml 정맥 주사). 행위이는 고칼륨혈증과 산증을 감소시키는 것입니다(“항부정맥제” 참조).

방실 차단 치료(특히 완전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모르가니-에담스-스토크스 발작을 피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심장 전기 자극이나 조율을 사용합니다. 일시적인 리듬 및 전도 장애에 대해 일시적인 심장 자극이 수행되며, 영구적인 경우에는 지속적인 형태입니다.

방실 차단을 위한 임시 전기 페이싱에 대한 적응증 아픈급성 심근경색: 모르가니-에담스-스토크스 발작, 진행성 순환 부전, 분당 40회 미만의 심실 수축률, 방실 차단과 기타 박동 장애의 조합.

일부 경우에 공격 Morgagni-Edams-Stokes는 심장 부위의 흉골에 펀치를 날린 후 멈춥니다. 효과가 없으면 폐쇄 마사지를 시작하십시오. 마음그리고 인공 환기. 환자가 모니터링 중이고 무수축이 심전도에 기록된 경우 가장 효과적인 심내막 전기 자극이 사용되며 1~2시간 주사를 반복해야 합니다. 또한 아트로핀은 녹내장에 금기이며 정신 장애 및 요폐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교감신경흥분제에서 적용하다이사드린(이소프로테레놀, 노보드린, 유스피란, 이수프렐), 오르시프레날린(알루펜트), 심장선; 이유라면 공격심실세동 - 전기 펄스 요법입니다.

방실 차단의 예후나는 호의적이다. 2도 차단과 완전 차단(111도)의 경우 예후는 기저 질환, 심실 수축 빈도 및 심근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완전 방실 차단의 경우 예후는 항상 좋지 않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인공심장박동기 이식으로 예후가 좋아지고 있다.

방지-이것은 무엇보다도 적극적이고 적절하며 포괄적입니다. 치료기저 질환. 특정 봉쇄의 발생을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1도 방실 차단은 2도 차단으로 발전할 수 있고, 2도 차단은 3도 차단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생명을 위협하는 완전한 방실 차단을 예방하려면 Mobitz-1 유형의 2도 차단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Mobitz-II 유형의 2도 차단을 제거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이는 약물로는 달성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전극을 삽입해야 하며, 완전히 차단된 경우 즉시 일시적인 심장 자극을 시작해야 합니다.

Ghtlcthltxyj-;tkeljxyrjdfz,kjrflf. Ghb yfheitybb ghjdjlbvjctb "tjuj dblf bvgekmc ,kjrbhettcz yf uhfybwt ghtlcthlbq b ;tkeljxrjd. Hfytt cxbtfkb, xtj ghb "tjv yfheifttcz ghjdtltybt bvgekmcf xthtp ghtl cthlyj-;t keljxrjdsq eptk. Jlyfrj, rfr gjrfpfyj d gjcktlybt ujls, ghjdtltybt bvgekmcf b d yjhvt, b ghb ,kjrflf[ pflth;bdfttcz d lde[ vtctf[: 1) yf ctsrt ghtlcthlbq c ghtlcthlyj-;tkeljxrjdsv epk jv ​​​​(v tytt pyfxbttkmyfz) 2) yf ctsrt ghtlcthlyj -;tkeljxrjdjuj epkf b gexrf Ubcf (,jktt pyfxbttkmyfz). Tfrbv j,hfpjv, ujdjhz j ghtlcthlyj-;tkeljxrjds[ ,kjrflf[, cktlett bvttm d dble pfvtlktybt ghjdtltybz bvgekmcjd bkb ,kjrfle b[ d ghtlcthlyj-;tkeljxrjdjv cjtlbytybb. "tbjkjubz b gftjutytp. Jlyjq bp xfcts[ ghbxby yfheitybz ghtlcthlyj-;tkeljxrjdjq ghjdjlbvjctb zdkzttcz bitvbxtcrfz ,jktpym cthlwf. Ghtlcthlyj-;tkeljxrjdfz ,kjrflf h fpkbxy s[ cttgtytq dszdkzttcz e 10-15% ,jkmys[ byafhrtjv vbjrfhlf.Ghbxbyjq pfvtlktybz ghtlcthlyj-;tkeljxrjdjq ghjdjlbvjctb vjuet ,stm tfr;t htdvjrfhlbt, vbjrfhlbt hfpkbxyjq "tbjkjubb, vbjrfhlbxtcrbq, ftthjcrkthjtbxtcrbq b gjctbyafhrtysq rfhlbjcrkthjp, ubgthrfkbtvbz. Bvt.t

레시피를 포함한 사이트의 모든 정보는 "있는 그대로" 게시 및 배포되며 귀하가 어떤 조치를 취하도록 권장하지 않습니다. 사이트 관리자는 약물 및 조리법의 올바른 설명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으며, 잘못 정의된 증상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 차단은 장기로의 정상적인 혈류를 방해하여 기능에 변화를 일으킵니다.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유형의 봉쇄는 신체에 다양한 수준의 위험을 초래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환자가 실제로 건강하다고 생각하여 심장 병리가 있다고 의심하지 않습니다.

심장 차단은 신체 검사나 다른 질병이 있는 의사를 방문할 때 ECG를 통해 감지됩니다. ECG 보고서에서 환자가 발견한 "심장 차단"이라는 단어는 완전 심장 정지에 대한 공황 공포를 유발합니다. 두려워해야 할까요?

  • 사이트의 모든 정보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행동 지침이 아닙니다!
  •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오직 의사뿐이에요!
  • 스스로 치료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전문가와 약속을 잡다!
  • 당신과 당신의 사랑하는 사람의 건강!

병리학에 대한 설명

심장 근육에는 심방 심근과 심실 전체에 특수 신경 섬유를 따라 퍼져 수축을 일으키는 신경 자극이 발생하는 신경 세포 클러스터 (소위 노드)가 있습니다.

이 노드 중 하나(동방심방)는 심방에 위치합니다. 여기에서 전기 충격이 발생하여 방실 결절로 더 퍼져 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보장합니다. 이 노드를 심장 박동기라고 합니다.

맥박 조정기에서 근육 섬유로 자극이 전달되는 섬유를 전도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방실결절에서 심장 심실 근육까지 자극은 다발 가지(왼쪽 및 오른쪽)라고 불리는 신경 섬유 다발을 통과합니다.

심방 박동조율기에서 생성된 자극의 전달 장애를 심장 차단이라고 합니다. 천천히 전달되거나 신경 섬유를 따른 전도가 완전히 중단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부분 또는 전체 심장 차단이 발생합니다. 어쨌든 그러한 변화는 심장 부정맥을 유발합니다.

임펄스 통과 속도가 느리면 심방과 심실의 수축 사이에 정상보다 긴 휴지 시간이 발생합니다. 충동이 전혀 수행되지 않으면 심방 또는 심실의 수축이 발생하지 않습니다(심방 또는 심실 무수축).

그리고 다음 수축 신호만 유효하며 다음 봉쇄까지 정상적인 간격으로 수축이 발생합니다.

전기 충격의 전도성 손상은 다양한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봉쇄가 발생합니다. 이 경우 혈액 순환이 중단됩니다. 심실 수축이 없으면 혈액이 혈관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고 압력이 떨어지며 장기 조직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습니다.

1도 심장 차단 및 그 결과

방실 심장 차단(AV 차단)은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도 시스템 섬유를 통한 신경 자극의 통과 장애로, 이는 심혈관계에 심각한 기능 장애를 유발합니다.

AV 차단의 위험과 중요성은 심각도에 따라 다릅니다. 봉쇄 심각도에는 3단계가 있습니다.

1급 1도 AVB 심장 차단은 일반적으로 검사 중에 발견됩니다. 어떤 경우에는 생리적 상태(젊은이, 잘 훈련된 운동선수)와 병리(기타 이상 및 심장 문제가 있는 경우)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것 :
  • 미주 신경의 긴장도 증가(운동선수에게서 발생)
  • 전도 시스템의 경화성 변화;
  • 심장 판막의 병리학적 변화;
  • 심장 근육의 염증(심근염);
  • 류머티즘;
  • 특정 약물(심장 배당체, 베타 차단제 등)의 부작용;
  • 심장경화증;
  • 심근 경색증;
  • 취함;
  • 보렐리아증(라임병);
  • 혈액의 전해질 구성 변화.

심장의 충동 전도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약물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스트로판틴;
  • 코르글루콘,
  • 디곡신;
  • 니페디핀;
  • 암로디핀;
  • 신나리진;
  • 베라파밀;
  • 아테놀롤;
  • 비소프롤롤 및 기타.

심혈관계에 병리학적 변화가 없으면 1도 방실차단은 임상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환자는 실질적으로 건강하다고 느낍니다. 전도 장애는 ECG에 의해 감지되며 정상적인 변형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사람들은 과정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ECG 모니터링을 통해 심장 전문의의 감독을 받아야 합니다. 실신, 현기증, 눈의 어두워짐 등의 증상은 1도 방실 차단이 더 심각한 수준으로 전환되는 임상 증상입니다.

2급 2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첫 번째 유형(Mobitz 1이라고 함)의 경우 환자는 피로와 불쾌감을 업무량이나 스트레스로 생각하지만 현기증과 실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 유형(Mobitz 2)에서는 이러한 증상 외에도 심장에 통증이 있고 심장 마비가 느껴지며 장기간의 실신 및 의식 혼탁이 발생합니다.
3급
  • 심실에 대한 자극이 전혀 전달되지 않는 3도 차단은 맥박수 감소(분당 40회 미만), 심한 허약, 심한 현기증, 숨가쁨, 심장이 어두워지는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눈.
  • 심실 수축 횟수가 분당 15회로 감소하면 뇌로의 혈액 공급이 어려워지고 머리가 뜨거워지는 느낌, 심한 창백함과 의식 상실, 경련 증후군으로 나타납니다.
  • 이러한 증상을 순간 봉쇄라고 합니다.
  • 3도 차단에서는 심장의 기능이 완전히 정지되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어린이와 청소년도 성인이 경험하는 것과 동일한 유형의 심장 마비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차이점은 어린이의 AV 차단은 후천적일 뿐만 아니라 선천적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후천적 봉쇄는 감염, 심장 질환의 배경 또는 심장 병리의 외과 적 제거 후에 발생합니다.

어린이의 선천적 형태의 봉쇄의 원인:

  • 산모 질환(당뇨병, 전신홍반루푸스);
  • 산모 신체의 결합 조직에 대한 광범위한 손상;
  • 심방이나 심실 사이의 격막 발달 이상;
  • 심장 전도 시스템의 저개발.

선천성 심장 마비로 인해 생후 첫해에 아기가 사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생아의 임상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입술, 팔자 삼각형, 손가락 끝 또는 신체 피부의 청색증;
  • 아이의 심한 안절부절 못함이나 무기력함;
  • 유방 거부;
  • 심박수 증가;
  • 발한 증가.

후천성 질환의 경우 완전 심장 차단을 포함하여 더 심각한 전도 장애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가장 위험한 3도 방실차단이라 할지라도 항상 임상적으로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어린이에게는 심장 박동 수가 감소하는 한 가지 증상만 나타납니다.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심장의 충치가 점차 확장되고 전반적인 혈류가 느려지며 뇌 물질의 산소 결핍이 발생합니다. 저산소증은 기억력 저하와 학업 성취도 저하로 나타납니다.

아이는 신체 발달이 뒤쳐져 있으며 종종 현기증을 호소하고 빨리 피곤해집니다. 신체 활동이 증가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실신할 수 있습니다.

진단

방실 차단은 심전도를 사용하여 진단됩니다. 파동 자체는 정상이지만 P파와 QRS 복합체 사이의 간격이 증가합니다. 환자의 불만이 없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잘 훈련된 사람에서 어린 나이에 1도 방실차단이 발견되면 더 이상의 심층 검사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휴식 중인 ECG의 단기 기록이 항상 드물게 발생하는 단일 봉쇄를 포착하는 것은 아닙니다. 심장에 대한 불만이나 객관적인 데이터가 있으면 의사는 매일 홀터 모니터링을 처방합니다. 모니터의 센서는 가슴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검사를 받은 환자는 정상적이고 습관적인 생활 방식을 따릅니다.

장치는 하루 종일 지속적으로 ECG를 기록한 다음 분석합니다. 이 절대적으로 고통스럽지 않고 비침습적인 진단 방법을 사용하면 봉쇄 빈도, 하루 중 시간에 대한 의존성 및 환자의 신체 활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필요한 경우 올바른 치료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심장초음파검사(심장 초음파)도 처방될 수 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심장의 격막, 벽 및 충치를 검사하고 막힘의 가능한 원인으로 이들의 병리학적 변화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근본 원인은 밸브의 변화일 수 있습니다.

치료

1도(때로는 2도) 방실 차단이 항상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심장 병리가 감지된 경우에만 개별적으로 선택된 치료가 수행되며 이는 차단 빈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소아의 1도 심장 차단에는 약물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소아는 정기적인 ECG 모니터링과 함께 소아 심장 전문의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완전한 봉쇄가 있으면 어린이에게는 항염증제, 누트로픽제, 항산화 효과가 있는 약물 및 비타민이 처방됩니다. 아이가 의식을 잃으면 닫힌 심장 마사지의 형태로 아이에게 응급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식된 심박조율기를 사용하면 선천성 차단 및 심각한 형태의 후천성 심장 차단이 제거됩니다.

1도 AV 차단이 2도 유형(Moritz 2)에 따라 2도, 3도 부분(또는 완전) 차단으로 진행되는 경우 이러한 심각한 전도 장애로 인해 심장 질환으로 인한 급사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치료가 필수입니다. 체포.

정상적인 심장 기능을 회복하는 주요 방법은 환자에게 영구 또는 임시 심박조율기(PAC)를 이식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심근경색으로 인한 급성 심장 차단의 경우에는 일시적인 전기 자극이 필요합니다.

심박조율기 설치를 준비하기 위해 환자에 대한 완전한 검사와 약물 치료(아트로핀 및 기타 약물 처방)가 수행됩니다. 환자의 질병을 완화시키지는 않으며 심장 박동기 이식 준비 기간 동안 사용됩니다.

심박조율기 설치는 수술적 치료방법입니다. 국소마취 또는 전신마취 하에 시행할 수 있습니다. 그 본질은 심장 외과 의사가 혈관 (쇄골 하 정맥에서 시작)을 통해 심장에 특수 전극을 삽입하고 고정한다는 사실에 있습니다. 그리고 장치 자체는 피부 아래에 꿰매어 있습니다.

장치에 의해 생성된 자극은 정상적인 간격으로 심방과 심실의 정상적인 수축을 유발합니다. 리듬 심장 기능과 장기에 대한 적절한 혈액 공급이 회복됩니다. 혈류가 멈추고 압력의 급격한 변동이 사라집니다.

임상 증상(현기증, 의식 상실)이 사라져 심정지 및 돌연사의 위험이 크게 줄어듭니다.

수술 후 환자는 2~7일(연구 수행 후)에 퇴원합니다. 미용 봉합사는 봉합사를 붙일 때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점차적으로 용해됩니다. 퇴원 시 심장 전문의는 신체 활동을 얼마나 오랫동안 피해야 하는지 권장할 것입니다.

1개월 후에는 심장 전문의의 후속 검사가 필요합니다. 수술 후 6개월 및 12개월 후 그리고 그 이후로는 매년 의사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개별적으로 의사는 몇 달 후에 (금기 사항이 없는 경우) 스포츠 활동을 허용합니다.

심박조율기의 평균 사용기간은 7~10년입니다. 어린이의 경우 크기가 더 작아서 어린이의 성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장치는 각 환자에 대해 개별적으로 프로그래밍됩니다(심장 매개 변수가 설정됨).


장치 작동 모니터링은 정기적으로 제 시간에 수행되어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 의사는 프로그램을 조정합니다. 심장 박동이 가속화되거나 느려지면 환자의 생활 방식이 변경됩니다. 심박조율기가 정상적인 심장 기능을 보장하지 못하는 경우 교체해야 합니다.